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구약

창조의 기쁨, 사랑의 기쁨, 기쁨의 찬가(아가서의 사랑의 아포리즘 4) 사랑의 기쁨(아가서 강해 4, 아 1: 16-17)​이 본문은 솔로몬의 사랑의 찬가에 대한 술람미 여인의 계속되는 사랑의 찬가이다. 여기에는 사랑하고 사랑 받는 여인의 기쁨이 어떠한지 잘 표현이 되어 있다. 이 신비로운 본문 속으로 들어가 보자.​"나의 사랑하는 자야 너는 어여쁘고 화창하다 우리의 침상은 푸르고우리 집은 백향목 들보, 잣나무 서까래로구나"(아 1:16-17)​기쁨 1. 어여쁨(사랑하는 이는 어여쁘다, 16절 전반)​(1) 사랑하면 어여쁘게 보인다. 어린 자식, 믿음의 자녀 모두 어여쁘다. (2) 어여쁨은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니다. 어여쁨은 인격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술람미 여인이 볼 때 솔로몬은 어여쁜(handsome) 신랑감이었다.(3) 물론 최고의 어여쁜 신랑은 영광의 주님이시다. .. 더보기
사랑의 찬가, 그 미묘한 주고 받음(아가서의 아포리즘 3) 사랑이 진행되면 사랑하는 사람들은 무언가 서로 주고 받게 된다. 그 미묘한 주고 받음은 과연 무엇을 말하는가? 그 안에 어떤 사랑의 본질이 숨어있는가?여기 서로 주고 받는 찬가 속에 나타난 그 미묘한 사랑의 향기를 맡아보자.​"왕이 침상에 앉았을 때에 나의 나도 기름이 향기를 뿜어냈구나나의 사랑하는 자는 내 품 가운데 몰약 향주머니요나의 사랑하는 자는 내게 엔게디 포도원의 고벨화 송이로구나내 사랑아 너는 어여쁘고 어여쁘다 네 눈이 비둘기 같구나"(아가서 1:12-15)​1) 여인의 사랑 찬가(12-14절)​향기 1- 사랑하는 이의 냄새​(1) 술람미 여인은 자신의 연인에게서 향수 냄새를 맡고 자신도 향품을 사용하였다. (2) 솔로몬은 술람미 여인에게서 향수 냄새가 나게 만든 연인이었다. (3) 동서고금을.. 더보기
사랑은 어떻게 진행될까?(조덕영 박사의 아가서 아포리즘 2) 사랑은 어떻게 진행될까?(조덕영 박사의 아가서 아포리즘 2) 사랑이 시작 되면 타는 목마름처럼 갈증과 갈망이 넘쳐나고 고백적 칭찬과 기쁨이 솟아난다. 알 수 없는 자신감이 넘쳐나고 표현과 관심이 증폭된다. 그렇다면 그 사랑은 어떻게 진행되어 갈까?​"여인 중에 어여쁜 자야 네가 알지 못하겠거든 양 떼의 발자취를 따라 목자들의 장막 곁에서 너의 염소 새끼를 먹일지니라 내 사랑아 내가 너를 바로의 병거의 준마에 비하였구나 네 두 뺨은 땋은 머리털로, 네 목은 구슬 꿰미로 아름답구나 우리가 너를 위하여 금 사슬에 은을 박아 만들리라"(아 1:8-11)​1) 사랑은 함께 하며 진행해 간다(8절)​(1) 양떼의 발자취를 따라 양과 목자가 함께하듯 사랑은 역사성을 가진다. 목자와 양처럼 그렇게 사랑은 함께하며 둘만.. 더보기
출애굽기는 어떤 책이고 누가 썼나 멜랑흐톤의 서재©비텐베르크 멜랑흐톤하우스/조덕영 출애굽기Exodus​출애굽기는 어떤 책인가"출발, 나감, 탈출의 책"​1. 저자: 모세1)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은 본래 한권의 책2) 전통적 견해는 모세​2. 제목:​1) 히브리어 원제= "웨엘레 쉐모트"= "그리고 이것들은 ---의 이름들(애굽에 내려간 12명의 야곱 아들들) 이니라"2) 우리들이 "엑소더스"(Exodus)라 알고 있는 출애굽기 이름은 애굽의 알렉산드리아에 체류하던 유대인들이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 역본(Septuagint, 일명 70인역 성경)으로 만들면서 헬라어 "엑소더스"로 표기한 데 기인합니다.3) 이후 라틴어 성경, 영어 성경 등에서 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우리 한글 개혁 개정 성경에까지 의역하여.. 더보기
성 어거스틴의 창세기 해석(1) 성 어거스틴(354-430)의 창세기 해석The earliest known portrait of Augustine in a 6th-century fresco, Lateran, Rome/wikipedia1. 어거스틴은 누구인가"나의 모든 소망은 오직 당신의 긍휼에 의지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시는 바를 행하소서!" -어거스틴- 기독교가 배출한 가장 탁월한 사상가!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 더보기
랍비들이 말하는 토라, 창세기 이야기(변순복 박사 편역) 창세기(창조) 해석에서 불거진서울 신대 박영식 교수 문제가범 기독교의 관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창세기는주전 수천년 전부터 해석에 있어 유대 랍비들의 전유물이었고,주후에도 여전히 유대교와 기독교간 공유된 계시다.​유대교의 랍비들은 이 창세기와 과학의 문제를 어떻게해석하고 평가하고 있을까?이 책은 이미 2000년대 초반출간된 책이다.하지만창세기 창조 논쟁이 벌어진 작금의한국기독교 사태에모세에게 내려졌던여호와 하나님의 계시에 대해 랍비 교육을 받고 랍비 해석을 연구한 변순복 교수의 해설이 담긴 아주 유익한 책으로를강력히 추천한다.​토라란 무엇인가?​'토라'란 '길을 지시하다', '교훈하다'라는 뜻을 가진유대인들의 성경의 처음 다섯 권, 즉 오경(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민수기/신명기)으로서 지혜의 보고일뿐 .. 더보기
과학으로 창세기 1장을 해석하면 안 되는 이유-노아와 아브라함과 모세의 언어는 달랐다(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노아와 아브라함과 모세의 언어는 달랐다(창세기 1장 해석의 딜레마) 출애굽한 모세 일행이 거처간 와디 럼의 암각화©조덕영 히브리 성경 이전의 언어는 무엇이었을까? ​ 인류 최초의 언어는? ​ 언어는 어디서 왔을까? 성경은 에덴 동산에 이미 아담과 하와에게 계시된 언어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 그렇다면 성경 토라의 언어(히브리어) 이전에도 문자가 있었을 것 아닌가? 그렇다. 인류가 지금까지 확인한 가장 오래된 문자와 언어로는 히브리어 이전 수메르의 설형문자(쐐기문자)와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있었다. 이 가운데 세계 최초의 문자 발명 증거가 노출된 곳은 고대 수메르 도시 우륵(현재의 Warka; 성경에서는 Erech, 창 10:10)이었다. ​ 물론 이 학문적 성과가 곧바로 최초의 인류 문명 언어를 찾았음을 .. 더보기
에스겔 번제단(겔 43: 13-18)은 문자적으로 재건되어야 할까? 에스겔 번제단(겔 43: 13-18)은 재건되어야 할까?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주거지였던 브엘세바에서 발견된 번제단©조덕영 당연히 에스겔이 본 번제단이 문자적 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은 성경적 해석이 아니다. 네 개의 뿔을 가진 번제단을 소개하는 팻말 에스겔서 후반부(겔 40-46장)는 새성전에 대한 환상이 전개된다. 여기에는 성전 측량과 성전 완성, 그리고 제단 봉헌과 예물과 제사 규례가 기록되어 있다. 여호와께서는 에스겔에게 새 번제단을 만들고 그 위에 번제를 드리며 피를 뿌리는 규례를 지키라 했다(겔 43: 13-18). 이 계시가 임한 지 2,500년도 더 지난 지금까지도 새성전은 문자적 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있다. 유대교인이 그런다면 이해가 되기도 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