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창조-신학-과학-세계관(창조신학연구소)

코로나19의 창조신학(조덕영) 영역: 성경/신학/과학 키워드: 코로나19, 성경, 바이러스, 세균, 박쥐, 미생물, 코로나19의 창조신학 Creation Theology of Corona19(COVID-19) 조덕영 Duk Young Cho 창조신학연구소 Korea Institute for Creation Theology(KICT) https://blog.naver.com/davidycho 〔ABSTRACT〕 Corona19(COVID-19) is fast changing the world. A type of coronar virus(Corona19) that causes diseases in humans. In humans, it usually causes respiratory infections that are not seriou.. 더보기
‘우주의 기원’ 완전한 이해, 현대 과학의 범위 벗어나(권진혁 교수) ‘우주의 기원’ 완전한 이해, 현대 과학의 범위 벗어나 [창조신앙과 과학] 우주배경복사의 숨겨진 진실 빅뱅 이론 최고 전문가 2인 사이 발생한 논쟁 의미? 모든 과학자들 동의한 ‘확립된 과학 이론’ 아니더라 우주의 기원, 우리는 여전히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 빅뱅 이론을 가장 강력하게 지지하는 증거로 늘 우주배경복사가 인용되어왔다. 우주배경복사란 우주가 빅뱅을 일으키고 나서 팽창하면서 처음의 뜨거운 열이 냉각되면서 지금은 우주 전체에 적외선의 전자기파 형태로 퍼져 있는 것을 말한다. 빅뱅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로는 주로 우주 속의 수소와 헬륨의 비가 3:1이라는 것과 우주의 팽창, 그리고 우주배경복사이다. 앞의 두 가지는 사실 결정적 증거로서는 부족하며, 다른 우주론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반면 우주배경복사.. 더보기
보고 싶은 서울역 그 친구에게(느낌이 있는 시 20) 보고 싶은 서울역 그 친구에게 통행금지가 엄연히 작동되고 참 을씨년한 서울역 풍경과 낭만이 조금은 남아있던 그 어느 날 물푸레나무 같은 한 소년이 쥐똥나무 같은 나를 따랐다 그는 다짜고짜 나를 형이라 불렀고 나는 그에게 그저 건성건성 나를 편한 친구라 부르라 했다 고향이 강원도 원주 산골이라 했고 몸이 아파 귀향하는 길이라 했다 내가 보아도 왜소한 나보다도 약해 보이는 약골소년이었다 내가 아니어도 분명 그는 낯선 서울에서 운명처럼 외로울 친구였다 쇠말뚝 여러 개 박힌 서울 땅에서 그와 나는 그렇게 그때 꺾인 나무들이었다 그를 격려해 준다는 게 그만 치악산 겨울바람은 숨찬 귀래 엄정 옥녀봉을 거뜬히 넘어 내 고향 예성 중원 땅으로 유유히 불어오는 튼튼한 바람이라 칭찬해주었다 문학적 치기(稚氣)에 빠져있던 .. 더보기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에 대해 신학기초교리공부 33강- 성도의 견인(堅忍;perseverance, 빌 1:6) 1.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소명) 의롭다하심을 받은 (칭의) 자가 다시 타락하여 구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2. 성령님은 성도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를 시작하여 지극히 연약한 신자라도 최후까지 배교(背敎)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합니다(살후 3:3, 딤후 4:18). 이것을 견인이라고 합니다. 견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견인 교리의 역사 1. 선택된 자는 결코 궁극적으로 타락하지는 않을 것이라 주장하나, 동시에 일부 은혜로부터 완전 타락하여 궁극적으로 영원한 저주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진술(어거스틴) 2. 자유의지를 포함하는 반(.. 더보기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란 무슨 의미인가요?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란 무엇인가요? 신학기초교리공부 32강- 성화(聖化 ; sanctification, 벧전 1:15-16) 1. 성경은 늘 창조주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시라 합니다. 특별히 레위기서가 그것을 잘 진술한 계시이지요. 2. 거룩한 창조주께서 거룩하지 않은 피조물과 교제를 하실 리가 없습니다. 3.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되면 반드시 성화의 삶을 살게 됩니다. 4. 즉 성화가 없으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의심 받게 됩니다. 그 성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성화 용어 1. 구약 : “카다쉬”(히): 자르다(to cut)에서 온 말 즉 세상으로부터 분리, 구별되어 하나님께 헌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신약 : “하기아조”(헬): 말이나 행동으로 거.. 더보기
유튜브 등 SNS에서 이단·사이비 분별하는 11가지 지침 유튜브 등 SNS에서 이단·사이비 분별하는 11가지 지침 본 연구소가 알려드린 적이 있는 이단-사이비 분별 지침(정윤석 기독교포털뉴스 대표편집인)을 이대웅 기자(크리스천투데이)께서 소개하고 있어 여기 게재합니다. -편집자 주- 복음적 교회 선택하고, 신뢰할 만한 콘텐츠 이용을 암호식 비유 풀이, 비밀 교육, 시대별 구원 동방한국, 직통계시, 종말 예언, 율법주의 교회 비난, 과도한 음모론, 일상생활 불가 크리스천투데이 제공 | 최근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는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서는 정통 교회들뿐 아니라 각종 이단사이비들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 이단예방 사역단체에서 ‘유튜브에서 이단 분별하는 11가지 지침’을 소개했다. 잘 알려진 이단사이비 단체가 아니라도, 다음 11가지 항목 중 1.. 더보기
초대교회와 영지주의: "오리겐의 영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조덕영 박사) 초대교회와 영지주의: 오리겐의 영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조덕영 영지주의의 토양 알렉산드리아 영지주의는 초대교회 이후 교회를 위협해온 이단적 신학이다. 비록 성경에 노골적인 영지주의나 영지주의자라는 말이 등장하고 있지는 않으나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과 바울은 영지주의를 분명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한동안 영지주의의 주장에 대한 초대교회의 원 사료는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교회가 원 자료 없이 이레니우스(약 125-약 202), 터툴리안 등이 비판한 영지주의에 대한 내용을 주로 참고해 온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초의 조직신학자라고 알려지고 있는 이레니우스가 약 180-189년 사이에 썼다고 알려져 있는 의 본래 이름도 이었다. 그런 가운데 1945년 12월 이집트 중부 룩소르 북쪽으로 80킬로미터 가.. 더보기
사도 바울은 인간을 어떻게 보았는가(조덕영 박사) 사도 바울은 인간을 어떻게 보았는가 조덕영 1. 사도 바울(the Apostle Paul)은 누구인가 사도 바울(Paul)은 과연 누구였을까? 사도 바울만큼 기독교 역사에서 극적이고 독특하고 중요한 인물이 있을까? 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으로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외모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출신과 가문은? 그리고 회심 이전에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부활의 예수를 만난 후 돌연 신앙의 변곡점을 맞았던 것일까? 스스로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 가운데 한번쯤 그에 대한 궁금증이 없었던 사람이 있을까?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행 9:11; 21:39; 22:3)에서 로마 시민이었던 부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성경 속에서 그의 가족에 대해 더 이상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