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관(신앙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사회

의사가 파업하면 사망자가 급격히 준다고?!

728x90

의사가 파업하면 사망자가 급격히 준다는 통계의 아이러니

 

의료 행위의 아이러니

1975년 제1회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던 '몽실언니' '강아지 똥' 등의 베스트셀러 동화로 유명한 아동문학가 고(故) 권정생 선생(1937-2007)의 사인(死因)이 사망 10년 만에 결핵이 아닌 다른 문제로 숨진 사실이 뒤늦게 법원 판결로 최근 밝혀진 적이 있다.

 

 

 

사인은 의료진들이 부인하던 의료 과실이었다. 193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1946년 귀국한 후 그 이듬해부터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정착하고 1968년부터 마을의 교회 문간방에서 종지기를 하며 혼자 살다가 이후 교회 뒤에 오두막을 지어 살았던 권 선생은 1969년 단편 동화 '강아지 똥'을 발표해 동화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1966년 신장 결핵 진단을 받고 오른쪽 신장을 적출하는 등 오랜 투병을 하면서도 어린이와 자연, 생명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작품을 썼던 모든 독자들로부터 사랑 받던 한국의 귀한 아동 문학 작가였다.

 

의사가 파업하면 사망자가 급격히 준다고(?)

의사가 파업하면 사망자가 급격히 준다는 통계 자료가 있다. 1967년 콜롬비아 수도 보고타에서 의사들이 52일간 파업을 하였더니 평소보다 사망률이 35%나 급격히 줄었다.

같은 해 미 캘리포니아 LA에서도 의사들이 파업을 하였더니 사망률이 18%나 감소했다.

1973년 이스라엘에서 의사들이 1개월 동안 파업하였더니 파업 기간 중 사망률은 50%나 감소하였다.

이스라엘에서 사망률이 감소한 경우는 그 20년 전 역시 의사들이 파업했던 때 외에는 없었다. 당시 의사들은 그런 통계가 나온 이유로 고작 “중증 환자들 치료에 전념했기 때문”이라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그럼 파업 이전에는 중증 환자는 대충 방치했다는 말인가? 구차한 변명이 아닐 수 없다.

어떤 식으로든 불필요한 의료 행위를 줄인다면 사람들의 사망률을 오히려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적확한 통계자료임이 분명하다.

 

경제적 유익을 따라 발전되어 온 의료 행위

세속 의학은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그 치료법이 점점 더 고도화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던 결국 현대 의학은 경제적 유익을 위한 쪽으로 만 발달되어 왔다.

좀 더 가난하고 소외 된 사람들도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치유 방법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다. 따라서 건강 진단법과 치유 방법은 고도화 되어 왔으나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게 늘어난 것이 사실이다. 의학이 너무 전문 영역이라 대중들은 다른 선택의 여지없이 피동적으로 현대 의학에 의지할 뿐이다.

과거 다양하게 요긴한 치료제로 쓰이던 많은 약제들이 이제는 단순히 제품 단가가 너무 낮아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 하나로 메이저 제약 회사들이 생산을 포기함으로써 많은 환자들이 치료 효과가 뛰어난 값싼 약들을 구하지 못해 고통을 당하는 경우들이 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특별히 가난한 국가들의 고질병(에이즈, 말라리아 등) 치료에 있어 그런 경우는 비일비재하다. 항생제인 페니실린이나 페니실린 내성균에 유용한 메치실린, 암 환자 폐렴 치료에 쓰이는 박트림(주사), 결핵치료 2차 약인 사이클로세린, 주정맥치료제인 프로케인아마이드, 과거에 많이 쓰이던 맥소롱이나 네오마이신(수술전 장내부 살균) 등이 국내에 공급이 잘 안 되는 약들이다.

공급이 막힌 이유는 단순하다. 경제적 채산성 때문이다. 해마다 수십 만 명의 환자들이 이들 생산, 수입이 안 되는 특수의약품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운다. 의사들도 국내 공급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나 구하지 못하는 요긴한 약들이 1천 종에 달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들 약들이 없는 이유는 간단하다. 값이 싸 생산의 채산성이 없기 때문이다. 과거 한 때 약이 없어 병원약국에서 직접 만드는 원내제제가 2천여 종에 달하던 적도 있다. 이것이 바로 의료 현실이다.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마 25:40)

조덕영 박사(신학자, Q.C. 1급, 작가,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