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과 성령론

728x90
 

Ⅰ. 어거스틴(St. Augustine, Aurelius Augustinus)의 교회론

 

"나의 모든 소망은

오직 당신의 긍휼에 의지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시는 바를 행하소서!"

-어거스틴-

​기독교가 배출한 초대 교회 가장 탁월한 사상가!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다 같이 존경하는 교부 신학의 완성자!>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 히포에서 멀지않은 Numidia의 Tagaste라는 작은 마을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375년 수사학 교사, 376년 카르타고 수사학 교사).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빠지다(373년, 구약과 신약 신은 서로 다르다/ 신약의 신이 더 우월/ 예수도 훌륭한 스승/ 헌신/ 금욕/ 채식 강요). 어머니의 근심! 9년 계속!

7) 377년 아프리카 총독 주관 웅변 대회 우승. 친구 마니교로 개종!

8) 대학 교수가 되다

9) 383년 환락 도시 로마 행! 어머니 반대!

10) 밀라노 수사학학교 교장이 되다!

11) 웅변을 들으려고 기독교 설교를 몰래 듣다! 기독교에 대한 오해가 조금씩 누그러 지다!

12) 밀라노에서 기독교로 개종(386년, 회심!, Solioquia독백록 씀)

386년 8월 모든 것 버리고 수도원에 들어 온 사람들 이야기를 듣고 충격으로 하나님께 부르짖음! 어느 정원 무화과 나무 아래 쓰러져 울고 있을 때, 이웃 아이들 노래 소리 가사! 펴서 읽어라(Tolle Lege)! 성경을 펴다!

"밤이 깊고 낮이 가까왔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어두움의 일을 벗고 빛의 갑옷을 입으라

-중략-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못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롬 13: 12-14!>

13) 암브로스의 설교에 감화. 세례 받다(387년, 모니카 별세).

14) 히포에서 장로 안수(391년). 북아프리카 교구 감독이 되다!

15) 히포 부감독과 감독이 됨 도나티스트 감독과 논쟁 시작(395-396)

16) 참회록 저술(397-8)

17) 펠라기우스 논쟁(412-31)

18) 삼위일체(De Trinitate) 저술(416)

19) 신국론(De Civitate Dei, 신의 도성) 저술(413-426)

20) 반달족 침입·포위 가운데 히포에서 하나님의 부르심(430)

​2. 주요 사상

1) 펠라기우스(영국 아일랜드 태생/ 경건한 수도사설/ 5세기초 로마 행)와 논쟁

펠라기우스=

(1) 원죄는 없다

(2) 선행 능력 강조

(3) 유아 세례 반대(유아는 타락 이전 상태이므로 세례 받지 않아도 영생)

(4) 따라서 인간은 하나님의 명령을 지킬 수 있는 가에 집중해야 하는 자기 운명을 지배하는 주인이다.

2) 어거스틴의 원죄론

(1)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오염되었다

(2) 인간 원죄는 도무지 치료받을 수 없는 질병과 같다

(3) 원죄는 감당 할 수 없는 힘과 같다(진흙탕에 빠진 트럭)

(4) 원죄는 인간에서 인간으로 전해지는 죄책이다.

3) 어거스틴의 은총론 그리고 이성

그래서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

(어거스틴을 은총박사Doctor Gratiae라 부르는 이유).

(1) 은혜는 그리스도의 값으로 얻는 하나님이 주시는 것=

(2) 은혜는 우리가 전적으로 자신의 힘에 의지 하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한다.

(3) 하나님의 사랑이 미치지 못할 죄인은 없다!!

(4) 구제 불능으로 보이는 사람에게도 임한다(고전 15:9-10)

(5) 즉 은총은 자유의지보다 선행한다!.

(6) 신앙은 찾고 지성은 발견한다(Fides quaerit, intellectus invenit)

# 1. 펠라기우스의 제자 켈레스티우스 정죄(412년 카르타고 회의)

2. 418년 펠라기우스도 정죄

3. 원죄 교리 확정 및 은총만을 의지하는 종교로서의 기독교 복음 확정

4) 어머니를 떠나 로마로 떠나던 어거스틴에게 찾아오신 하나님!.

(1) 은혜가 인간 본성을 해방한다.

(2) 은혜는 인간 본성의 치유자 이다.

5) 무천년설, 후천년설의 근거 제공

6) 연옥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죽음의 중간 지대에 대한 암시(죽은 어머니 모니카를 위한 기도!). 개신교와 다른 사상.

3. 어거스틴의 교회론

1) 어거스틴은 대체로 Cyprian의 사상을 수용.

(1) 로마교회가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신뢰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

(2) 그러나 그의 교회론이 죄와 은총론처럼 탁월하지 못하게 된 것은 애석한 일이다.

(3) 그는 키프리안처럼 사도적 권위가 감독의 계승에 의해 유지된다고 보았으며,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했다.

(4) 그는 교회의 순수성을 교회의 직원과 성례, 관리권을 가진 객관적인 교회의 조직에서 찾았다. 또한 주관적 순수성을 내면적으로 경건한 자들이 악인과 분리된다는 의미에서 보았다.

(5) 성례는 단순히 상징이 아니라 실제적 하나님의 능력이다. 세례 시에 하나님은 죄를 용서하시고, 성찬에서 실제적으로 영적 회복을 주신다.

2)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으로서의 교회

(1)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그리스도는 아버지와 동등한 영원한 말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보자, 그리고 교회)

(2) 머리와 몸은 한 그리스도

(3) 신비적인 몸으로서의 교회 설교-많은 포도송이와 포도즙의 일치 비유(sermon, 272)

3) 성령의 친교로서의 신약 교회

(1) 사랑(Caritas)의 친교가 이루어지는 교회

(2) 사랑이신 하나님

4) 교회의 하나됨, 일치(unitas, una ecclesia, 통일성)

(1)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은 교회와 분리된다.

(2) 도나투스파들의 분열(성령 안에 있지 않다는 증거)

(3) 그러나 어서스틴은 도나투스파들을 완전히 교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그리스도 안에서 친교하는 길이 열리기를 열망함.

5) 교회의 거룩성(santitas, sancta ecclesia)

(1) 오점도 주름살도 없는 거룩한 교회!

(2) 하지만 거룩한 교회 안에는 예정된 성도, 아직 사악한 상태에 있는 자, 여전한 죄인인 자들이 여전히 섞여 있다.

(3) 목회자로서 어거스틴의 잃어버린 양들에 대한 관심(도나투스파들을 강제로 교회로 수용하기 위한 제국 관료들의 압박은 동의하고, 거부한 사람들의 처형은 거부)

6) 교회의 보편성(catholica ecclesia)

(1) 어거스틴은 도나투스파와의 논쟁에서 보편적(catholic)이라는 말을 지리적 형용사로 사용함

(2) 그러나 어거스틴은 교회의 개념을 시간적인 것으로 확장 시킴.

(3) 머리를 그리스도로 하는 몸은 “아벨로부터 시작하여 최후에 선택된 사람에 이르기까지” 은총으로 의롭게 사는 모든 사람들과 똑같은 사람의 영역을 누린다.

7) 교회의 사도성(apostalica ecclesia)

(1) 감독은 임명자가 최소한 3사람은 되어야 함(니케아 공의회 결정)

(2) 어거스틴은 도나투스파 감독들이 정당하게 임명되었고 그들이 다른 감독들을 정당하게 임명했을 경우 수용해야 된다고 봄(사도적 정통 교회들 가운데 분파 확산에 기여한 해석.

8) 어머니로서의 교회(Ecclesia mater)

(1) 라틴신학자 터툴리안과 키프리안의 은유

(2) 가정의 자녀들은 대단히 다양하다!

(3) 그리스도의 어머니 마리아와 로마 교회가 지체 교회를 탄생시키는 유사성과 상이성을 묘사(머리와 지체들 사이의 신비적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성모 마리아가 교회의 은유적, 신비적 전형이 됨. 하지만 마리아도 아들을 통해 성화되고 구원 받았기에, 그녀도 결국 많은 성도 가운데 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회는 그녀보다 더 크고 위대하다.)

9) 하나님의 도성(Civitas Dei)과 교회

(1) 하늘의 하나님의 도성과 반역하여 타락한 도성(누구를 사랑하는가? 자기 자신? 하나님?). 이 두 도성의 시조들은 가인과 아벨. 지상 평화에도 관심.

(2) 지상 나라는 하나님을멸시하는 자애(amor sui)에 의해 형성되고, 하늘의 도성은 자신을 멸시하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amor Dei)에 의해 형성된다.

(3) 하나님의 도성을 가톨릭 교회와 동일시.

(4) 교회는 순례하는 하나님의 도성(하나님에 대한 사랑은 천국소망Meditatio Futuravitae로 나타나야)

(5) 이 보편적 교회관은 16세기 종교개혁자 칼빈에 의해 선택 받은 사람들의 불가시적인 교제로서의 교회론으로~~

Ⅱ.어거스틴의 성령론

 

로마의 Lateran church에 있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초기의 어거스틴의 초상화, 6 세기

1.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

1) 어거스틴은 그의 책 “삼위일체”의 제 8권 이후에서 사람의 마음과 영혼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들어서 삼위일체를 설명하고 있다.

2) 먼저 어거스틴은 삼위일체 문제를 푸는데 있어 지켜야 할 원칙이 있음을 밝힌다. 그 중 흔적과 관련된 몇 가지 원칙을 발췌하여 간추려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 안에서는 한 위격보다 세 위격이 더 크지 않다는 것을 이성에 의해서 밝힌다.

둘째, 하나님이 어떻게 진리이신가를 이해하려면 모든 물체적인 생각을 버려야 한다.

셋째, 하나님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바른 믿음으로 그를 알아야 한다.

3) ​어거스틴은 알지 못하는 삼위일체를 어떻게 사랑할 수 있느냐고 반문한다. 그러면서 어거스틴은 사랑에는 마치 삼위일체의 형적처럼 세 가지 면이 있음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4) 그는 그의 “삼위일체” 15권 2절의 제목으로 “하나님은 비록 이해할 수 없을지라도 항상 찾아야 한다. 삼위일체의 흔적을 피조물에서 찾는 것은 무익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5) “성경이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그 사랑에 의해서 하나님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사랑하는 이 ’와 ‘사랑받는 대상’ 과 ‘사랑’이라는 삼위일체인 것이다”(제 8권). 또 사람의 마음을 분석해 보면 ‘마음’과 ‘마음이 자체를 아는 그 지식’과 ‘마음이 자체와 자체에 대한 지식을 사랑하는 그 사랑’, 이 셋이 동등하며 한 본질이다”(9권). 더 나아가서 “‘기억’과 ‘이해력’과 ‘의지’는 더욱 명백한 삼위일체이다”(제 10권). 그리고 “외면적 인간에게서도 ‘보이는 물체와’ ‘보는 사람의 눈에 인상으로 박히는 그 형태’와 ‘이 둘을 결부하는 의지의 목적’, 이 셋으로 되는 삼위일체를 볼 수 있다”(제 11권)

6) 어거스틴은 <고백록>에서 자아 안에 있는 세 가지 형태인 존재와 지식과 의욕(esse, nosse, velle)을 가지고 삼위일체적 흔적을 말한다. 나는 존재하며 그것을 알고 의욕을 가진다. 이 세 가지 안에서 우리는 먼저 하나의 삶이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음을 발견한다. 어거스틴에 의하면 마음과 지식과 사랑(mens, notitia, amor)도 삼위일체의 흔적이다. 마음이 그 자체를 알아야 하며, 자체를 알기 위해서는 그 마음을 사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7) 지식 행동에서 사랑을 중요시한 것은 플라톤이었으나, 어거스틴도 지식과 사랑을 불가분리(不可分離)의 것으로 생각한다. 어거스틴은 하나님은 사랑이라고 말한 요한 서신으로부터 이들 생각을 얻은 것으로 알려진다.

8) 어거스틴은 이 사랑이야말로 삼위일체의 지식에 도달하는 길이라 볼 정도였다. 지식은 복음주의를 말할 때 거부되지 않는다. 어거스틴에 따르면 기억과 지식, 의지(memoria, intelligentia, voluntas)도 흔적이다. 어거스틴은 지각이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선물이라 보았다. 그 지각으로써 우리는 하나님이 계신다는 것과 진리와 선을 알게 된다.

9) 동시에 영혼은 그 자체 안에 하나님의 형상이 있음을 알게 되며 그 결과 자체도 알게 된다. 그것은 이성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이성은 주로 추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 대하여 지각은 하나님을 묵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사유하는 기능을 말하는 인식과도 다르다. 오히려 그것은 사유의 근원이며, 따라서 사유적 지식을 넘어서 있다. 이와 같이 ‘인텔리겐치아’(intelligentia)는 무의식 중의 명상과 직관적 비전을 의미한다. 중세기 초에는 주관적인 종교적 의식의 현상에 관심이 집중된다. ‘인식, 고찰, 명상,’ ‘신앙, 이성, 명상’ 또는 신비주의의 ‘정화, 조명, 직관’이 삼위일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2. 성령의 신성(성령이 하나님이시며 인격자이신 증거)

1) 성령의 속성 :하나님께 적용되는 속성들

*영원성 : 영원하신 성령(히 9:14)

*편재성 : 주의 신을 떠나 어디로 가며(시 139:7-10)

*전능성 :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리니(눅 1: 35)

*전지성 : 성령은 모든 것 곧 하나님의 깊은 것이라도 통달하시느니라...하나님의 사정도 하나님의 영 외에는 아무도 알지 못하느니라(고전 2: 10-11)

*절대적 주권 : 그 때에 예수께서 성령에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 받으러 광야로(마 4:1)

2) 삼위일체의 견지에서 증거

*천지 창조 시 삼위일체의 사역(창1:1; 요 1:3; 창 1:2)

*거룩하심 : 인자를 거역하면 사하심을 얻되 누구든지 말로 성령을 거역하면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도 사하심을 얻지 못하리라(레 11: 44; 마 12:32)

*사랑 : 하나님은 사랑이시라(요일 4:8;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 롬 8:37-39; 성령의 *열매: 갈 5:22)

*진리 : 하나님을 참되다, 성령을 한량없이 주심(요 3:33-34; 요 14:6; 진리의 영: 요 14:17)

3) 성령의 역사가 하나님의 역사임

*천지 창조: 그 신으로 하늘을 단장하심(창 1:2, 욥 26:13, 주의 영을 보내어 저희를 창조하사 지면을 새롭게: 시 104:30)

*죽은 자를 살리심: 『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롬 8:11)

*중생케 하심: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요 3:5-7)

*세상을 책망: 보혜사는 죄에 대하여, 의에 대하여, 심판에 대하여 세상을 책망한다(요 16:8)

*귀신 쫓음: 하나님의 성령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한 것(마 12:28)

*말씀의 계시, 예언: 예언은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다(벧후 1:21, 여호와의 신<영>이 나를 빙자<통>하여 말하심이여: 삼하 23:2-3)

4) 성경은 하나님과 성령을 동등시함

*세계를 3위 이름으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마 28:19)

*하나님과 성령께 거짓말 함이로다: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행 5:3, 4)

*같은 내용의 비교: 성령이 우리에게 증거하시 되 주께서 가라사대 그 날 후 저희와 세울 언약(렘 31:33-히 10:15-16)

*주는 영이시다(고후 3:17).

*성령은 분명히 하나님이라 불리움: 네가 성령을 속이었느냐, 사람 아닌 하나님께로다(행 5:3,4)

*하나님의 성전, 하나님의 성령(고전 3:16)

*여호와와 성령이 같은 분: 성령이 선지자 이사야로 말씀하신 것이 옳도다(행 28:25,26)

3. 어거스틴 성령론 속 성령의 신성

1) 어거스틴 성령론에 있어 성령은 피조물이 아니시다.

2) 성령은 분명한 하나님으로, 성부와 성자와 공통하시며, 동등한 본질로 서로 영원하다.

3) 따라서 성령은 동일한 하나의 실체(substance)요, 동일한 동등성으로 존재하신다.

4) 하나님은 영(요 4:24)이시며, 사랑이시라(요일 4:16):

*성령을 성부와 성자 사이를 이어주는 끈(?)으로 묘사.

*사랑의 비인격화로 성령을 위격이기보다 힘(force)으로 보는 위험 초래.(사랑의 추상화)

*주관적 감정이 하나님의 존재 그 자체와 동일 시 되는 위험성 내포

5) 피조세계 속에서 하나님의 삼위일체 흔적을 살펴보려는 위험한 도전( 이 같은 유비는 오해의 소지)

6) 갑바도기아 교부들의 삼위일체론 사상에 동조

7) ‘사랑의 영’이 하나님이 되는 신학은 심판과 구속의 변증법이 폐기되면서 단일하며 전체주의적이고 실체적으로 비인격적인 사랑만 남는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유니테리언 신학의 위험성 존재(김석환 교수)

조덕영 교수(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