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성경 관련 변증(질의 응답)

창세기 1장 1절의 '창조하시니라'와 '하나님(엘로힘)'에 대해/성경해석 / 창조신학 창세기 1장 1절의 '창조하시니라'와 '하나님(엘로힘)'에 대해 성경해석 / 창조신학 1. '창조하시니라'(bara)=동(Qal,3,남,단,완) 1) 창조의 시기를 명확히 우리가 알 수 없으나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이후 성경이 기록되었기에 동사를 현재가 아닌 완료형인 과거를 사용하였다고 여겨집니다. 2) 이 동사는 1장 21절, 1장 27절, 5장 1,2(niph.)절 등에 반복하여 사용하십니다. 3) 이 단어의 주어는 항상 하나님인데 특별히 사람 창조에 강조 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4) 1장 1절의 동사는 성경이 기록된 시점에서 볼 때 완료형이라 할지라도 사실 운행, 유지, 보존하시는 하나님의 창조 섭리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고 보아야겠지요. 2. 하나님(Elohim)=명(남,복,휴) 1.. 더보기
출 20:23-26(성상 금지, 다듬은 돌로 쌓지말라? 층계로 단을 오르지 말라? 교회는 금해야하나요?(출애굽기의 난해 구절) 출애굽기의 난해 구절들(출 20:23-26) "너희는 나를 비겨서 은으로 신상이나 금으로 신상을 너희를 위하여 만들지 말고 내게 토단을 쌓고 그 위에 너의 양과 소로 너의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라 내가 무릇 내 이름을 기념하게 하는 곳에서 네게 강림하여 복을 주리라 네가 내게 돌로 단을 쌓거든 다듬은 돌로 쌓지 말라 네가 정으로 그것을 쪼면 부정하게 함이니라 너는 층계로 내 단에 오르지 말라 네 하체가 그 위에서 드러날까 함이니라 네가 백성 앞에 세울 율례는 이러하니라." 출 20:23~26 출애굽기 20장 23-26절 구절은 학자들도 해석에 어려움을 느끼는 성경의 난해 구절 가운데 한곳입니다. 그래서 이 구절은 많은 학자들이 앞선 창조신학 Q&A 141번에 있는 알레고리적 해석을 시도하고자하는 유혹(?).. 더보기
하나님은 왜 독성 물질을 만드셨나요? 독성 동식물(예: 복어알, 독버섯...)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창 1:31/ 딤전 4:4) 하나님이 그 지으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창1:31/ 하나님의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딤전 4:4 문 : 오늘날 인간들이 먹어서 안되는 독성 동식물(예: 복어알, 독버섯...)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A.> 1) 심오한 질문 이 질문은 단순한 초보적 질문이 아니라 기독교 역사의 무수히 많은 대학자들도 고민한 문제이지요. 하나님의 하나님은 누구인가(하나님은 누가 만드셨나)라는 질문(이 질문은 대학자 아인시타인도 하고 우리 큰 딸이 유치원 들어가기 전에 제게 한 질문이기도 하지요)처럼, 악은 어디로부터 온 .. 더보기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와 성경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 성경적인가?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 노스트라다무스(1503-1566)는 의사이자, 점성술사, 천문학자, 발명가로 독특한 삶을 산 프랑스인이었다. 그의 예언시에 대한 해설서만 500종이 넘고 요즘도 매달 연구서들이 4-10권씩 쏟아진다고 하니 그의 예언에 대한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을 읽을 수 있다. 그의 예언 가운데 20세기를 뜨겁게 달군 예언이 있었다. 바로 20세기말에 대한 예언때문이었다. 바로 이 16세기 예언자가 쓴 예언시 가운데 ‘1999년 7월 하늘에서 공포의 대왕(일명 앙골모아Angoumois의 대왕)이 내려온다’는 예언으로 인해 유난히 사람들이 그 해 종말과 하늘의 징조에 대해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 물론 1999년 여름, 공포의 대왕은 내려오지 않았다. “하늘에서 공.. 더보기
명절(설날, 추석 등) 제사 음식, 기독교인 먹어도 될까? 설날 제사(차례)상에 차려진 음식들, 먹어도 될까? *명절을 맞아 본지 칼럼니스트인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의 과거 칼럼을 다시 게재합니다. 사도 바울의 우상 제물 해석을 통해 본 바른 지식(고전 8:1-13) 헬라의 고린도지역은 우상과 잡신과 음란이 넘쳐나는 도시였다. 시장에 출하되는 육류들 대부분은 온갖 잡신들을 향한 음란한 제사 속에서 우상에게 바쳐졌던 고기들이었다. 고린도 교인들은 이 우상에게 바쳐졌던 고기들을 먹어도 되는 것인지 바울에게 질문하였다. 이 문제는 초대교회 심각한 문제이기도 했다(행 15장, 롬 14-15장). 이제 고린도전서 8장 본문을 통해 이 우상에 바쳐진 제사 음식과 먹거리 전반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관점을 살펴보자. 1. 첫째, 우상(idol)은 아무 것도 아니다(고.. 더보기
성경 니므롯('님로드')은 실존 인물인가 니므롯('님로드‘, Nimrod)은 실존 인물인가요? 1. 니므롯은 실존인물인가? 네 그렇습니다. 성경은 홍수 이후 노아 자녀(셈과 야벳과 함)들의 후손 계보를 창세기 10장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니므롯은 함의 후손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 가운데 구스의 후손이라고 소개합니다. 2. 니므롯은 누구인가 니므롯은 최초의 용사요 사냥꾼으로 하나님을 외면한 세계 최초 세속 제국의 통치자(창 10: 8-12절)였습니다. 그가 “특이한 사냥군”(창 10: 9절)이라는 말은 니므롯이 비상한 능력을 가진 자로 호전성과 파괴력과 포악함을 가진 인물임을 암시합니다. 그의 나라는 시날 땅에 있는 바벨, 에렉, 악갓에서 시작되어, 앗수르쪽으로 진출하였으며 그곳에서 니느웨, 르호보딜, 갈라(오늘날의 ‘니므롯’)..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운 분이 맞는가요?(호세아 13장 14절 해석 문제) 호세아서의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운 분이 맞는가요?(난해구절 호세아 13장 14절 해석의 문제) 호세아서의 창조주 하나님은 정말 자비로우신 분이 맞는가요?(난해구절 호세아 13장 14절 해석의 문제) Q.) 호세아서 13장 14절을 읽다가 이해되지 않고 주석을 찾아보아도 명쾌하지 않아 전혀 다른 두 가지 견해가 있어 문의 드립니다. 1. 개역개정 : 내가 그들을 스올의 권세에서 속량하며 사망에서 구속하리니 사망아 네 재앙이 어디 있느냐 스올아 네 멸망이 어디 있느냐 뉘우침이 내 눈 앞에서 숨으리라(호13:14) 2. KJV : I will ransom them from the power of the grave; I will redeem them from death: O death, I will be.. 더보기
아랍인의 조상은 누구? 아브라함 아들 이스마엘 후손? 아랍인은 이스마엘 후손인가? 아랍(Arab)은 지리적으로 아라비아에서 온 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 아랍인(Arabs)이란 아라비아반도에 살던 사람들이다. 여기에는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스마엘 후손들도 당연히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아랍인들이 이스마엘 후손은 아니다. 오히려 성경에 언급된 아랍(아라비아)인들은 아말렉 족, 부스 족, 드단 족, 하갈 족, 이스마엘 족, 갓몬 족, 게달 족, 겐 족, 므우님 또는 마온 족, 미디안 족, 나아마 족, 스바 족, 수아 족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이스마엘 후손들(창 25: 13-16)은 느바욧, 게달, 두마, 맛사, 데마 및 게드마 족이 북서부 아라비아로 진출하여 아랍 족이 되었다. 이스라엘 민족과 접촉이 잦았던 미디안 족속은 아브라함과 그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