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교회란 무엇인가?(한스 큉Hans Küng, <1928-2021. 4. 6>의 교회론)

728x90

한스 큉(Hans Küng)의 교회론(교회론강좌)

한스 큉

 

Ⅰ. 한스 큉은 누구인가

 

1928년 스위스 루체른주 주르제 출생

교황청 부설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공부

1954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 서품

1960년 독일 튀빙겐 대학 기초신학 교수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자문위원으로 활동

1963년 튀빙겐 대학 교의신학과 교회일치 신학 담당

1964년 튀빙겐 대학 부설 교회일치신학 연구소 소장 겸임

1979년 로마 가톨릭교회 교사직(missio canonica) 박탈당함

(사유: 교황 무류성 등의 교리들을 비판)

1996년~ 은퇴, 튀빙겐 대 명예교수 활동

저서

《모짜르트, 음악과 신앙의 만남》 (이레서원: 2007)

《교회란 무엇인가》(분도출판사, 1978)

《가톨릭교회》(을유문화사)

《위대한 그리스도교 사상가들》(크리스천헤럴드)

《왜 그리스도인인가》(분도출판사)

《세계윤리 구상》(분도출판사)

《문학과 종교》(분도출판사) / 발터 옌스와 공저

《그리스도교》(분도출판사)

《神은 存在하는가?》(분도출판사)

《음악과 종교》(이기숙 역, 포노, 2017)

Die Kirche, The Church, 1967)

 

Ⅱ. 한스 킹의

'교회란 무엇인가'(Was ist Kirche?, 1970)

'교회'(Die Kirche, The Churc, 1967)의 축약본.

따라서 두 권의 목차가 다르다.

일반 성도들이 수월하게 독서할 수 있도록 저자 자신이 새롭게 편집한 책.

그러나 저자도 밝혔듯 결코 내용면으로 부실하거나 부족하지는 않음.

그만큼 저자의 요지가 충실히 담긴 책자.

교회 밖 context는

과학기술, 예술, 문학, 사회, 사상 등 모든 분야에서 격동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 같은 상황 가운데

한스 킹은

이 책에서

"교회가 과연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깊이 묵상하며

가톨릭 내부에 물의를 일으켰다.

개신교 교회론과 가톨릭 개혁파(?) 신학자의 교회론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책.

 

 

이 책은 '교회'(Die Kirche, The Churc, 1967) 축약본의 번역서임.

Ⅲ. 한스 킹의 "교회란 무엇인가"(강의 요약)

 

1. 변하는 교회

 

1) 현대교회의 과제

(1) 과학기술의 발달 속 하나가 되어가는 세상

(2) 교회 밖 상황을 외면할 수 없는 교회

 

2) 교회의 형태는 변한다

(1) 교회의 시대적 상황

(2) 그 속에서 교회는 당연히 변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3) 바로 교회의 본질에 대한 부분이다.

 

 

3) 본질과 형식

(1) 교회의 형태는 변한다.

(2) 보이는 교회, 보이지 않는 교회 논쟁은 구시대적

(3) 교회는 맨 처음 사건, 사실, 역사적 사건이다.

(4) 본질과 형태는 서로 같지 않다.

(5)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질과 형태는 불가분이다(개념상의 구분일 뿐 실제상의 구별은 아님).

 

 

 

4) 교회상의 변화

 

*고대

(1) 순교자 저스틴을 제외하면 2세기 교회는 “에클레시아”라는 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유일하신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집중

(2) 이후 교회는 신학연구와 신구약 성경 주석의 중요한 테마가 되다

(3) 3세기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규정이 시작

(4) 로마 제국은 그리스도 왕국을 모방한 사탄의 나라(로마의 히폴리투스)

(5) 로마제국은 동시대에 일어난 기독교의 길을 닦아준 하나님의 뜻의 수행자요 기독교인 황제는 무신론과 거짓 신앙을 막아주는 교회의 엉호자요 보호자(교회사가요 궁정주교인 유세비우스)

(6) 교회는 이단을 공격하는 무기(이레네우스, 키프리안, 어거스틴)

(7) 하나의 전투적 군대 조직으로서의 승리하는 교회(라틴신학: 터툴리안, 키프리안, 암브로시우스, 어거스틴)

(8) 신플라톤 사상을 바탕으로 기독론과 삼위일체론 중심의 주지(主知)주의적 교회 신학(헬라파신학: 오리겐, 아타나시우스, 갑바도기아 교부들)

(9) 알렉산드리아 오리겐의 일반 성도들의 “만인사제론”과 교회박사의 지위 중시(가르침의 직무- 라틴 신학과 조금 다른 색깔)

(10) 동·서방교회 신학의 미묘한 변화(베드로 수위권 문제)

 

 

*중세

(1) 교회법의 봉사기능과 지배권 기능 문제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교황 권위 인정)

(3) 볼로냐 대학의 교회법학(후자 견해지지)

 

현존 유럽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유명한 볼로냐대(Università di Bologna, 1088년 설립, 이탈리아 북부 내륙)

*근대

(1) 교회의 본질은 불변하는 플라톤적 이상천국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교회의 역사 안에 있다.

(2) 교회는 불변하는 형이상학적, 존재론적 체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교회사와 신학사와의 관계 속에서 본질적으로 역사의 제약을 받는다.

 

 

*전통주의와 현대주의

(1) 교회도 그 일부인 세계 안에서 이루어지며, 끊임없이 변하는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응답을 요구

(2) 역사성의 몰이해에서 탈피할 필요성

 

 

*교회의 본질을 규정하는 근원

(1) 교회의 본질은 주어져 있을 뿐 아니라 맡겨져 있다.

(2) 변화하는 세계를 위해 존재하는 교회이기에 부동성(immobilismo)이 아닌 적응성(aggiornamento)이 교회 본질에 충실하는 길이다.

(3) 교회의 존립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메시지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활동

(4) norma normans(성경)와 norma normata(교리와 전통)에 대한 구별!

 

*근원적 설계의 현대적 적용

(1) 역사에 입각한 신학이 지켜야 할 중대한 의무는 종말론적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밝히는 일

(2) 하지만 교회는 본질에 충실하려면 과거만을 고수하는 게 아닌 복음(본질)을 위해 변해야(컨텍스트)

(3) 교회사 속 본질의 근원으로서의 신약성경의 중요성

 

2. 교회를 믿을 것인가

1) 교회-찬양 대상?

(1) "세계 인류사의 역사성을 가진 가톨릭 교회", 고찰해 볼 가치 충분(Thomas B. Macaulay, 영국 사학자요 정치가)

(2) 교회의 외형적 부분, 찬양과 감탄을 받을만! 외양도 교회의 일부이기는 하나 교회의 내용은 아니다.

(3) 즉 교회의 내적 본질은 역사가, 문화철학자, 심미가, 사회학자, 정치가의 눈만으로는 부족하며 그리스도인의 신앙의 눈으로만 가능.

2) 교회-비판 대상?

(1) 교회의 과오(유대인 박해, 십자군, 이단자 정죄, 마녀화형, 식민주의, 종교전쟁, 개인과 사상에 대한 잘못된 단죄, 노예, 전쟁, 사회 문제에 대한 부절절한 영합)

(2) 매콜리와 다른 키엘 케골, 도스토예프스키, 바르트, 본 회퍼, 하인리히 뵐 등의 교회 비판.

(3) 교회는 분명 찬양의 대상이 될 뿐 아니라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3) (교회의) 본질과 비본질

(1) 찬양이든 비판이든 외형적인 것(비본질적인 것)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2) 비본질적인 것에서 본질적인 것을찾아내고, 모든 악한 비본질에서 선한 본질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비판자의 눈만으로는 부족하다.

(3) 교회의 깊은 본질은 오직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눈으로만 보인다.

4) 교회를 믿을 필요는 없다

(1) 교회를 믿는 것은 아니라는 말은 교회가 하나님은 아니라는 말이다.

(2) 우리가 교회를 믿는 것은 아니란 말은 우리가 바로 교회라는 뜻이다.

(3) 우리가 교회요 교회가 우리다.

5) 교회를 믿을 수도 있다

(1) 교회를 믿는다고 말할 수도 있다.

(2) 그것은 하나님의 은총에서 오는 교회가 신앙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즉 믿지 않는 공동체는 교회가 아니다.

(3) 하나님의 은총에서 오는 신앙은 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3. 교회의 근원

1) 예수가 전한 하나님의 통치

(1) "에클레시아"는 단 두번(내가 "이 반석"(ταυτή τη πέτρα)위에 "내 교회"(μου την εκκλησίαν)를 세우리니, 마 16:18; 18:17), 하나님의 나라(basileia tou theou)는 공관복음에만 약 100번

(2) 종말론적 하나님의 통치(막 1:15)

(3) 예수의 통치는 율법에 충실함으로써 건설 또는 성취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 자신의 최고의 권능의 행사로 나타나는 것(아버지의 나라가 임하소서, 눅 11:2).

(4) 예수의 하나님 통치는 세속적 신정 통치가 아닌 순수 종교적 지배.

(5)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생겨난 피조물(creatura Verbi divini)

2) 예수 생애에는 교회 설립이 없었다

(1) 예수는 부활전 세상에 거할 때 교회를 세우신 적이 없다.

(2) 교회 설립 계시는 하심(마 16:18; 18:17)

(3) 12제자는 온 12 부족을 상징하여 만민에서 부여된 선교적 사명(교회의 사명)을 보여줌.

3) 하지만 예수 생애 없이는 교회도 없다

(1) 부활전 예수는 부활 이후 교회 출현을 위한 기초를 놓음

(2) 죽음 과 재림(parousia) 사이의 중간 시기

(3) 믿음 공동체의 특수성(예수와의 식탁 교제를 통해 믿음 없는 세상과의 대립을 의식하는 제자들, 기다리고 있는 박해와 환란)

4) 하지만 예수 부활 이래 교회가 있다

(1) 교회는 부호라 신앙의 시초부터 존재

(2) 교회는 일찌감치교회를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하나님의 교회",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

5) “교회”

(1) 하나님의 단체(kahal Yahweh)

(2) 하나님의 교회(Ecclesia tou Theou)

(3) "교회"(kirche, 이 말은 정치적 집회인 curia에서 온 말이 아님)라는 말을 싫어하고 공동체(Gemeinde)라는 말을 좋아한 마르틴 루터.

(4) 주님의(Kyrios) 공동체(영, 독, 스웨덴어Kyrka)

(5) 게르만어와 대조적으로 로만어(라틴ecclesia, 스페인iglesia, 불어église, 이탈리아chiesa)는 신약 헬라어 ecclesia와 관련.

4. 교회와 하나님 나라

1)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다.

2) 창조의 목표는 교회가 아닌 완성된 하나님의 통치!

3) 이 새로운 창조에서 교회와 세계의 구별은 없어진다(우주적 바실레이아).

4)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전조(前兆)다.

 

 

5.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다

1) 교회는 성직자 중심이 아니다

2) 신약에서 "하나님의 백성"(laos)이 자주 사용되는데 반해 평신도(laikos, 문외한, 국외자)라는 말은 전혀 없다!

3) 교회는 이상적 존재가 아니다.

4) 교회는 개개인이 아닌 모두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이 되므로 교회를 개인화해서는 안 된다.

 

 

6. 교회는 성령의 피조물

1) 교회의(교회를 만드신) "성령"(성령의 전, 엡 2:17-22)

2) 교회는 성령이 아니다. 즉 성령은 교회의 영이 아니다(성령은 교회의 영이 아닌 하나님의 영)

3)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뜻대로 행하시는 성령

4) 카리스마χάρισμα(charisma, 은사)

(1) 교회의 카리스마 구조는 교회의 직무 구조를 포괄하고 능가한다.

(2) 카리스마와 봉사(diakonia)와 부르심(소명)은 서로 의존 관계

(3) 고린도전서 12장 4-6은 카리스마가 봉사와 바뀌어있음

(4) 로마서 11장 29절과 고린도전서 7장 7, 17절에서는 소명으로 바뀌어 있잇다.

(5) 봉사의 전제가 되는 것이 "카리스마"요 "소명"이다.

(6) 따라서 각자가 가진 카리스마는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요 남을 위한 것으로 일치속질서를 가져야 한다.

 

7.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비의 몸(Mystici corporis Christi, 1943년, 교황 비오 12세, 1939-1958, 회칙 반포)

1) 성찬공동체

2) 교회의 그리스도

 

8. 교회의 단일성

1) 참 교회(단일, 거룩, 보편, 사도성una-santa-catholica-apostolica, 제1차 니케아 공의회)

2) 개신교

(1) 개신교 두 가지 특징(4가지 참교회의 표지, 복음 선포와 성례 집행)에 대해 가톨릭 신학이 적극적 이의 제기를 한 적이 없다.

(2) 개신교도 참 교회 4 가지 속성 부인하지 않음

(3) 트렌트공의회(이탈리아, 1545-1563년까지 18년 동안 세 차례, 개신교 불참) 이후 양진영 결별

3) 가톨릭

(1) 참교회의 표지 문제

(2) 신약의 메시지와 일치하는 지 늘 점검 필요

 

 

9. 교회의 보편성, 거룩성, 사도성

1) 가톨릭이란?:

(1) 전체 교회로서의 온 교회

(2) 지리적 개념이 아님

2) 복음적 가톨릭 교회를 위해

 

 

10. 교회 내의 봉사

1) 유일한 대제사장이요 중개자이신 그리스도

2) 일반사제직이란?

3) 베드로의 권한

4) 가톨릭과 개신교

 

 

 

11. 교회와 하나님 나라(통치)

1) 때가 되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다(막 1:15)

2) 하나님의 주권 행위

3) 교회는 하나님 나라와 동일시 될 수 없고 그것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도 없다.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