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성령의 열매와 선교(성령론 강좌, 조덕영)

728x90

성령의 열매와 선교(성령론 강좌, 조덕영)

7. 성령의 열매

 

 

1. 성령의 열매에 대해

 

1) 성령을 받으면 (1) 삶의 변화와 (2) 은사가 따르며 (3) 성령의 열매를 맺게 됩니다.

2) 성령의 열매는 성도의 사람됨에 따라 맺어지는 것으로 갈 5:19-23에 나타나 있습니다.

3) 그런데 갈라디아서의 성령의 열매καρπός του Πνεύματος는 복수 열매들(καρποί)이 아닌 단수(καρπός)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성령의 열매는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성령 사역 아래 통일성을 가집니다. 즉 성령의 8 가지 열매는 사랑과 관련한 열매를 다양하게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평택대 설립자 아더 T. 피어선 박사는 이 부분에 대해 아주 의미심장한 말을 합니다. “희락은 몹시 기뻐하는 사랑이요, 화평은 평안한 가운데 있는 사랑이요, 오래 참음은 시련 중에 있는 사랑이요, 자비는 사회 속에서 보여 지는 사랑이요, 양선은 행위에 있어 나타나는 사랑이요, 충성은 인내하는 가운데 있는 사랑이요, 온유는 배우는 중에 있는 사랑이요, 절제는 연단 중에 있는 사랑이다.”

5) 성령으로 거듭나고 성령을 따라 사는 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인격적인 열매로 갈 5:22의 영적 과실을 맺으며, 신앙적 열매로 예수를 높이며 (고전 12:3), 사명적 열매로 그리스도의 증인이 됩니다(행 1:8). 그 열매를 살펴봅시다.

 

 

1) 사랑(love, αγάπη)

(1) 사랑의 영원성

(2) 성령은 사랑의 영(5:5; 요일 4:8)

(3)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5:5): 사랑 없으면 하나님과 교제할 수도 그를 기뻐할 수도 없다

 

사랑의 요소(에릭 프롬의 <사랑의 기술>)

배려와 관심(care & Concern) : "God so Loved"(3:16)

(지식, knowledge) : “이는 저가 우리의 체질을 아시며”(103:14), "내가 이 고난을 받되 부끄러워 아니함은~~~나의 의뢰한 자를 내가 알고“(딤후 1:12). 왜 내게 성령 주셔서 내 맘을 감동해~~~ 늘 간수해주실 것을 나는 확실히 아네(찬송가 가사)

책임(responsibility) :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3:16)

존중(respect) : “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해 목숨을 버리거니와”(10:11)

주는 것(giving) : 독생자를 주시다(3:16)

 

He who knows nothing, loves nothing(파라켈수스)

아무 것도 모르는 자는 아무 것도 사랑하지 않는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자는 아무 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아무 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자는 아무 쓸모도 없다. 그러나 이해하는 자는 사랑하고, 주목하고, 인식한다...... 어떤 것에 대한 지식이 늘면 늘수록 사랑도 커진다.....딸기가 익을 때 다른 모든 과일도 익는다고 생각하는 자는 포도에 대해서도 아무 것도 모른다.

 

2) 희락(기쁨, Pleasure, Joy, Χαρά)

(1) 성령은 기쁨의 영

(2) 구속의 즐거움(5:2)

(3) 환난 중의 즐거움(5:3)

(4) 하나님 안의 즐거움(5:1; 3: 17-18)

 

3) 화평(peace, ειρήνη)

(1) eirene, shalom

(2) 화평, 조화, 일치, 안전

(3) 하나님과 사람과 자신과의 화목

(4) 화평의 방법

성령 체험

온유 겸손

오래 참아야

사랑 가운데 용납

 

4) 오래 참음(patience, μακρόθυμος)

(1) 인내는 축복의 원리

(2) 인내는 결실

(3) 축복의 원리

(4) 구원 완성

 

 

5) 자비(kindness, χρηστότης, chrestotes)

(1) 친절, 관대, 너그러움(고후6:6, 5: 22, 2:7, 3:4).

(2) 선함, 착함, 올바름, 똑바름(3:12).

(3) 도덕적 선, 정직, 완전, 청결, 친절한 행위

(4) 하나님은 자비의 아버지(고후 1:3)

(5) 자비의 주님(5:11)

(6) 자비의 성령(5:22)

(7) 이웃 사랑의 실천(강도 만난 이웃, 10:37)

(8) 원수 사랑(은혜를 모르는 자와 악한 자에게도 인자로우신 하나님 아버지(6:35)

(9) 자비한 자에게 자비를 나타내심(18:25)

(10) 자비는 충성의 열쇠(주의 자비하심을 받아 충성된 자가 되어, 고전 7:25)

(11)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비(12:7)

 

 

6) 양선(agathos, kalos, agathosune)

(1) ἀγαθόν(2:10): 옳은 것, , 좋은 것,

(2) agathos(, 2:7): 착함, 유익, 기쁨, 행복, 정직

(3) kalos(2:7):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매력을 주는 선

(4) agathosune(5:22): 바름, 정직, 고결, 친절, 선행, 은혜, 자선, 구제

 

7) 충성(πιστις, pistis, 신실)

(1) 진실에서 출발, 성실

(2) 끝까지 충성에 따른 생명의 면류관(2:10).

(3) 착한 동기로 충성(25:21)

(4) 지극히 작은 것부터 충성(19:17)

(5) 보낸 주인(주님) 마음을 시원케 하는 충성(25:13)

 

8) 온유(gentleness, πραύτης, prautes)

(1) "prautes"(고후10:1, 5:23, 3:12): 친절, 얌전, 겸손, 동정심, 공손, 부드러운, 온화한, 따스한, 양순한

(2) “온유란 부드러운 태도에서 살며 모해에 쉽사리 노하지 않으며, 보복하지 않으며 자기에 대한 악의에 길이 참는 것“(칼빈)

(3) 온유한 자가 땅을 얻다(5:5; 37:11)

(4) 땅을 차지하며 풍부한 화평으로 즐기다(37:11)

(5) 범죄자에게 신령한 너희는 온유한 심령으로 그러한 자를 바로잡고(6:1)

 

9) 절제(temperance, εγκράτεια, 헬라어는 자기 조절<통제>가 아닌 극기에 가까운 단어, 엥크라테이아, enkrateia)

(1) 자기 조절(self-contrl, NIV)

(2)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는 열쇠(벧후 1:4-8)

(3) 신앙 경주의 승리자: 세상 경쟁은 썩을 면류관 추구, 그리스도인은 썩지 아니할 면류관 추구(고전 9:26)

(4) 직분자(청지기)들에게 요구되는 절제(딤전 3:2-11)

 

 

8. 성령과 선교(Holy Spirit and Missions)

 

1. 성령을 주시는 궁극적 목적은 유익을 위함이며 그 유익이란 바로 복음과 관련됩니다.

2. 이 귀한 복음을 성령 받은 성도들은 전해야 하는 것입니다.

3. 이것이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는 주님의 명령인 것입니다.

 

 

 

1) 성령은 선교의 영(1:8, 13:2-5)

 

성경은 선교의 책이며, 선교 목적으로 기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과 보내심으로 선교가 가능하게 된다(사도행전은 성령 행전).

 

 

2) 선교에서 성령의 중요성

 

(1) 증거하는 이는 성령이시니 성령은 진리니라(요일 5:7)

(2) 성령은 모든 언어 장벽을 허물 수 있는 위대한 통역

(3) 성령의 권능은 필수적(24:49, 1:4)

(4) 성령의 은총

일반은총면 : 죄의 억제, 질서 유지, 구원의 길 예비, 책망, (종교) 의식

특별은총면 : 영혼 구원과 교회 설립, 확장, 선교열, 은사 부여

 

 

3) 사도행전의 증거

 

(1) 성령의 선교:

초대 교회의 선교 역사는 행 1:8의 말씀대로 성령께서 하신 선교가 베드로와 바울 등을 통해 전개된 것뿐이다.

(2) 성령의 사람 바울:

특히 바울은 선교사의 은사로 일하여 이방인 선교의 영구한 모델이 되었다. 그러나 바울 선교도 성령의 역사로 일관되었다(13:3-4, 9, 14:3, 16:6-10, 17:16-31, 19:6-7, 20:22-24, 15:18, 살전 15)

 

 

4) 성령과 선교사의 은사

 

(1) 모든 신자가 전도의 사명이 있으나 아무나 타문화권에 가서 선교를 할 수는 없다.

(2) 타문화권 선교사는 특별한 은사가 필요하다.

(3) 선교사의 은사는 성령께서 제2의 문화권에서도 전도 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주신 특별한 역량이다.

 

 

5) 바울의 예로 본 성령과 선교

 

(1)성경: 3:7, 9:15, 고전 9:22, 고전 2:1-5

 

(2) 바울과 베드로 : 베드로는 사도의 은사는 있었으나 선교사는 아님

 

(3) 선교의 열매 :

이방인의 회심, 교회 설립과 확장, 주께 영광

 

 

6) 성령의 은사와 선교소명의 관계

 

(1) 은사와 소명 :

하나님이 소명을 주신 경우 은사도 함께 주신다(병행).

 

(2) 은사의 발견 :

강한 욕구 (소원), 관심, 환경의 장소, 열심, 열매

 

(3) 성령의 선교열 :

하나님의 열심은 메시야를 보내셨고 교회를 세우시며 선교케 하신다.

 

 

7) 이적과 선교적 시각

 

(1) K.S. Latourette(미 예일대, 역사학자) :

신약의 가장 강력한 impression은 이적이다.

 

(2) H. Kane :

진리 선포와 이적의 나타남이 선교지에서 필요하다.

 

(3) 예수 이적(7:31) :

그리스도께서 오실지라도 그 행하실 표적이 이 사람이 행한 것보다 더 많으랴 ?

 

(4) 신유 이적(4:23) :

가르치시고 전파하시고 고치시더라

 

조덕영(창조신학연구소,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