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과 역사 & 세상 만사

알파벳도 함족에게서 나왔다고?(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알파벳도 함족에게서 나왔다고? 세계 언어, 알파벳 발명자의 조상은 누구인가?(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가나안 땅에 정착한 함의 막내아들 가나안(Canaan) 언어와 문자의 기원 언어는 어디서 오고 문자는 어디서 왔을까? 최초 언어는? 성경은 에덴동산에 이미 아담과 하와에게 계시된 언어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그렇다면 성경 토라의 언어(히브리어) 이전에도 문자가 있었을 것 아닌가? 그렇다. 인류가 지금까지 확인한 가장 오래된 문자와 언어로는 히브리어 이전 수메르의 설형문자(쐐기문자)와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있었다. 이 가운데 세계 최초의 문자 발명 증거가 노출된 곳은 고대 수메르 도시 우륵(현재의 Warka; 성경에서는 Erech, 창 10:10)이었다. 물론 이 학문적 성과가 곧바로 최초 언어를 찾.. 더보기
건축자들의 버린 돌 예수, 함족 붓의 땅 라틴 교부들이 바로 세우다 건축자의 버린 돌 예수, 함족 붓의 땅 라틴 교부들이 바로 세우다 라틴 신학이 시작 된 곳, 함의 후손 “붓”의 땅 기독교 신학, 북아프리카에 빚을 지다 강력한 성령의 역사! 함의 후손 "붓"의 땅, 라틴신학의 원조가 되다! (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붓’이 정착한 북아프리카 땅의 주인 북아프리카의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 모리타니를 마그레브(Maghreb)의 5개국이라 한다. 마그레브는 아라비아어로 이라는 뜻이다. 함의 아들 붓이 도달한 곳은 이렇게 낯설고 먼 일몰의 땅이었다. 세상 사람들은 이곳 토착 원주민을 베르베르인이라 부른다. 베르베르인의 명확한 기원을 밝혀줄 진전된 고고학적 연구는 아직 없다.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간직한 베르베르족은 알제리를 비롯해 모로코와 리비아, 이집트.. 더보기
셈족(유대인)이 버린 예수, 함족(붓) 라틴신학자들이 바로 세우다(1) 셈족(유대인)이 버린 예수, 함족(붓) 라틴신학자들이 바로 세우다(1) 성경과학창조세계관신학 ​ 라틴 신학이 시작 된 곳, 함의 후손 “붓”의 땅 기독교 신학, 북아프리카에 빚을 지다? 강력한 성령의 역사! 함의 후손 "붓"의 땅, 라틴신학의 원조가 되다! (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함족 "붓"의 땅, 리비아 Ptolemais왕조의 유적©Wikipedia 붓의 후손들의 정착지 붓은 함의 셋째 아들이었다(창 10:6; 대상 1:8). 이 붓(Phut)은 셈족 유다 지파 갈렙의 후손인 기럇여아림 족속을 말하는 붓 족속(Puthites)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애굽 비문에 등장하는 동아프리카(소말리아)의 푼트(Punt)와도 구분된다. 푼트와 동일시하려는 주장이 있기는 하나 성경적 근거가 불확실하.. 더보기
“팔레스틴”(블레셋)과 이스라엘, 하나님은 왜 이들을?(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팔레스틴”(블레셋)과 이스라엘, 하나님은 왜 이들을?(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함의 아들 미스라임(애굽과 블레셋)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창세기 10:6) 블레셋은 누구인가 역사의 라이벌 민족들은 참 많다. 프랑스와 영국과 독일이 그랬고, 그리스와 터키가 그렇다. 우리 민족과 일본은 또 어떠한가. 하지만 성경 속 블레셋과 이스라엘처럼 역사 속 적나라한 관계가 있을까? 사람들은 구약 성경을 볼 때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 중심의 유대 역사관을 가지고 접하게 된다. 그러면서 독자들은 블레셋에 관한 편견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된다. 그런데 왜 성경은 블레셋 민족을 경멸의 대상처럼 취급하는 것일까? 예수를 버린 유대인들은 그렇다 치고 팔레스틴의 눈물은 누가 닦아줄 수 있을까?.. 더보기
수에즈 운하로 다시 주목 받는 이집트, 성경은? 수에즈 운하로 다시 주목 받는 이집트, 성경은? 애굽과 팔레스틴의 조상은 누구인가?- 함의 자녀 미스라임(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창세기 10:6) 미스라임 후손들의 정착지 최근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사고로 선박 통행이 한동안 막히면서 다시금 이집트와 수에즈 운하가 세계적 관심 지역으로 떠올랐다. 지중해와 홍해, 인도양을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는 유라시아의 해상실크로드를 연결하는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갖는다. 한때 세계 문명의 개화 지역이었던 이 이집트에 대해 성경은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함의 둘째 아들 “미스라임”(히브리어로 “미츠라임”은 “동쪽”이라는 뜻임)은 우리 성경에서 통상 “애굽”으로 번역되는 단어이다. 즉 미스라임의 후손들은 지금의 .. 더보기
미스라임(애굽과 블레셋)과 이스라엘, 그 질긴 접촉사 미스라임(애굽과 블레셋)과 이스라엘, 그 질긴 접촉사 애굽과 팔레스틴의 조상은 누구인가?- 함의 자녀 미스라임 (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창세기 10:6) ​ 미스라임 후손들의 정착지 함의 둘째 아들 “미스라임”(히브리어로 “미츠라임”은 “동쪽”이라는 뜻임)은 우리 성경에서 통상 “애굽”으로 번역되는 단어이다. 즉 미스라임의 후손들은 지금의 이집트 땅에 정착하였다. ​ 하지만 미스라임의 후손들이 정착한 곳은 단순히 애굽만이 아니었다. 미스라임은 많은 자녀들을 낳았다. 성경에는 루딤, 아나밈, 르하빔, 납두힘, 바드루심, 가슬루힘, 갑도림 등의 미스라임 후손들 이름이 등장한다. ​ 이 중 가슬루힘에게서 블레셋(팔레스틴)이 나왔다고 했다(창 10.. 더보기
커피 원조국 구스(에디오피아)와 대한민국 그리고 구스 족의 미래 커피 원조국 구스(에디오피아)와 대한민국 그리고 구스 족의 미래 함의 장남 구스(2) 시바여왕과 커피를 비롯한 향신료의 나라 에디오피아 성경이 늘 주목하여 언급하는 구스족 6.25참전 에디오피아, 대한민국은 결코 잊을 수 없어 커피로 세계를 평정한 커피 원조의 나라 에디오피아 에디오피아(에티오피아)는 커피의 원조 국가로도 유명하다. 3천 년 전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을 만나러갔던 시바 여왕은 수많은 향신료를 가지고 갔다고 기록되어 있을 만큼, 지금의 에티오피아는 고대로부터 향신료와 향품으로 유명한 지역이었다(왕상 10: 2; 사 60:6; 렘 6:20; 겔 27:22). 시바 여왕이 지금의 커피라는 이름의 열매를 정식으로 가져갔을 리는 없다. 성경은 다만 향품에 대한 스바 지역 사람들의 오랜 명성을 알려주.. 더보기
함의 장남 구스 후손들, 에티오피아와 수메르, 앗수르, 바벨론 지역 개척 주역?(노아 후손들은 어디로 갔을까?) 중동과 아프리카의 주인이 된 함(Ham)의 장남 구스(Cush)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창세기 10:6) 구스 후손들의 정착지 구스는 함의 자녀였다. 함은 노아의 두 번째 아들이었다. 함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을 낳았다. 함의 장남 구스의 후손들은 스바(세바, Seba)와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십드가였다. 스바는 남서부 아라비아에서 홍해를 건너 지금의 수단 지역으로 들어가 스바족이 되었다(시 72:10; 사 43:3; 사 45:14).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십드가도 모두 아라비아와 관련되어있다. 여기서 하윌라는 셈족 욕단의 아들 하윌라와는 다른 인물이다(창 10:29; 대상 1:23). 삽다는 아라비아 고대 도시 “사바타”의 이름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구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