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 도서 소개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존 H. 월튼 저)

728x90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존 H. 월튼 저)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존 H. 월튼 저

저자 존 H. 월튼(John H. Walton, 1952-)은

『창세기 1장의 잃어버린 세계』와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이라는 독창적인 저술을 통해, 구약성서 특히 창세기와 고대 근동 문헌 간의 비교 연구를 시도하고 있는 구약학자이다.

정통 복음주의 신학자들은

성경을 창조주 하나님의 계시로 접근한다.

반면

구약학자 월튼은

고대 근동(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환경이라는 컨텍스트를 가지고

성경이라는 텍스트, 특별히 창세기 1장을 접근하고 있다.

즉 저자는 고대 근동 문헌을 이해해야 창세기의 우주 창조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이 같은 이해와 접근 방식이 월튼의 독자적 창안은 아니다.

다만 월튼은

고대 근동의 창조론이라는 컨텍스트를 가지고

좀 더 면밀하게 이 작업에 접근을 시도한 학자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월튼은

아카드, 수메르, 이집트, 우가리트, 히타이트 등

고대 근동 문헌을 통해

그 안에 담긴 우주론과 세계관을 추출한 뒤

이를 창세기 1장과 정밀하게 비교한다.

그 결과 창세기 1장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무시간적인 계시의 산물이 아니라,

고대 근동의 인지 환경과 상당히 많은 내용을 공유하는 역사적 산물임을 추적한다.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문헌은 최소 두 가지 측면에서 세계관을 공유한다.

첫째, 고대 근동의 창조 이야기에서는

물질의 기원에 관심을 기울이는 대신 그 기능과 질서에 초점을 맞춘다. 이렇게 볼 때 창세기 1장의 주요 내용은 하나님이 세상을 언제 어떻게 만드셨느냐가 아니라, 오히려 그분이 세상을 무슨 목적으로 만드셨느냐가 된다. 곧 창세기 1장 이야기는 하나님이 자기가 만드신 우주와 세계에 기능과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무에서의 창조를 강조하는 정통 신학과는 분명 궤를 달리하는 점근이요 해석법이다.

둘째, 고대 근동 문헌에서는

신들이 엿새에 걸쳐 신전을 세운 뒤 일곱째 날에 신전에서 안식하는 행위가 반복된다. 여기서 신들의 안식은 완성된 신전에서 신전을 통치하는 행위를 뜻한다.

따라서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이 엿새 동안 세상을 만드시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신 것은 우주를 하나님의 임재의 처소, 곧 성전으로 창조하신 후 완성된 성전에서 신적인 통치를 시작하셨다는 뜻이다.

이렇게 월튼은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의 인지 환경은 정확히 대응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양자 간에 차이점도 있다.

첫째, 고대 근동 문헌에 등장하는 신들은 우주의 일부로서, 우주 안에 내재한다. 하지만 성경의 하나님은 우주 밖에서, 우주를 창조한 초월자로 등장한다.

둘째, 고대 근동 문헌에서 신들이 인간을 창조하는 목적은 신들의 노역을 대신 담당하게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까닭은 그분의 형상으로서 우주 성전을 관리하고 통치하는 역할을 위임하기 위함이다.

유명한 구약신학자 브루스 월키는 월튼의 작업에 대해

“창세기 1장을 우주적 성전의 개시로 읽는 월튼의 관점은, 복잡한 논란의 대상이 되는 이 성경 본문의 해석사에서 기념비적 사례로 우뚝 서 있다.”고 했다.

종래의 젊은 지구론, 오랜 지구론, 유신 진화론 등이 창세기 1장의 해석을 물질의 시작에 초점을 맞춘 작업이라면, 월튼의 우주 성전론은 분명 신학적으로 전혀 새로운 견해일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과 과학적 해석의 관계에서도 진일보한 관점을 제공한다.

즉 월튼은

창세기 1장에 대해 물질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고대 다른 지역의 문헌들과 마찬가지로 창세기 1장의 창조 기사도 다양한 기능을 창설함으로써 우주에 질서를 부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역설한다.

그에 따라 월튼은 창세기 1장의 우주론을 “성전” 키워드 우주를 읽는 해석으로 나아가는 독특한 신학임을 숨기지 않는다.

이제 판단은 독자 몫이다.

주로 구약학자들이

이 저서를 추천(아래)하고 있다.

추천의 글

이 책을 통해 창세기 1장에 기록된 창조 이야기가 피조물의 물질적 구성보다 그것의 기능에 더 관심을 두었다는 사실, 그리고 창조 이야기가 성전 건축의 이미지로 구성되었다는 사실만 깨달아도 창세기 1장에 대한 여러 불필요한 논쟁이 사라질 것이다. _ 김구원 | 개신대학원대학교

이 책은 학문적 격조를 지키면서도 복음주의적 신앙의 기조를 유지하려는 독자들에게 따뜻한 창세기 안내서가 될 것이다. _ 김회권 | 숭실대학교

저자의 핵심 주장은 고대 근동(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만의 인지 환경이 있다는 사실을 존중해야 고대 근동 문헌으로서 창세기의 우주 창조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매우 흥미진진하면서도 도전적인 주장을 담고 있어서 창조론에 대한 독자들의 고정적인 생각을 과감하게 흔들어놓을 것이다.

_ 류호준 | 백석대학교

복잡한 이슈를 정리해주는 것, 반대로 단순해 보이는 문제의 복합성을 보게 해주는 것이 좋은 책의 미덕이라면, 월튼의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은 병행하기 어려운 이 두 과제를 동시에 시도해서 성공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방대한 자료와 치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담백한 해석을 환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기 원하는 독자라면, 이 책을 산 것을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_ 유선명 | 백석대학교

창세기 1장을 고대 우주론의 표본으로 삼고, 창세기 본문과 수많은 고대 근동의 자료를 학문적으로 비교 분석한 탁월한 연구서다. 앞으로 창세기 1장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통과해야 할 최고의 안내서가 될 것이다. _ 차준희 | 한세대학교

월튼은 창조를 기능과 질서라는 중요한 키워드로 풀어내면서 고대 근동 세계관이 성서에 끼친 영향과 아울러 성서가 묘사하는 창조의 독특성을 파헤친다. 창세기 1장의 창조를 고대의 우주관 속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과학과 균형 잡힌 대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지침서다. _ 홍국평 | 연세대학교

목차

머리말

약어

1장 우주론과 비교 연구: 방법론

2장 고대 근동 문헌에 나타나는 창조

3장 고대 우주론적 인지 환경

4장 창세기 1장

5장 결론

참고 문헌

저자 존 H. 월튼(John H. Walton, 1952-)

『창세기 1장의 잃어버린 세계』와 『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이라는 독창적인 저술을 통해, 구약성서 특히 창세기와 고대 근동 문헌 간의 비교 연구에 탁월한 업적을 세운 신학자다. 히브루유니언 칼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무디 성경 대학에서 20여 년간 가르쳤으며, 현재는 휘튼 칼리지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앞에서 소개한 저술 외에도 『고대 근동 문화와 성경의 권위』『고대 근동 사상과 구약성경』『IVP 성경배경주석』『NIV 적용주석-창세기』『구약개론』 등 다수가 있으며 최근작으로는 Tremper Longman III, Stephen O. Moshier와 공동 저술 하여 2018년 3월에 출간한 The Lost World of the Flood: Mythology, Theology, and the Deluge Debate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