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728x90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창조신학기초교리공부 16-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죄(罪)는 무엇인가(로마서 5:12)         

성경이 분명 말하는 것은 우리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 살펴봅시다.


가.죄는 어디서 왔을까요?

1.하나님은 죄를 창시하신 분이 아닙니다.
2.죄는 천사의 타락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딤전 3:6, 벧후 2:4, 유1:6,요일 3:8).
범죄한 천사가 바로 사단입니다.
3.사람의 죄의 기원은 아담의 타락과 관련이 되어있습니다(창 3:1-6, 요 8:44).



나.선악과를 따먹은 행위에 나타난 죄의 요소

사람은 인격적 존재(지성, 감정, 의지를 가진 존재)이므로 죄도 인격을 타고 옵니다.

1.지성=교만과 불신앙
2.의지=하나님과 같이 되고자하는 의지
3.감정=방종(Concupiscence)

※겸손의 필요성과 중요성(마 11:28, 벧전 5:5,6, 시 2:4,9)



다.죄는 무엇인가요?(죄의 본질)

1.죄(sin)는 악(evil)이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모든 악이 죄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해로운 것, 재난, 질병 등을 악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다 악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죄는 악보다 구체적입니다. 죄는 도덕적입니다.

2.죄는 절대적 성질을 가집니다(마 10:32, 눅 11:23, 약 2:10).

죄에 중간지대는 없습니다.

3.죄는 늘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과 관련이 되어있습니다(롬 1:32, 약 2:9, 요일 3:4).

죄는 불법으로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불순종입니다.   
하나님의 율법이 지니는 세 가지 용도 중  죄에 대한 책망과 율법의 요구에 대한 무능력을 알게하는 즉 죄를 깨닫게 하는 기능(A usus elenchticus or pedagogicus)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법을 어기는 것이 곧 죄입니다.

4.죄에는 죄책과 부패도 포함됩니다.

죄책(guilt)이란 하나님의 율법이나 요구를 어긴 행위에 대해 처벌 또는 정죄받게된 상태(객관적 결과)를 말합니다. 죄책에는 항상 부패가 따르기 마련입니다(욥 15:14-16).

5.범죄의 자리는 마음에 있습니다(막 7:21-23).

6.범죄는 겉으로 드러난 행위만을 말하지 않습니다.(마 5:22, 28, 롬 7:7).


라.죄의 결과

죄가 가져다 준 결과는 너무 처참하고 심각합니다. 다음 9가지가 그 핵심입니다.

1.하나님의 형상 상실
2.하나님과의 교제 상실
3.부끄러움과 불결함(창 3:7)
4.두려움(창 3:8,10, 잠 28:1)
5.책임회피와 핑계(창 3:12-13)
6.하나님 회피
7.낙원 추방
8.고통과 수고
9.사망의 법(엡 2:3)

--------------------------------------------------------------------
마.정리(묵상과 적용)

1.죄는 범죄한  (      )와 관련되어 있다.
2.사람의 죄의 기원은 (      )의 타락과 관련되어 있다.

조덕영(창조신학연구소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