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신학

천년왕국 논쟁(종말론 4. 최종 강의안, 요한계시록 20장 4-6절)

728x90
 
성경과학창조세계관신학

천년왕국(millenium) 논쟁(계 20:4-6) 【종말론 4】

Ⅰ. 성경 해석

가. 들면서

1. 요한계시록 20장은 성경 66권 1,189장 가운데 다른 장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오직 소위 “천년왕국”과 관련된 핵심 장입니다.

2. 그 가운데서도 4-6절에는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 동안 왕 노릇한다는 부활한 성도들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3. 그렇다면 부활한 성도들과 천년왕국에 대해 본문은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요?

나. 본문

1. 요한이 여러 하늘 보좌를 보다(4절)

1) 사단의 “보좌”(“위”, 2:13)와 짐승의 "보좌"(13:2; 16:10)와 대비되는 이 보좌("드로노스", thrones)는 하늘에 있는 보좌였습니다.

2) 이 하늘 보좌에 심판하는 권세를 받은 자들(부활한 자들)이 앉아 있었습니다.

2. 부활한 자들은 누구인가(4절)

1) 부활한 자들

(1) 첫째, 순교자: 예수님을 증거하고 하나님 말씀을 전하다가 처형당한 순교자들의 영혼

(2) 둘째, 잠재적 순교자: 짐승이나 그의 우상에게 경배하지 않고 이마와 손에 짐승의 표를 받지 아니한 사람들

2) "천년 동안 왕 노릇"하는 자들

(1) 이들은 살아서 그리스도로 더불어 "천년 동안 왕 노릇"합니다.

(2) 그리스도인이요 고난 속 믿음을 지키고 충성했다는 점에서 부활한 이들 곧, 신실한 두 무리는 동일합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은 순교자들과 잠재적 순교자들로서 충성을 다한 이들 두 무리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계시록을 읽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 강렬한 도전을 주고 있습니다.

니콜라스 뢰더(Nicolas Roeder)의 트란시(transi, 시체묘상, 屍體墓像), Nicolas Roeder는 1510년에 사망한 스트라스부르의 후원자): 생전의 모습과 기도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해골, 미라 같은 시체상©루터파 성 토마스 교회 내 트랑시

3. 첫째 부활(ἀνάστασις ή πρῶτη, 아나스타시스 헤 프로테)의 의미(5절-6절)

1) 첫째 부활

(1) 사도 요한은 이들 부활한 성도들을 첫째 부활이라 표현하고 있습니다.

(2) 나머지 죽은 사람들은 천년이 차기까지 살지 못하였습니다.

2) 첫째 부활에 참여한 자들

(1) 요한은 이들 첫째 부활에 참여한 자들이 복 되고 거룩한 사람들이라 말합니다.

(2) 천년동안 왕노릇:

이들은 둘째 죽음의 지배를 받지 않고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년동안 그리스도와 함께 왕 노릇하게 됩니다.

(3) 이 천년 동안과 첫째 부활에 대한 견해에 따라 교회와 신학은 소위 “천년왕국”에 대해 4가지 견해가 있어왔습니다.

3) 첫째 부활에 대한 견해?(계시록 해석 방법에 따른 크게 두 가지 해석이 있음)

❶ 주님의 재림 때 성도들이 먼저 육신적으로 부활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전천년설)

❷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의 중생 체험으로 보는 견해(무천년설)

(※아래 천년왕국 논쟁 참조)

다. 무엇이 복 된 삶인가

1) 잠시잠간인 세상

(1) 여전히 공중에 권세 잡은 자(엡 2:2) 사단이나 그 보좌와 권세는 잠시잠간 제한적임을 잊지 마십시오.

(2) 사실 기억해야 하는 것은 크고 흰 보좌와 거기에 따른 최후 심판(계 20:11-15)일 것입니다.

2) 최후 심판

(1) 생명책에 이름이 기록되지 아니한 사람들은 모두 각자 행위대로 심판을 받습니다.

(2) 이때 사망과 지옥도 불 못에 던져졌습니다.

(3) 사람들은 보통 사망과 지옥이 전부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불 못이 또 있었습니다. 불 못은 또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4) 성경은 이 불 못이 곧 "둘째 사망"이라 말합니다. 불 못은 좀 더 궁극적인 최후 심판의 단계임을 보여줍니다. 즉 불신자들은 죽으면 사망과 음부에 들어갔다가 마지막 심판 때에 최후 심판으로서 불 못에 던져지는 데 이것이 바로 두 번째 죽음인 것입니다.

(5)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하면 영원한 불 못이 기다리고 있음을 명심하십시오.

3) 영원한 영광의 하늘보좌

(1) 요한이 목격한 <하늘 보좌 부활한 성도들>에 대한 상징을 통해 요한계시록은 <주님의 십자가가 모든 악의 권세를 제압>하였음을 보여줍니다.

(2) 또한 첫째 부활에 참예한 성도들이 왕 같은 제사장으로 얼마나 복 되고 거룩하고 영광된 자들인지를 오늘을 사는 성도들에게 계시하고 있습니다.

Ⅱ. 천년왕국 논쟁

가. 성경 속 천년왕국

1. 천년 왕국에 대한 성경의 언급

(1) 천년을 말하는 관련 단어는 요한계시록 20장 2-7절 사이에 총 6회 등장합니다.

(2) 이 가운데 직접 천년왕국을 말하는 구절은 요한계시록 20장 4-6절에 있는 ‘일천년χίλια동안("킬리아 에테") 왕노릇하리라’라는 두번(4절, 6절)의 말씀이 전부입니다.

(3) 요한은 첫째 부활에 참여한 자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년 동안 그리스도로 더불어 왕노릇하리라 기록하고 있습니다(계 20:6).

(4) 천년 왕국론의 난제:

① 예수 종말론, 바울 종말론, 베드로 종말론 등에 등장하지 않는 천년왕국론 해석의 난제

② 하나님께서 "천년"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고 숨기신 이유는?(adiaphora?, "tzimtzum?"-God withdrawing to make "room" for the cosmos)

2. 천년왕국의 의미

이것은 최후심판 이전에 사단이 결박되고 순교한 성도들과 진정한 성도들이 장차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동안 지상에서 왕노릇한다는 견해입니다. 이 부분을 살펴봅시다.

나.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과 현대신학의 천년 왕국 이해

그의 나라는 끝이 없다.

cuius regni non erit finis.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주후 381) 2조

1. 이레네우스(주후 130경-200)

1) 제 7일 안식일에 상응하는 안식과 샬롬의 나라로서의 천년왕국

2) 창조세계의 실체와 실존은 결코 멸절되지 않는다(영지주의 의식). 없어지는 것(고전 7:31)은 오직 그 속에 있는 죄성과 부정성

3) 미래 지향적 종말론

2. 터툴리안(160경-225)

1) 사도적 전승과 신앙 규범에 따른 이레네우스(미래 지향적 종말론) 전통

2) 몬타누스파에 가담함으로 임박한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에 대한 기대 속에서 대단히 엄격한 윤리생활과 영성생활 추구

3) 예루살렘 대신 페푸자(프리기아)

4) 시한부 종말론

5) 사도 전승 밖 열광적 성령의 계시

6) 교회 갱신에 생기와 역동성을 가졌으나 주님의 재림이 지연되면서 교회의 탈종말화(신학과 신앙에 있어)

3. 오리겐Origen(185?-254?)

1) 문자적 천년 왕국 부정

2) 보석으로 채워진 또 다른 지상 예루살렘?: 또 다시 육체적 욕망 충족의 천년왕국? 이방인들이 밭 갈고 성벽 재건하고 무너진 성을 세워 부활한 성도들에 부역 종사?

3) 사도들의 이해를 따라 떡을 생명의 떡으로 이해: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다시 포도주? 목 마르고 굶주린 자들에게 육체적 배부름? 지상 존귀 영화?

4) 육체적 지상 천년 왕국이 아닌 하나님과 그 진리의 지식을 알게 됨

4. 가이사의 유세비우스(260년경~339)

1) 팔레스틴? 장로.<교회사>Ecclesiastical history

2) 콘스탄틴 통치 하의 기독교적 낙관론(제국 멸망 410-470)

3) 현재주의적 실현된 종말론(기독교 제국)

5.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주후 381) 천년 왕국 수용하지 않음

"cuius regni non erit finis."콘스탄티노플 공의회(주후 381) 2조

6. 어거스틴Augustine(354-430)

1) 초기 천년왕국(De civitate Dei, ⅩⅩ, 7)

2) 나중 생각을 바꾸어 천년을 주의 초림부터 재림까지의 교회 기간으로 이해(De civitate Dei ⅩⅩ. 6, 7, 8, 9)

3) 계시록 20장 천년왕국은 몸이 부활한 후의 일이 아니고 현세에서 주의 재림까지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성도들이 그리스도와 함께 다스림으로 단정

4) 천년이란 온전한 시기를 말함

5) 첫 부활을 문자적 육체 부활이 아닌 영혼의 중생으로 봄

6) 둘째 부활을 육체의 부활로 해석(De civitate Dei, ⅩⅩ, 6)

7) 둘째 죽음은 불신자들의 최후 심판 죽음으로 봄

8) 천년이 차기까지 살지 못함은 마지막 심판에서 죽음에 이름을 말함

7.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

1) 문자적 천년왕국 부정

2) 음식과 성이 필요 없는 부활한 사람들(Summa Contra Gentiles/Comments on Ⅳ, caput 83항)

3) 부활 후 자녀를 낳는다면 원죄 없는 출생이므로 그리스도의 구속과 상관 없게 되어 그리스도께서 머리가 되지 못하게 되기에 천년왕국론은 무법하고 악함

4) 그리스도께서 부활 후 먹은 것은 부활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지 천년왕국 실체를 증명하기 위함이 아님

5) 아담은 본성에서는 아직 완전하지 않았음

6) 교회가 하나님 나라이고 천년은 교회시대 전체임

8. 마르틴 루터(1483-1546)

1) 천년왕국 거부(천년이 하루 같음)

2) 천년왕국의 끝과 사탄이 놓여남(계 20:7-8)은 교황이 적그리스도가 됨이다

3) 주의 재림 대망

4) 그가 오실 때가 마지막

5) 그가 올 때 성도는 그와 함께 부활

멜랑흐톤의 서재©조덕영

9. 멜랑흐톤(1497-1560)

1) 인문주의자 로이힐린(1455-1522)의 증손자, 신동, 에라스쿠스 칭찬

2) 1518 비텐베르크 헬라어 교수

3) 천년왕국론은 유대주의의 오류

4) 천년왕국 시 경건한 자들이 다스리고 무기로 불경한 자들을 말살하고 세상 나라를 취한 것이라는 재세례파 주장은 유대주의에서 파생

5) 합리 온건

6) 성찬론은 칼빈, 예정론에 있어서는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칭의론은 루터보다 더 법정적 견해

7) 전통적 공교회 종말론 입장

8) <Loci Communes>(1521), 신학요론

종교개혁의 3인물(좌로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멜랑흐톤 하우스에서)

10. 칼빈(1509-1564)

1) 문자적 천년왕국 반대

2) 그리스도 통치를 문자적 천년에 국한하는 것은 장래 생명의 유업을 향유하는 것을 천년에 국한 하는 것으로 그리스도와 그의 나라를 욕 되게 하는 것(강요, 3, 25, 3) 논박할 가치조차 없는 유치한 주장

4) 계시록은 문자적 천년을 전혀 지지하지 않음

5) 성경은 택함 받은 자들의 영원한 복락과 악인들의 영벌을 가르침(마 25:41, 46)

6) 그리스도의 왕국을 어떤 경우든 잠정적이라 가르치는 것은 신적인 것을 전혀 모르는 것이요 하나님의 은혜와 그리스도의 능력을 무효화하는 교활한 꾀

7) 그리스도 능려그이 성취는 죄가 제거되고 죽음이 삼켜지고 영생이 완전히 회복될 때에 이루어짐(강요 3. 25.5)

8) 하나님의 엄위와 공의의 영원성(악인의 죄를 잠정적이라 여겨 하나님의 엄위를 너무 작게 여기지 말 것)

11.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Confessio Augustana, 1530)

1) 정죄 받은 사람들과 악마들에게 형벌의 끝은 없음

2) 유대적 견해 배격

3) 죽은 자들의 부활 전에 경건한 자들이 세계 왕국을 차지하고 악인은 어느 곳에서든 압제를 받을 것이라는 주장 정죄

12. 제 2 스위스 신앙고백(Confessio Helvetaca Posterior, 1566)

1) 천년기론 언급않고 공교회 종말론 반복

2) 불신자와 불경한 자들은 마귀와 함께 지옥으로 내려가서 영구히 고통을 당하되 그 고통에서 해방되지 못한다(​(Confessio Helvetaca Posterior, ⅩⅠ, 13)

13. 벨직 신앙고백서(1561)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1563)

1) 천년왕국론 침묵

2) 공교회 종말론 수용

1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1) 천년왕국론 취급하지 않음

2) "하나님은 한 날을 지목하셔서 의로써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모든 세상을 심판하실 것"

3) 의인들이 영생에 들어가 충만한 기쁨을 누리며 주의 얼굴에서 나오는 안식을 누리는 반면, 악인들은 하나님을 무시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순종하지 않았으므로 영원히 고통을 당하고 주의 얼굴로부터 영원한 멸망으로 벌을 받을 것이다(33, De ultimo judicio).

4) 최후 심판의 이중적 결과(the double Outcome of the Last Judg(e)ment)

15. 계몽주의 이후

1) Sapere Aude!(dare to be wise, 이성중심의 사고)

2) 계몽주의 이후 과학자들의 예언서와 요한계시록에 대한 관심

3) 보편사와 우주 만물 속 과학과 기술에 의해 열릴 천년왕국에 대한 미래적 꿈

4) 초월이 아닌 우주 내재적 천년왕국

5) 우주는 단순 정교한 시계(기계론)가 아닌 이성이라는 보이지 않는 배후의 하나님의 손길이 작용(일종의 내재적 낙관론)

6) 구약과 신약의 시대는 지나갔으며 영원한 복음인 이성의 시대 도래(Gotthold Ephraim Lessing, 1729-1781, 작센의 가난한 목사 아들, 극작가)

7) 미래 지향적 지상 천국

8) 내재적 모더니즘적 천년왕국(슐라이엘 마허, 하르낙, 리츨)

9) 새예루살렘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 천국(마르크스)

16. 후천년설 등장

1) 17-18세기 개혁주의 계통 경건주의자들은 천년왕국설 거부

2) 18세기 루터교 계통 경건주의자들에게서 후천년설 대두

3) 18세가 뉴잉글랜드 복음주의 각성운동의 주인공 조나단 에드워즈의 후천년주의(칼빈 전통에 따른 인간 죄성을 수용하기에 온건한 후천년주의)

4) 진화론에 적극 반대하는 19세기 후반 미국 근본주의 개신교의 반발(전천년왕국론 지향)

17. 현대신학자들의 종말론 속 천년왕국설

1) 몰트만의 모더니즘적 미래 유토피아를 향한 역사적 전천년설

2) 칼 바르트의 18-19 세기 낙관론적 역사 내적 천년왕국론 거부(철저하게 종말론적 기독교)

3) 알버트 슈바이처의 종말론: 예수의 하나님 나라는 이 세상 개선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예수의 생애와 죽음은 종말론적 역사).

다. 천년왕국설의 종류

1. 무천년설(현천년설)

1) 대표 신학자

(1) 화란 개혁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와 루이스 벌코프, 베르카우어, 게할더스 보스 등이 주장

(2) 이 견해에 대한 가장 최근의 대표자는 윌리암 핸드릭슨(그의 요한계시록 주석과 내세론 등)

2) 무천년설의 관점

(1) 요한계시록이 상징적 묘사가 많기에 오로지 요한복음 20장에 등장하는 이 구절도 문자적 천년왕국으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2) 문자적 1천년이 그렇게 중요한 구절이라면 종말을 언급한 많은 신약 성경의 다른 저자들도 한번쯤은 이 문제를 다루었을 겁니다. 그런데 이상합니다. 예수님도 다른 신약성경의 저자들도 문자적 천년을 한번도 다루지를 않았습니다.

(3) 따라서 신체를 떠난 영혼들은 하늘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영적으로 왕노릇한다는 이론입니다(예수님 초림과 재림 사이를 천년왕국으로 보는 입장).

(4) 즉 요한계시록 20장에 나오는 천년은 문자적 천년이 아닌 ‘완전’ 혹은 ‘완성’을 의미하며 그리스도의 초림부터 재림 사이의 기간이라고 주장합니다(상징적 해석)

(5) 환난에 관한 입장: 역사 속 크고 작은 환난은 늘 있는 것이지 어떤 특정한 때 별난 환난이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고 보는 입장

(6) 최후 심판: 불신자, 사악한 자들의 부활과 최후 심판은 주의 재림과 동시에 일어날 것으로 봄

(7) 무천년이라는 직설적 어감 때문에 현천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8) 어떤 이론이라도 학자들마다 미세한 차이가 있기 마련인 것처럼 문자적 천년은 부정한다고 해도 신학자들마다 사소한 성경적 견해의 차이는 있습니다.

2. 후천년설

1) 대표신학자

(1) 데이빗 브라운, 삼대 핫지로 불리우는 Charles·A. A․·C. W. 핫지, 스트롱, B. 워필드

(2) 로레인 뵈트너(프린스턴에서 찰스 핫지 사사), 감리교 계통의 알미니안 신학자들, 천년왕국 주장하는 자유주의신학자들

2) 후천년설의 관점

(1) 천년왕국이 이 세상에 도래한 후 예수님께서 재림한다는 이론입니다(왕국 후 재림).

(2) 즉, 복음전파와 성령의 역사로 전 세계가 기독교화되리라는 주장

(3)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 성화를 긍정적, 낙관적으로 보는 입장

(4) 무천년설과 유사하나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무천년설이 세상의 끝이 다가올수록 무법과 신을 부정하는 사상이 창궐하고 적그리스도가 출현한다고 보기에 세상과 인류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반면, 후천년설은 인간과 세상에 대해 긍정적이며 낙관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성경을 좀 더 인본주의적으로 봄

(5) 따라서 후천년설자들은 성화적 낙관주의자들이라는 점에서 과학에 있어서는 진화론적 사상을 수용할 가능성이 큼

3. 역사적 전천년설

1) 대표적 신학자

(1) 역사속 초대교회 터툴리안, 이레니우스, 저스틴 등이 주장

(2) 한국의 박형룡 박사와 박윤선 박사께서 주장. 가장 최근 M. J. 에릭슨 그리고 미국 풀러신학교 죠오지 엘돈 래드(Ladd) 교수이며, 그의 주요 저서인 ‘복된 소망’, ‘하나님 나라의 복음’,‘미래의 실존’,‘요한계시록 주석’등, 총신의 고 천정웅 교수 등.

2) 역사적 전천년설의 관점

(1)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신 다음 천년 동안 이 지상 왕국을 다스리시고 그 이후에 하나님의 구속사역의 최후 절정을 이룰 새 하늘과 새 땅이 도래한다는 견해입니다.

(2) 휴거와 재림을 동시로 봄

(3) 신자 부활은 천년왕국 시초에 있고 불신자 부활은 천년 왕국 끝에 있다고 봄

(4) 심판은 대환란 끝 주의 재림 때 있고 교회는 환란을 통과해야 합니다.

(5) 반드시 천년이라는 개념을 문자적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과 문자대로 1천년을 믿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4.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1) 대표신학자

(1) 펜테코스트, 홀린세이, 조지 뮬러, 성결교단(김응조, 강용조 목사), 하나님의 성회, 많은 부흥사들

(2) 예성 교단은 교단 차원에서의 세대주의 전천년설을 선포한 적은 없다고 함

2) 세대주의 전천년설의 관점

(1) 역사적 전천년설보다 좀 더 문자적 해석에 집중

(2) 재림을 공중 재림과 지상 재림으로 나눔

(3) 교회는 환란을 통과하지 않는다고 봄(환란 전 휴거).

(4) 7년 대 환란 후 재림이 있습니다.

(5) 부활은 약 3번 나누어집니다(휴거 시, 환란 때 또는 환란 이후, 천년왕국 후)

(6) 심판도 3번 심판입니다(휴거 시=신자, 환난 끝=유대인과 이방인, 천년왕국 후=불신자).

(7) 천년 왕국은 문자 그대로 1천년으로 봅니다.

(8) 공중 재림으로 어린 양 혼인잔치를 베푸는 동안 지상에는 환난이 있고 이 때 이스라엘이 회심합니다.

(9) 문자적 천년왕국이 끝날 때 극악무도한 악마가 다시 나올 것인데 이는 사단이 놓임으로 일어날 사건으로 봄

(10) 이 짧은 고통의 시기가 지나면 불신자와 사악한 자들의 부활이 있고 곧이어 크고 흰 보좌 앞에서의 최후 심판(일명 백보좌 심판)이 있게 됩니다.

(11) 성경 예언을 문자적으로 연결하기에 이 견해에 있어서도 신학자들마다 세세한 차이들이 있습니다.

(12) 성경 내용을 문자적으로 연결하여 마치 만화를 보는 것처럼 종말의 파노라마를 강렬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과거 부흥사들이 이 같은 설교를 많이 함

5. 참고 사항

* 천년왕국에 대한 유명 기독교 학자들의 입장

1) 어거스틴=> 초기는 전천년적, 후기는 후천년적 또는 무천년적 경향

2) 평택대 전신 피어선 신학교 설립자 아더 피어선=> 초기는 후천년주의, 조지 뮬러를 만난 후 전천년주의로 전환(그 이유는 아마도 선교사로서 좀 더 역동적으로 주님의 재림을 대망하면서 입장을 바꾼 듯)

3) 칼빈과 벤저민 워필드=> 후대의 칼빈주의자들은 서로 이들 두 사람이 무천년 혹은 후천년적이라고 서로 상반되게 주장

4) 감리교의 요한 웨슬리=> 체계적 종말론을 제시하지 않음

(1) 웨슬리의 후천년설적 입장=> 그리스도 재림 시기를 천년왕국 이후로 본 것

(2) 웨슬리의 무천년적 입장=> 웨슬리는 천년왕국이 지상왕국이 아닌 하늘에서 이루어지는 영적 왕국으로 본 점

(3) 웨슬리를 후천년주의자가 아니라 전천년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등장=> 19c 후반 감리교 성결운동의 급진파 지도자들: 대표적 주장은 왓슨(George D. Watson, 1896년)

*휴거설도 사람마다 다음과 같이 복잡합니다(그래서 종말론적 이단과 사이비들이 많이 나올 가능성이 많음을 늘 염두에 두십시오)!

1) 환난 중 휴거설

2) 환난 전 휴거설

3) 환난 후 휴거설

4) 부분 휴거설

5) 환난 통과설

조덕영 교수(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