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都氏 아저씨 손톱
톱날과
금속성의 냄새를 타고
가난하게 잡목(雜木)이 잘립니다
都氏 아저씨 손톱도
톱밥처럼 구룹니다
거룩하게 뒹굽니다
세상 살다보면 아,
금속 톱날에도 가끔
저녁 눈물이 아른 거립니다
안경 쓰고
때 묻은 수염 기르고
그렇게 느닷없이 잘려온
광솔처럼 박힌 아픔입니다
저녁 개 짖는 소리도
아름답게 바람 따라 흩어져도
고향 충인동은 잊지 말아야지
일상의 하루가 또 그렇게
고향 저녁 톱질간을 찾아 왔었지요
뒷골방에는 좀 더 힘차게
쭉때기 장작을 지펴대며
그날 저녁
막걸리 잔 화투는
누구도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都氏 아저씨 그 손톱이 톱밥 되어 불 지피는 날
세상의 헛간으로 가
조용히 나는
어린 울음을 울었습니다
시
조덕영
전 한국문학연구회 충북지부 사무국장, 전 국내최장수 월간지, 월간<새벗> 편집자문위원, 1978년 <충청문예>에 시(독경 소리는 젖어서)를 내며 고향에서 시인 고 고찬재(전 민예총 충주지부장), 정재현(전 민예총 충주지부장), 정한용(시인), 한우진(시인), 홍종관(대구교대 교육심리학 교수, 목사), 서효원(무도인) 등과 교류하며 동인 활동. 기독교 최초 한국기독교 최고 권위의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어린이도서부문 최우수상을 2년 연속 수상하다.
'세계관(신앙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 > 느낌이 있는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느낌이 있는 시 17) (0) | 2020.10.29 |
---|---|
고향 국밥을 먹으며(느낌이 있는 시 16) (0) | 2020.10.28 |
도장골 아주머니(느낌이 있는 시 13) (0) | 2020.10.15 |
집시 여인(느낌이 있는 시 12) (0) | 2020.10.12 |
사랑, 그 노래(느낌이 있는 시 11)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