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구약

사랑의 역설-불안감(아 3:1-5)/ 창조신앙과 사랑과 삶

728x90

사랑의 역설-불안감(3:1-5) 창조와 사랑 / 창조신앙과 삶

 

 

사랑이 전부다! 8. 사랑의 역설-불안감(3:1-5)

 

"내가 밤에 침상에서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찾았노라 찾아도 찾아내지 못하였노라

이에 내가 일어나서 성 안을 돌아다니며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거리에서나 큰 길에서나 찾으리라 하고 찾으나 만나지 못하였노라

성 안을 순찰하는 자들을 만나서 묻기를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너희가 보았느냐 하고

그들을 지나치자마자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만나서 그를 붙잡고 내 어머니 집으로, 나를 잉태한 이의 방으로 가기까지 놓지 아니하였노라

예루살렘 딸들아 내가 노루와 들사슴을 두고 너희에게 부탁한다 사랑하는 자가 원하기 전에는 흔들지 말고 깨우지 말지니라"

 

충주 중앙탑 호수 공원 조각물

 

술람미 여인은

연인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잠자리에서 조차 그리움에 사무쳤다.

그런데 그만

그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필경 꿈에서 그 사랑하는 자를 잃어버렸다.

이런 사랑의 불안감은

도대체 어디로부터 오는 것일까?

그 정체를 살펴보자.

 

 

 

1. 첫째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질 지도 모르는 불안감(1-3절)

 

1) 행복함에도 사람은 가끔 놀랍게도 역설적 불안감이 생긴다. 사람은 너무나 행복해도 그 행복이 혹시 잘못하여 깨질 수도 있음을 생각하며 불안해한다. ‘지금의 이 행복이 혹시 꿈이라면 깨지지 말기를 기원’하는 일부 사람들의 이상한 버릇은 여기에 기인한다.

 

2) 불안도 어느 면에서는 열망의 다른 표현이다. 강한 열망은 꿈으로도 나타난다. 꿈에서 술람미 여인은 사랑하는 연인을 잃어버렸다. 밤새도록 그리워하고 찾아도 찾지를 못했다. 그가 혹시 아무 말 없이 떠나버린 것은 아닐까? 내가 무엇을 잘못한 것은 아닐까? 불안은 거리와 광장으로 뛰쳐나가는 열망으로 나타났다. 그래도 불안은 가시지 않았다. 여인은 여전히 님을 만나지를 못하였다.

 

3) 군대를 다녀 온 사람들은 가끔 악몽을 꾼다. 억울하게 군대에 재입대하는 불안한 꿈이다. 아무도 그의 억울함을 들어주지 않는다. 남자들에게 있어 군대 체험은 너무나 강렬한 독특한 체험이다. 그 공동체를  직접 체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그 은밀한 집단을 결코 알지 못한다. 알지도 못하면서 소위 "소설"을 쓰게 되는 것이다.

 

그 강렬함과 사회에 복귀한 행복감은 나이 들어 가끔 그렇게 꿈에서 재입대하는 악몽이나 불안감으로 다가온다. 하나님의 사랑도 이렇다면 얼마나 불안하겠는가! 그러나 물론 안심하라! 하나님의 사랑은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

 

 

2. 둘째 사랑하는 이와의 상봉의 감격과 불안감(4절)

 

1) 사랑하는 자를 다시 만나는 감격을 아는가.

 

큰 딸을 사정 상 어릴 적 잠시 형님 댁에 맡겨 놓은 적이 있었다. 딸이 없는 관계로 유난히 어린 조카딸을 귀여워해주시고 잘 돌보아 주시는 형님, 형수님과 잘 데리고 놀아주는 네다섯 살 위의 꼬마 오빠들도 있었다. 2-3주 후 아이를 찾으러 필자가 형님 댁을 찾아갔을 때 오빠들과 신나게 놀던 우리 딸아이는 나를 본 순간 화살처럼 쏜살같이 내게 달려와 내 다리를 꼭 붙들고 절대 놓아주지를 않았다. 잘 놀아주던 오빠들도, 너무 귀여워해주던 큰아버지도, 엄마보다도 맛있는 것을 더 잘 해주시던 큰엄마도 소용없었다. 어린 딸 생각에는 아마 여기서 사랑하는 아빠 다리를 놓아버리면 아빠를 영영 만나지 못할 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2) 솔로몬과 함께 친정집으로 돌아가는 술람미 여인을 보라. 솔로몬을 가지 못하게 꼭 붙들고 자기가 태어난 자기 친정집으로 데려가는 술람미 여인의 마음이나 내 다리를 꼭 붙들고 사랑하는 아빠와 엄마와 동생이 기다리는 내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우리 딸 아이의 마음이나 같았을 것이다.

 

3) 여러분은 주님을 붙들고 놓지 않은 경험이 있는가? 교회 안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하나님을 멀리 떠날 때 해방감을 느끼는 신자(?)와 주님을 꼭 붙드는 참 자녀가 있다. 한쪽은 염소요 한쪽은 목자를 아는 양이다.

 

4) 하나님도 자기 자녀가 너무 기뻐 우리들의 손을 결코 놓지 않는다(롬 8: 35-39). 자식만 잡은 손을 놓지 않는 게 아니다. 부모도 자녀 잡은 손을 놓지 않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부모는 전지전능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부모는 혹시 자녀 잡은 손을 놓칠 수 있으나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은 절대 우리의 잡은 손을 놓지 않는다.

 

 

3. 셋째 사랑의 훼방꾼이 있음의 불안감(5절)

 

1) 세상에는 장애물이 너무 많다. 여러분의 주변에는 사랑의 훼방꾼, 신앙의 훼방꾼들이 도사리고 있음을 명심하라!

 

2) 하나님이 친히 주신 두 제도가 있음을 늘 명심하라! 즉 가정과 교회이다. 이 둘을 모두 소홀히 하지 말라! 마귀는 가정과 교회의 교묘한 파괴범이다.

 

3) 이 행복을 깨뜨리려는 훼방꾼을 늘 경계하라! 불안은 불안으로 그쳐야 한다. 불안이 현실이 되면 안 된다. 행복을 깨뜨리려는 훼방꾼이 있음을 늘 잊지 말고 경계해야 한다.

 

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덕영목사(조직신학,, Th.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