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요(기독교 인간론 서론)

728x90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요(기독교 인간론 서론)

©오스트리아 비엔나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

Imago Dei

칼빈 기독교 강요 1(Editor: John T. McNeill)

Book 1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Chapter 1

The Knowledge(Cognitio) of God and that of Ourselves Are connected. How They Are Interrelated

 

1. Without knowledge of self there is no knowledge of God

2. Without knowledge of God there is no knowledge of self

-칼빈 기독교 강요 1(Editor: John T. McNeill)-

 

 

칼빈

인간은 어떤 존재일까요?

1) 칼빈은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다루는 기독교강요 제 1권 제 1장 1절부터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우리 자신에 대한 지식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2) 칼빈은 그 이유에 대해 유명한 사도 바울의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의 아레오바고에서 있었던 연설에서 말했듯 피조물인 우리 인간이란 그를 “힘입어 살며 기동(in him lives and moves, 행 17:28)"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라 말합니다.

3) 받은 은사조차 인간 스스로에게서 비롯된 것이 거의 없으며 우리 인간이 받은 복(benefits)마저 빈곤(povert)할 때에야 깨닫게 되는 파라독스적인 진리라고 칼빈은 역설합니다.

4) 학자들이 성경을 제외하고 최고 기독교 걸작이라 칭송하는 칼빈의 기독교강요가, 인간존재는 놀랍게도 비참함이라는 진실한 세계를 마주칠 때 "겸손"해진다고 정면으로 인간 존재의 정곡을 찌르고 들어가고 있음은 충격이라 하지 않을 수 없지요. 이상하게 신학자들은 칼빈을 그렇게 극찬하고 존경하고 좋아하면서도 이 부분을 자주 간과합니다.

5) 칼빈은 우리 인간이란 고작 인간의 무지, 공허, 궁핍, 무기력, 타락과 부패를 깨닫게 된 이후에야 지혜의 참 빛, 건전한 미덕, 풍요한 선, 의와 순결함이 오직 (우리의 창조주이신) 주님께 있다는 것을 자각한다는 곧, 인간 죄악을 통해 하나님의 선을 깨닫는 놀라운 역설을 서론의 머리부터 지적하고 있는 것이지요.

6) 정말 놀라운 칼빈의 혜안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의 강한 주권 사상을 지녔던 칼빈 다운 인간론입니다. 칼빈의 인간론은 본 강좌에서 앞으로 좀 더 살펴볼 예정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오직 칼빈만 있는 게 아니기에 다양한 인간이해가 존재합니다.

7) 인간 이해에 대한 상반된 이론들

 

인간 이해와 인간 본성에 대한 상반된 이론들이 있는 것이지요(There has always been a multitude of rival anthrophologies to choose from). 심지어 인간들은 인류세(인간의 시대, Anthropocene., 2000년 멕시코 국제 지권-생물권 프로그램IGBP에서 개념 제안, 네덜란드 대기과학자 Paul Jozef Crutzen)까지 만들어놓고 이 한 단어로 모든 것이 설명된다고 설쳐댑니다. 콘크리트, 플라스틱, 치킨, 미세먼지, 신종 전염병 등 세상의 인간이 관여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과학, 환경이 모두 이 한 마디 말 속에 압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인류 DNA를 묘사한 사진작품▶©조은선 작, 베를린 사진학교 홈페이지

8) 인류세(?)

인류세라니? 인간론 강좌에 무슨 뚱딴지같은 말이냐고 반문할 지도 모릅니다. 여러분 우리나라 최고 과학 인재들이 모였다는 대전 과기원에도 일찌감치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가 설립돼 국제심포지엄을 여는 등 본격 연구 활동이 활발하고 일반미술관에서는 인류세 관련 전시가 이어지는 가하면 언론과 포털에서도 인류세라는 명칭이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인류세라는 인류의 거대한 과속 속에도 인간의 죄성도 인간의 죽음도 인간의 비참함도 표면적으로는 존재합니다.

하지만 칼빈 같은 위대한 신학자처럼 어느 누구도 그 본질적 질문에 대해서는 정면으로 부딪히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 근원적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것이 신학적 인간론이라는 이 강좌에 흐르는 근본적 질문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앙과 신학과 다른 세상속 인간 이해는 어떠할까요? 여기 여러분들에게 소개한 교재를 참고하여 제가 간략히 내용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인간 본성에 관한 10 가지 주요 이론

가. 유교 : 성인(聖人)들의 도리(道理)

1) 공자는 인간 본성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습니다.

2) 인간의 변화 가능성: 공자는 다만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같으며 각자 서로 다른 방식을 취한 까닭에 이처럼 달라졌다고 합니다.

3) “성품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

4) 미완성 상태의 유연함 속에서 덕의 완성을 위한 갈고닦음의 필요성

 

나. 우파니샤드 힌두교 : 궁극적인 지식을 향한 추구

1) 인간의 본질적 자아는 근본적으로 모든 존재와 연관되어 있다.

2) 따라서 긍극적 자아(atman)에 모든 신, 세상, 숨들이 의지하고 있다.

3) 우리 인간의 현생은 길고 긴 일련의 죽음과 환생의 과정 가운데 단 하나일 뿐이다.

4) 윤회와 명상의 길 추구.

 

다. 성경(성서) : 하느님과 관계된 인간

 

형이상학적 배경 : 유대-기독교적 개념에서의 하느님

인간의 본성에 관한 히브리의 이론

진단: 인간의 불복종

처방: 하느님의 언약과 회복

신약성서

신약성서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

진단: 죄에 대한 신약성서의 견해

처방: 예수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

라. 플라톤(주전 429-347) : 이성의 지배

1) 플라톤의 생애와 저술: 국가, 변증법, 대화편, 파이드로스

2) 형이상학적 배경: 형상의 이론

3)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1) 인간 영혼의 선재설: 영혼의 불사성으로 연결

(2) 영혼의 세 가지 구조: 인간의 욕구 요소와 이성 요소 그리고 격정(자기혐오의 감정, 기개)

4) 진단: 영혼과 사회 간의 부조화

5) 처방: 철인군주의 교육과 지배를 통한 영혼과 사회 간의 조화

 

마. 아리스토텔레스(주전 384-422) : 인간의 완성이라는 이상

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저술: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2) 형이상학적 배경: 성질로서의 형상, 그리고 네 가지 질문(무엇으로 만들어짐?(질료인), 형상은 무엇인가(형상인), 무엇으로 인해 존재(작용인), 무엇을 위한 것인가?(목적인)

3)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플라톤이 인간의 이원론적 존재 방식(영혼과 육체)을 말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특별한) 동물로 간주

4) 이성을 포함한 여러 능력의 집합체인 영혼

5) 이성과 진단: 인간의 완성, 덕과 악,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지혜

6) 깨달음, 혹은 처방 : 정치적 숙련과 지적 관조

7) 플라톤 이후의 고대 사상 : 서양 철학은 과연 어떤 인생 지침을 제공하는가?

8) 스토아 학파의 금욕주의 / 에피쿠로스 학파의 쾌락주의 / 신플라톤주의 등으로 분화

9) 중세: 신앙에서 이성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아우구스티누스(354-430): 은총 속 이성 / 이슬람 철학자들: 거룩하고 능동적 이성인 마호메트 정신 중심의 인간론(이란과 다수 이라크인 중심의 시아파, 사우디 중심의 다수 수니파(IS, 탈레반 등도 수니파)로 분화) / 아퀴나스(1224-1274): 은총과 이성이라는 두 날개

10) 종교개혁: 성경과 하나님 중심인가? 인간 중심인가? 신앙의 권위를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

11) 과학의 발전 : 어떻게 과학적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까?

-토마스 홉스(1588-1679):인간은 애초 부도덕 /

-르네 데카르트(1596-1950): Cogito ergo sum(생득관념, 수학하는 인간) /

-스피노자(1632-1677): 범신론 속 인간론

-계몽주의: Sapere Aude(dare to be wise), 과학이 우리 삶의 지침이 될 수 있는가?

-데이빗 흄(1711-1776): 논리와 이성이 아닌 정감이 도덕성의 토대이다 /

-루소(1712-1778): 인간의 타고난 선성 /

-콩도르세(1743-1794, 수학, 철학, 정치가, 자살): 인간 "사회 수학"

 

바. 칸트 : 이유와 원인, 역사와 종교

 

1) 칸트의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과 지식의 한계

3)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지각과 개념, 이유와 원인과 자유의지, 인간 도덕률 인식

4) 진단: 이기심과 사회

5) 처방: 순수한 종교와 문화적 발전

 

사. 마르크스 : 인간 사회의 경제적 기반

 

1) 마르크스의 생애와 저술

2) 역사적 유물론

3)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경제학, 사회, 그리고 의식

4) 진단: 소외, 자본주의, 그리고 착취

5) 처방: 혁명과 유토피아

 

아. 프로이트 : 정신의 무의식적 기반

 

1) 프로이트의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적 배경 : 신경학, 결정론, 그리고 유물론

3)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정신적 결정론, 무의식, 본능, 그리고 아동발달

4) 진단: 정신적 부조화, 억압, 그리고 신경증

5) 처방: 정신분석 요법

 

자. 사르트르 : 근본적인 자유

 

1) 사르트르의 생애와 저술

2) 형이상학 : 의식과 대상, 무신론

3)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 존재와 본질, 부정과 자유

4) 진단 : 불안과 불성실, 타인과의 갈등

5) 처방 : 반성적인 선택

 

차. 인간의 본성에 관한 다윈주의 이론

 

1) 진화론

-다윈의 자연선택론 / 진보인가, 진보가 아닌가? / 유신론자인가, 무신자인가?

2) 진화론에 의거한 인간의 본성

-뒤르켐과 표준 사회과학 모델 / 스키너와 행동주의 / 촘스키와 인지심리학 /

틴버겐과 동물행동학 / 윌슨과 사회생물학 / 사회생물학에 대한 반박 /

투비와 코스미데스 : 통합적 인과 모델

3) 진화론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

-스키너 : 행동 기술에 관하여 / 로렌츠 : 인간의 공격성에 관하여 /

"생물학적 결정론"에 관한 좌파의 반발 / 촘스키 : 인권에 대한 논쟁 / 윌슨의 처방

 

 

※ 결론 : 상반되는 이론의 종합은 가능한가?

 

인간의 본성에 관한 선천적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경험적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