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자연과 성경-하나님이 주신 두 권의 책(계시의 방법과 수단, 계시론)

728x90
 

하나님이 쓰신 두 권의 책

-자연과 성경-

(계시의 방법과 수단)

노이슈반슈타인성(루터가 한때 피신해있었던 바르트부르크성을 모방했다고 알려져있다)

 

Ⅰ. 일반계시

1. 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성격

1) 무한하신 하나님은 유한한 인간에게 계시의 방법으로 자신을 알리신다.

2) 하나님은 만드신 세상과 역사와 사람의 양심을 통해 자신을 증거하신다(시 19:1, 롬 1:20). 이것이 일반계시(자연계시)이다. 그러나 일반계시에는 한계가 있다(인류 범죄로 인한 두 가지 결과=롬 1:21-24).

3) 반면 특별계시에는 자연계시에서 불충분한 <구원의 계획>이 담겨있다. 또한 범죄한 인류를 죄의 세력에서 구출하여 신체와 영혼의 전인격적(지, 정, 의)인 새로운 피조물로의 재창조하시려는데 있다.

4) 즉 자연 안에서 구속에 이르는 참 된 진리를 찾는 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자연도 계시이기는 하나 불완전한 것이다. 계시의 종합학문으로서의 신학이 뒷받침 되지 않는 창조과학이나 지적설계 같은 과학적 변증이 기독교적으로 한계가 있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2. 일반계시의 자리

1) 자연 계시

자연에 나타난 계시(롬 1:20; 시 19편)

2) 역사 섭리 속 계시

역사와 이스라엘과 교회 속에 나타난 계시

3) 인간

지상 최고의 피조물인 영적, 종교적, 도덕적인 인간과 관련된 계시

3. 일반계시의 실재와 유용성

1) 자연신학(자연계시에서 태동한 신학)

(1) 성경 없이도 하나님 증거(?)

(2) 인간의 피조세계 인식의 온전함과 피조세계와의 일치성 탐색

(3) 아리스토텔레스의 가톨릭 신학

(4) 믿음 없이 이성으로 접근하는 능력과 은총

(5)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성과 은총이라는 두 날개

(6) 기본적 사고에 있어 칼빈이나 어거스틴보다 알미니안, 펠라기우스적

(7) 창조과학(20 세기 중반 태동): 헨리 모리스의 저작들 등장(창세기 대홍수, 과학적 창조론 등)

(8) 지적설계(20 세기 중후반 태동): 창조과학의 대안 운동으로 등장

2) 자연신학 비판(목적론적 논쟁의 한계)

(1) 지혜로우시고 자비로우신 하나님이라면 세상의 혼란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2) 자연적 대 재난들 설명 한계

(3) 다양한 질병들

(4) 인간의 비도덕적이며 파괴적인 잔인함

(5) 목적론적 신 존재 증명은 하나님의 존재 증명보다 악마의 존재 증명이 될 가능성(?)

3) 일반계시의 부정

(1) 기독론 중심 칼 바르트의 자연신학과 자연계시 거부(카이저 빌헬름과 히틀러 편에 선 목사와 신학자들, 자유주위 신학사상의 천박함 목격): 계시는 항상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계시만 유일한 계시이다(육신이 되신 말씀)

(2) 키엘 케고르와 마르틴 부버의 주관주의적 진리에 대한 실존주의

4) 관련된 구절 연구

(1) 시편 19편:

단순 명료한 해석이 먼저다. 오캄의 면도날. 보편적 성경 해석의 중요성(3절, 루터와 칼빈), “그 소리가 들려지지 않는 단어는 없으며, 혹은 들려지지 않는 단어들의 소리는 없으며, 또 언어들도 없다”(70인역, 바람직한 해석->에릭슨)

(2) 로마서 1장과 2장:

“하나님을 알만한 것”, 일반계시를 거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

(3) 신이 아닌 바울과 바나바에 대한 루스드라 사람들의 착각(행 14:15-17): 창조주 하나님께로 돌아올 것

(4) 아테네 아레오바고 광장 철학자들에게 분노한 사도 바울(행 17:22-31)

놀랍게도 아레오바고 광장 주변을 찾은 그 수많은 관광객들 가운데 사도 바울이 선교하면서 아덴의 사람들과 논쟁한 안내문(아래)에 관심을 가진 사람은 한 시간이 다 되어가도 찾아볼 수 없었다. 사람들의 시선은 주로 아크로폴리스와 아고라 지역에 있는 듯 했다.

 

아레오바고 광장의 사도행전 말씀(행 17장)을 새긴 동판

5) 일반계시, 그러나 자연신학은 거부함

(1) 칼빈의 일반계시 수긍(영광의 극장, 자연이라는 책)

(2) 분명 일반계시는 있으나 자연신학은 성립할 수 없다(에릭슨)

4. 일반 계시와 인간의 책임

1) 일반계시는 있다(롬 1:20)

2) 특별계시 없이 일반계시만으로 구원에 이르는 이론상의 가능성?(롬 2:1-16)

3) 정죄 기능으로서의 일반계시와 복음 전파의 필요성(롬 장, 10장)

5. 일반계시의 함축된 의미들

1) 접촉점(point of contact)

2) 특별계시를 더욱 온전케 하는 중요한 보충적 지식

3) 선교적 책임 인식 기능

4) 종교의 보편적 현상을 설명해주는 일반계시

5) 피조 세계와 복음 사이의 조화와 상호 간 강화

6) 특별계시를 떠나서 얻게 되는 진리(지식, 도덕, 물리적 진리)도 모두 하나님의 진리이다(기독철학자 아더 홈즈).

https://blog.naver.com/davidycho/220429885496<참조 논문-조덕영 저>

 

자연계시에 대한 두 관점, 어거스틴-칼 바르트

dhfmsWhrdl 에밀 브루너와 바르트(오른쪽이 바르트이다) 영역: 신학/성경 키워드: 자연, 자연 계시, 자연 ...

blog.naver.com

Ⅱ. 특별계시

1. 특별 계시의 정의와 필요성

1) 계시하다(히브리어 “갈라흐”, 헬라어 “아포칼뤼프토”): 감추인 것을 드러내다.

2) 특별계시가 필요한 이유: 인간이 타락하기 전 하나님과 가졌던 관계 회복(일반계시를 초월하는 지식)

3) 특별계시를 필요로 하는 일반계시의 불충분성(양 계시의 상호보완적 이해 요구)

2. 특별계시의 특징과 목적

1) 특별계시에는 자연계시에서 불충분한 구원의 계획이 담겨있습니다.

2) 특별계시의 목적: 범죄한 인류를 죄의 세력에서 구출하여 신체와 영혼의 전인격적(지,정,의)인 새로운 피조물로의 재창조하시려는데 있습니다.

3. 특별계시의 성격

1) 인격적 성격

(1) 떨기나무 불꽃 가운데서 모세에게 나타나신 하나님(출 3:14)

(2) 여호와께서 주시는 복과 평강(민 6:24-26)

(3) 고난을 받되 부끄러워하지 아니함은 나의 의뢰한 자를 내가 알고(딤후 1:12)

2) 인간적 성격

(1) 하나님 편에서의 낮추심

(2) 신인동형동성론(Anthropomorphism)과 조금 다름

(3) 인격적인 이적들의 놀라운 효과(요 12:28)

3) 유비적 성격

(1) 인간이 지식 체계 속에서 표현하시는 하나님의 계시

(2) 유비가 지니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비의 양쪽 모두를 아시는 창조주 하나님

(3) 부가지한(unknowable) 분이 아닌 항상 불가해한(incomprehensible) 하나님

4. 특별계시의 형태

1) 역사적 사건들

(1) 역사 속 현현의 방법으로

불, 연기, 구름 속(출 33:9, 시 99:7,), 구룹 사이(시 80:1), 폭풍우 가운데(욥 33:9, 시 99:7), 세미한 음성,성육신(요 1:1-12,1:14,골 1:19,2:9

(2) 역사 속 예언으로

꿈, 환상, 제비뽑기,우림과 둠밈(민 12:5-7), 예언의 정의(암 3:7-8, 벧후 1:20-21)

(3) 역사 속 이적으로

예언의 말씀 확증(막 16:20, 행 14:3), 성육신 사건(사 7:14, 마 1:23)

2) 하나님의 말씀하심

(1) 여호와께서 가라사대(출, 렘, 겔, 호, 욜, 암, 사 등)

(2) 신비한 말씀

3) 성육신

(1) 태초로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을 듣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다(요일 1:1)

(2)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든”(요 14:9)

5. 특별 계시는 명제(정보의 전달: 참과 거짓의 단순한 논리 판단)적인가, 아니면 인격적인 것인가?

1) 계시는 명제적 진리를 포함한다.

2) 하지만 하나님에 대한 명제들이 비인격적일 필요는 없다.

6. 계시로서의 성서

1) 계시의 명제적 요소는 진리의 보존을 가능하게 한다.

2) 계시는 점진적이다(점진적 진화발전 사상과 오해하지 말 것).

3) 따라서 모든 진리의 계시(성서)는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며 보충의 성격을 가져, 점점 더 온전한 형태로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을 제공한다.

4) 즉 우리 어리석고 죄악 된 인간들은 계시(성서)를 통해 하나님을 알고 자녀들에게 약속하신 것들과 사람들에게 기대하고 계신 것들을 아는 지식에서 자라갈 수 있게 되었다.

7. 정리(묵상과 적용)

1) 계시는 무엇입니까?

2) 하나님이 주신 두권의 책(계시)은 무엇인가?

3)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계시는 무엇입니까(계시의 목적)?

https://blog.naver.com/davidycho/220268231227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