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신약

눅 10: 25-37, <오직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는 것>이 예수님이 말씀하신 전부인가?

728x90

필리핀 마닐라 국립박물관에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말해주는 더 깊은 의미

<오직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는 것>이 예수님이 말씀하신 전부인가?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눅 10: 25-37절)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수님이 친히 말씀하신 유명한 비유입니다. 이 말씀은 아주 단순하고 쉬운 듯 하나 실은 해석상 더 깊게 묵상해야 될 필요가 있는 심오한 의미가 섞여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본문은 오해의 여지가 있고 한국교회에 그 핵심 의미가 잘못 전달되고 있는 구절 중 하나입니다.

이 본문은 율법사(모세 율법 가르침의 전문가)가 영생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 지 그 영생의 길에 대해 질문하면서 예수를 시험하고 이에 대해 예수님이 비유로 답하는 장면입니다.

율법사가 영생의 길에 대해 예수를 시험하여 물을 때(25절) 예수님은 율법사가 스스로 율법의 답을 제시하도록 반문합니다(26절). 예수님은 아주 탁월한 수사학적인(rhetorical) 방법을 사용하신 것입니다. 성경은 잘 아시는 대로 두 가지 길을 말하는 데 첫째는 마음과 목숨과 힘과 뜻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것이고, 둘째는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것입니다(27절). 이 두 가지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영생의 핵심입니다. 율법사가 당연히 그것을 잘 알았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한다고 구원 받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게 가능하지가 않기 때문입니다. 가능하다면 예수님은 이 땅에 오실 필요도 없고 기독교가 전혀 필요 없습니다. 따라서 그렇게 구원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율법사에게 네 말이 맞다고 한번 그렇게 행해보라고 말합니다(28절). 그러자 말귀를 못 알아들은 율법사는 예수님 말꼬리를 붙잡고 누가 네 이웃이냐고 꼬치꼬치 다시 질문을 시작합니다(29절). 이때 예수님께서 유명한 강도 만난 이웃 비유를 듭니다(30-37절).

이 본문의 진리는 그 흐름상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첫째 예수님은 말씀을 소중히 여기셨다.
영생의 진리는 말씀으로 부터 나온다. 따라서 예수님은 율법사에게 말씀을 가지고 스스로 답하게 만드심.

2) 둘째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중요성을 말씀하신다.
다만 참 하나님을 모르면 근본적으로 참 하나님 사랑과 참 이웃 사랑은 불가능하다.

3) 누가 참 된 이웃인가?
강도 만난 자를 돌 본 사람이 참된 이웃이다. 따라서 예루살렘의 어떤 제사장과 한 레위인과 어떤 사마리아 인 가운데 강도 만난 자의 참 이웃은 사마리아인이다. 그러니 나를 시험하는 율법사여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해보아라!

이것이 본문의 내용입니다. 그런데 여기까지 설교하면 그것은 도덕 설교요 행위 설교입니다. 이것을 깨닫는 것이 본문의 중요한 변곡점입니다.

주님은 거룩한 것을 개에게 진주를 돼지에게 주지 않으시는 분이시지요. 지금 예수님은 자신을 시험하는 율법사에게 참 거룩한 것을, 참 진주를 던지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즉 성경의 요지는 제사장도, 레위인도, 선한 사마리아인도, 율법사도 모두 자연인일 뿐이라는 겁니다. 자연인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사는 것이 율법의 도입니다. 이것은 율법사 스스로 잘 아는 사실입니다. 나를 시험하는 율법사여 그렇게 한번 살아보라고 재촉하시는 것입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사는 것 당연히 중요하지요 아마 이것은 불교도들도 잘 압니다.

성경 전문가인 율법사는 예수님 못지않게 이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하지만 예수님 대답의 핵심 의도는 이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요 그 사랑이신 하나님을 당연히 사랑해야 지요 그런데 그 사랑의 본체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신 것이지요. 그 예수를 시험하면서 생명의 길에 대해 답하라고 재촉하는 율법사에게 본문은 예수님께서 자신을 숨기시고 상식적인(일반은총적인) 율법을 가지고 답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복음은 교훈과 행함을 무시하지 않습니다. 다만 선한 사람이 되는 게 문제가 아니라 영생을 위해서는 행함이 아닌 다른 것이 필요합니다. 그 다른 것! 바로 십자가! 예수님은 영생의 길에 대해 묻는 율법사에게 이 십자가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이 율법사는 예수님을 시험하면서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을 옳게 보이려고 만 하였습니다. 말귀를 못알아듣고 예수님 말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율법사에게 예수님은 그럼 그렇게 율법사 네가 스스로 잘 알듯이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한번 살아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해도 말귀를 못알아 들으면 그 율법사는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율법과 복음의 근본적 차이요 율법사와 제자가 다른 점입니다. 이것은 오늘날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율법사처럼 예수님을 시험하고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는 것이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펠라기안들에게, 사도 바울은 <만일 의롭게 되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다>(갈 2:21)고 복음의 핵심을 알리고 있는 것입니다. 때로는 참 예수쟁이들보다 사이비 예수쟁이들이 외형적 율법으로는 바른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들에게는 오늘 본문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율법과 행함, 중요합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는 것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나 <선한 사마리아인만>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예수님은 오늘 본문에서 행함과 구원이라는 두 중요한 법의 분별과 차이에 대해 성도들이 알기를 원하신다고 봅니다. 오늘 본문의 율법사는 자신이 늘 잘 알던 율법에 대해서는 예수님을 통해 다시 들었으나 복음에 대해서는 듣지 못했습니다. 대단히 안타까운 일이었습니다. 근본적으로 예수님을 시험하였으므로 예수님도 율법사에게 복음에 대해 침묵하시고 일반은총(상식선)으로 말하고 계신 것입니다.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에 대해 이제 오늘날 한국 교회가 무엇을 간과하고 있는 지 잘 아시겠지요?



조덕영 목사(창조신학연구소, 조직신학, T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