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신학의 분류 2(계시신학-주경신학<성서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

728x90
 

신학의 분류

계시신학(주경신학<성서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1. 주경신학

1) 창조주 하나님이 친히 주신 계시(성경)를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신학을 말한다.

2) 주경신학에는

(1) 총론으로서 성서고고학, 성서언어학, 신구약총론, 정경론, 해석학

(2) 성서주석학

(3) 성서신학(구약신학, 신약신학) 등이 있다.

2. 역사신학

1) 역사신학은 기독교의 역사를 추적하는 모든 영역을 말한다.

2) 역사신학에는

(1) 성서적 역사(성경사, 성경교리)

(2) 교회의 역사(교회사, 교리사, 교부학, 신조학, 기독교역사신학, 기독교역사철학)신학 등이 있다.

3. 조직신학

※밀라드 에릭슨(노스웨스턴대 박사, 조직신학, 뮌헨대 연구, 베델신학대학원 학장 역임)의 신학

1) 시대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학(찰스 핫지, A. Strong<1836-1921, 예일대,로체스터, 베를린 수학, 로체스터대-침례교 목회>, 루이스 벌콥을 넘어)

2) 복음주의 학자들이 헤석학 분야에서 이루어놓은 작업과 결과들을 활용, 현대 문화 속 인식, 재진술

3) 고전적인 정통주의

4) 성서 권위와 현대 사이의 미묘한 균형(지평 융합, 전자를 선택)

5) 초창기 버나드 램(캘리포니아 버클리 서부 침례신학교 교수, 조직신학) 영향

6) 박사과정 중 윌리엄 호던(루터신학교 학장, 노스웨스턴 대와 개릿신학교) 영향

7) 판넨 베르크 영향(독일 뮌헨대 박사 후 과정)

8) 온타리오 헤밀턴 맥마스터 신학교 클락 피녹("철저해야 한다는 관념에 노예가 되지 말라", "책을 전화번호부처럼 읽게 하지 말고, 찬송가처럼 노래하게 하라".)

가. 하나님을 연구하는 일

창조주 하나님의 피조물, 특별히 인간과 그의 상태, 그리고 인류와의 관계에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이해하려는 것

1) 신학은 성경적이다.

2) 신학은 조직적(체계적)이다.

3) 신학은 또한 일반문화와 학문의 주제들(기원, 과학, 심리학, 역사 철학과 섭리 등)과 관련된다.

4) 신학은 또한 현대적이어야 한다(현대 문화와 문명 속 다양한 과제와 도전과 위험성 존재).

5) 마지막으로 신학은 실천적이어야 한다.

나. 조직신학의 정의와 분류;

1. 기독교 진리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고 변증하며, 보다 성경적으로 수립해나가려는 학문.

1) 조직신학(벌콥, 핫지, 스트롱 등)

2) 신학 체계(반 틸, 변증학에서 System of Truth)

3) 교의 신학(박형용 박사)

4) 교리학(바빙크, 호크마, 칼 바르트, 에밀 브룬너)

5) 기독교신학Christian Theology(에릭슨)

6) 신학, 신론(좁은 의미에서 하나님에 대한 학문)

2. 조직신학의 영역

1) 교의학: 서론, 신론(삼위일체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구원론, 교회론, 천사-마귀론, 종말론

2) 변증학(Christian Apologetics, 辨證學)과 험증학(Christian Evidences, 驗證學): 기독교 변증학(Christian Apologetics, 辨證學)은 비기독교철학에 대응하는 기독교 철학의 증명. 즉 변증학의 목표는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함으로써 기독교의 유신론(theism)을 증명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변증학의 영역은 어떤 한 부분(예를 들면 과학적 변증)만이 아니라 기독교 전체라 보면 됩니다. 기독교 유신론의 본질은 창조와 타락과 구속으로 이어지는 전우주적인 면을 다루며 통일체적이므로 변증학은 매우 포괄적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변증학은 모든 신학의 공동 관심사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 면에서 변증과 교리(敎理)는 상호 협조적인 관계를 가진 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증학과 신학은 서로 상호의존적인 것입니다.

반면에 기독교 험증학은 기독교의 사실성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을 말합니다. 좁게 말하면 기독교 변증학에서 그 존재를 증명한 하나님이 인류에게 베푸시는 기독교의 ‘구원 교리’의 타당성과 참됨을 변증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버나드 램(Bernard Ramm)은 험증학이 철학적이거나 이론적이라기보다는, 과학적이며 역사적인 영역에서 기독교의 사실성의 증명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이라 하였습니다. 기독교의 전제론적(presuppositional) 변증학자인 코넬리우스 반 틸(Conelius Van Til)도 험증학을 과학(여기서 과학은 자연과학만이 아닌 광범위한 의미의 과학을 말함, 즉 학문에 가까운 말)의 공격으로부터 기독교 유신론을 변호하는 학문이라 정의 하였습니다.

박형룡 박사는 “변증학은 특히 기독교 신론의 지위를 확보하기를 목적하고, 험증학은 주로 기독교의 경험 사실에 관한 정해(正解)를 유지하기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전자는 사실보다 철학(적 논리)에 관심을 갖고, 후자는 철학보다 사실을 더 많이 취급하게 된다.”(<험증학>, 박형룡 저작 선집 Ⅻ,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78, 23)

3) 화해론(Irenics):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화해를 성취하셨는가를 다루는 학문(ft. 칼바르트의 화해론>)

4) 윤리학(도덕, 윤리, 신학, 결의론[Casuistry, 決疑論]<신앙과 윤리문제를 법조문 식으로 규정하여 해결하려는 방식- 칼빈의 비판> 등)

5) 요리문답(要理問答 , Catechisms): 기독교교리를 문답식으로 엮은 책(교리문답이라고도 함): 웨스트민스터, 루터교, 각 교파별 문답

다. 조직신학의 방법

1) 성경 자료들의 수집

2) 성경 자료들의 통합

3) 성경 교훈들의 의미 분석("born again", 요 3:7)

4) 역사적인 논법들에 대한 조사(역사신학과의 호환)

5) 교리의 본질을 확인하는 일(영원하고 불변한 본질적인 것과 문화적 상황, "고린도교회의 교인들에게")

6) 성경 이외 자료로부터의 조명(롬 1:20, 외경, 보완적 자료들, 특별계시와 일반계시의 조화)

7) 교리의 현대적 표현(폴 틸리히의 "상관의 방법", 프란시스 쉐퍼의 "철학과 문화", 본회퍼의 "값싼 은혜", 상황화, 신학의 "길이"<시간, 역사>와 "폭"<환경과 문화>, "높이"<어거스틴, 칼빈, 슐라이엘 마허, 바르트 수준>, 복음은 늘 "거리끼고" "미련한 것", 고전 1:23)

8) 신학의 중심 모티프(루터의 십자가 신학, 칼빈의 하나님의 주권, 틸리히의 존재의 근거, 스웨덴 룬트학파의 "하나님의 사랑", 오스카 쿨만의 "이미와 아직", 하나님의 위엄과 영광을 향하여)

9) 다양한 주제들

라. 조직신학의 기능(임무)

1) 절대의존감정(슐라이엘마허)

2) 기독교신학을 학문적으로 이해(도적적, 주관주의적, 리츨)

3) 기독교의 우월성과 참 된 의미(상대주의, 트뢸치)

4) 하나님에 대한 교회의 언어 조사, 신적 계시와 일치하는 가 확증, 교의들의 상호 관계(칼 바르트)

5) 절대적으로 타당한 진리를 학문적 형식으로 표현하며, 기독교 교리 전부를 포괄하는 작업(찰스 핫지)

6)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정확하게 계시에 의존하여 지적으로 재생하는 것(헤르만 바빙크)

7)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계시를 통해 명석한 통찰로 연구하나 신학 각 분야의 유기적 총체를 고려(아브라함 카이퍼)

8) 신앙 고백에 구현된 교의들을 성경에 의거하여 전체적으로 조직하며 증명하고, 비평 보충(벌콥)

9) 교리에 대한 건설적 연구, 증명적,변호적 임무, 비평적 임무, 전도적 임무(박형용 박사)

마. 신학적 진술들의 권위의 정도

1) 성경의 직접적 진술에 가장 큰 비중을 둘 것

2) 성경의 직접적 함축된 의미에도 역시 비중

3) 성경의 개연적 함의들(잠정적인 것들)

4) 성경의 귀납적 결론들

5) 특별계시와 일반계시의 관계를 바르게 이해할 것

6) 성경의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부분들로부터 단정적인 중요한 결론을 유도하는 위험성.

바. 기독교 진리의 시대화 작업

1. 시대에 뒤떨어진 기독교(?)

1) 루돌프 불트만의 "신약성서와 신화"

2) 삼층 구조(하늘, 땅, 마귀와 귀신들의 지옥)의 세계관

3) 코페르니쿠스(1473-1543, 지동설)의 등장

4) 질병과 귀신들림과 쪽팡이와 코로나 바이러스 대소동(기도의 용사들 모두 어디로?)

5) 성경 속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운송 수단과 현대 기기들 등장

2. 기독교의 항구적인 것들

1) 교회(제도적 요소들)

2) 하나님의 사역

3) 경험들(육체적 부활, 영혼 불멸, 심판 등 본질적 경험들)

4) 교리들(역사적 핵심 교리들, 그레샴 메이천)

5) 삶의 방식(기독교 윤리)

3. 시대에 맞는 신학을 만드는 두 가지 방법(윌리엄 홀던William Hordern, President and Professor at Lutheran Theological Seminary)

1) 변혁자들transformer(급진론자들): 자유주의, 현대주의, 사신신학자(알타이저, 해밀턴, 반 뷰렌), world come of ages(본 회퍼)

2) 번역자들translator(기독교 메시지의 본질 유지를 위한 신학자들)

4. 항구적 진리의 기준 속 작업

1) 여러 문화 속 항구적 불변의 것들(성경의 항구적 진리)

2) 보편적 상황(귀납적 특수 상황이 아닌 근본 정신을 이해할 것)

3) 기초가 되는 항구적 요소 분별력(구원, 결혼의 영속성)

4) 본질적인 것과 경험과의 연결성(그리스도의 부활과 우리의 부활, 고전 15:17)

5) 점진적인 계시 발전 과정과 최종형태(해 마다 드리는 대제사장의 구약적 피 제사<히 9:1-10>와 사역 성취로서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피<12절>)

4. 실천신학

1) 신학이 목회적 돌봄에서 발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된 목회신학을 말한다.

2) 실천신학에는

(1) 예배학

(2) 설교학

(3) 전도학(선교학)

(4) 목회학

(5) 상담학 등이 있다.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