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모든 소망은
오직 당신의 긍휼에 의지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시는 바를 행하소서!"
-어거스틴-
기독교가 배출한 초대 교회 가장 탁월한 사상가!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다 같이 존경하는 교부 신학의 완성자!>
1. 어거스틴의 생애와 당시 상황
1) 출생: 354년 11.13일 북아프리카 히포에서 멀지않은 Numidia의 Tagaste라는 작은 마을에서 출생
2) 당시 로마의 식민지에서 가난한 로마 시민권자의 아들
3) 어머니 모니카는 열성적 기독교인
4) 카르타고에서 수사학과 라틴어를 배우다(375년 수사학 교사, 376년 카르타고 수사학 교사).
5) 카르타고에서 방탕한 생활 시작(372년 첫 아들 Adeodatus 탄생)
6) 신흥종교 마니교에 빠지다(373년, 구약과 신약 신은 서로 다르다/ 신약의 신이 더 우월/ 예수도 훌륭한 스승/ 헌신/ 금욕/ 채식 강요). 어머니의 근심! 9년 계속!
7) 377년 아프리카 총독 주관 웅변 대회 우승. 친구 마니교로 개종!
8) 대학 교수가 되다
9) 383년 환락 도시 로마 행! 어머니 반대!
10) 밀라노 수사학학교 교장이 되다!
11) 웅변을 들으려고 기독교 설교를 몰래 듣다! 기독교에 대한 오해가 조금씩 누그러 지다!
12) 밀라노에서 기독교로 개종(386년, 회심!, Solioquia독백록 씀)
386년 8월 모든 것 버리고 수도원에 들어 온 사람들 이야기를 듣고 충격으로 하나님께 부르짖음! 어느 정원 무화과 나무 아래 쓰러져 울고 있을 때, 이웃 아이들 노래 소리 가사! 펴서 읽어라(Tolle Lege)! 성경을 펴다!
"밤이 깊고 낮이 가까왔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어두움의 일을 벗고 빛의 갑옷을 입으라
-중략-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못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롬 13: 12-14!>
13) 암브로스의 설교에 감화. 세례 받다(387년, 모니카 별세).
14) 히포에서 장로 안수(391년). 북아프리카 교구 감독이 되다!
15) 히포 부감독과 감독이 됨 도나티스트 감독과 논쟁 시작(395-396)
16) 참회록 저술(397-8)
17) 펠라기우스 논쟁(412-31)
18) 삼위일체(De Trinitate) 저술(416)
19) 신국론(De Civitate Dei, 신의 도성) 저술(413-426)
20) 반달족 침입·포위 가운데 히포에서 하나님의 부르심(430)
2. 주요 사상
1) 펠라기우스(영국 아일랜드 태생/ 경건한 수도사설/ 5세기초 로마 행)와 논쟁
펠라기우스=
(1) 원죄는 없다
(2) 선행 능력 강조
(3) 유아 세례 반대(유아는 타락 이전 상태이므로 세례 받지 않아도 영생)
(4) 따라서 인간은 하나님의 명령을 지킬 수 있는 가에 집중해야 하는 자기 운명을 지배하는 주인이다.
2) 어거스틴의 원죄론
(1)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오염되었다
(2) 인간 원죄는 도무지 치료받을 수 없는 질병과 같다
(3) 원죄는 감당 할 수 없는 힘과 같다(진흙탕에 빠진 트럭)
(4) 원죄는 인간에서 인간으로 전해지는 죄책이다.
3) 어거스틴의 은총론 그리고 이성
그래서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
(어거스틴을 은총박사Doctor Gratiae라 부르는 이유).
(1) 은혜는 그리스도의 값으로 얻는 하나님이 주시는 것=
(2) 은혜는 우리가 전적으로 자신의 힘에 의지 하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한다.
(3) 하나님의 사랑이 미치지 못할 죄인은 없다!!
(4) 구제 불능으로 보이는 사람에게도 임한다(고전 15:9-10)
(5) 즉 은총은 자유의지보다 선행한다!.
(6) 신앙은 찾고 지성은 발견한다(Fides quaerit, intellectus invenit)
# 1. 펠라기우스의 제자 켈레스티우스 정죄(412년 카르타고 회의)
2. 418년 펠라기우스도 정죄
3. 원죄 교리 확정 및 은총만을 의지하는 종교로서의 기독교 복음 확정
4) 어머니를 떠나 로마로 떠나던 어거스틴에게 찾아오신 하나님!.
(1) 은혜가 인간 본성을 해방한다.
(2) 은혜는 인간 본성의 치유자 이다.
5) 무천년설, 후천년설의 근거 제공
6) 연옥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죽음의 중간 지대에 대한 암시(죽은 어머니 모니카를 위한 기도!). 개신교와 다른 사상.
3. 어거스틴의 교회론
1) 어거스틴은 대체로 Cyprian의 사상을 수용.
(1) 로마교회가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신뢰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2) 그러나 그의 교회론이 죄와 은총론처럼 탁월하지 못하게 된 것은 애석한 일이다.
(3) 그는 키프리안처럼 사도적 권위가 감독의 계승에 의해 유지된다고 보았으며,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했다.
(4) 그는 교회의 순수성을 교회의 직원과 성례, 관리권을 가진 객관적인 교회의 조직에서 찾았다. 또한 주관적 순수성을 내면적으로 경건한 자들이 악인과 분리된다는 의미에서 보았다.
(5) 성례는 단순히 상징이 아니라 실제적 하나님의 능력이다. 세례 시에 하나님은 죄를 용서하시고, 성찬에서 실제적으로 영적 회복을 주신다.
2)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으로서의 교회
(1)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그리스도는 아버지와 동등한 영원한 말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보자, 그리고 교회)
(2) 머리와 몸은 한 그리스도
(3) 신비적인 몸으로서의 교회 설교-많은 포도송이와 포도즙의 일치 비유(sermon, 272)
3) 성령의 친교로서의 신약 교회
(1) 사랑(Caritas)의 친교가 이루어지는 교회
(2) 사랑이신 하나님
4) 교회의 하나됨, 일치(unitas, una ecclesia, 통일성)
(1)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은 교회와 분리된다.
(2) 도나투스파들의 분열(성령 안에 있지 않다는 증거)
(3) 그러나 어서스틴은 도나투스파들을 완전히 교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그리스도 안에서 친교하는 길이 열리기를 열망함.
5) 교회의 거룩성(santitas, sancta ecclesia)
(1) 오점도 주름살도 없는 거룩한 교회!
(2) 하지만 거룩한 교회 안에는 예정된 성도, 아직 사악한 상태에 있는 자, 여전한 죄인인 자들이 여전히 섞여 있다.
(3) 목회자로서 어거스틴의 잃어버린 양들에 대한 관심(도나투스파들을 강제로 교회로 수용하기 위한 제국 관료들의 압박은 동의하고, 거부한 사람들의 처형은 거부)
6) 교회의 보편성(catholica ecclesia)
(1) 어거스틴은 도나투스파와의 논쟁에서 보편적(catholic)이라는 말을 지리적 형용사로 사용함
(2) 그러나 어거스틴은 교회의 개념을 시간적인 것으로 확장 시킴.
(3) 머리를 그리스도로 하는 몸은 “아벨로부터 시작하여 최후에 선택된 사람에 이르기까지” 은총으로 의롭게 사는 모든 사람들과 똑같은 사람의 영역을 누린다.
7) 교회의 사도성(apostalica ecclesia)
(1) 감독은 임명자가 최소한 3사람은 되어야 함(니케아 공의회 결정)
(2) 어거스틴은 도나투스파 감독들이 정당하게 임명되었고 그들이 다른 감독들을 정당하게 임명했을 경우 수용해야 된다고 봄(사도적 정통 교회들 가운데 분파 확산에 기여한 해석.
8) 어머니로서의 교회(Ecclesia mater)
(1) 라틴신학자 터툴리안과 키프리안의 은유
(2) 가정의 자녀들은 대단히 다양하다!
(3) 그리스도의 어머니 마리아와 로마 교회가 지체 교회를 탄생시키는 유사성과 상이성을 묘사(머리와 지체들 사이의 신비적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성모 마리아가 교회의 은유적, 신비적 전형이 됨. 하지만 마리아도 아들을 통해 성화되고 구원 받았기에, 그녀도 결국 많은 성도 가운데 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회는 그녀보다 더 크고 위대하다.)
9) 하나님의 도성(Civitas Dei)과 교회
(1) 하늘의 하나님의 도성과 반역하여 타락한 도성(누구를 사랑하는가? 자기 자신? 하나님?). 이 두 도성의 시조들은 가인과 아벨. 지상 평화에도 관심.
(2) 지상 나라는 하나님을멸시하는 자애(amor sui)에 의해 형성되고, 하늘의 도성은 자신을 멸시하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amor Dei)에 의해 형성된다.
(3) 하나님의 도성을 가톨릭 교회와 동일시.
(4) 교회는 순례하는 하나님의 도성(하나님에 대한 사랑은 천국소망Meditatio Futuravitae로 나타나야)
(5) 이 보편적 교회관은 16세기 종교개혁자 칼빈에 의해 선택 받은 사람들의 불가시적인 교제로서의 교회론으로~~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225-1274)의
교회론
Monastero Di S.Benedetto 가톨릭 베네딕트 수도원 (로마 근교)
토마스 아퀴나스의 삶은
이노센트 3세
(Innocent, 175대, 1198-1216, 십자군 2번 파병, 화체설 주장, 고해성사 제정, 교황무오설 선포한 교황)와
보니페이스 8세
(1234?-1303, Unam Sanctam, 교계와 세속사회에 있어 교황의 통시적 최고권)
재임 시에 이릅니다.
이 때는 교황과 교회법학자들이
교황의 정신 뿐 아니라 세속적 최고 권위를
주장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합니다.
여기서는 스콜라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론을 살펴봅니다.
은총(신앙)과 이성(자연)이라는 양날개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
"신앙과 이성"의 조화
“하나님은
인간의
말과 상징을 통해 믿을 만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자신을
계시하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인간의 이해와 언어를 초월하신다.
자신의 생각이나 말이 언제나
하나님의 어떠하심에 미치지 못함을 인정하는 자가
하나님을 제일 잘 아는 자이다.”
1. 생애
1) 1225년, 나폴리 근처 로카세카에서 아퀴노(Aquino) 지방 백작 란돌프의 아들로 태어나다.
2) 별명 ‘벙어리 황소’(풍채가 당당한 사람)
3) 1244년, 전통적 베네딕트수도회(정통적 권세를 가진 수도회) 수사가 되기를 바라던 가문의 강한 바람을 저버리고 탁발(卓拔, mendicancy, 자선에 의존하여 금욕적이고 생존을 도모하는 행위) 수도회인 도미니크파(복음과 학문, 설교와 회개케 하는 사명 강조) 수도회(the Order of Preachers)에 들어가다.
4) 1252. 파리와 꼴로뉴 대학에서 알베르투스(Arertus Magnus, 1193-1280, "전과박사, Doctor Universalis", 신학구조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최초 활용)에게 배우고, 파리서 선생 노릇(이후 파리와 이탈리아에서 교수 생활)
5)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 가톨릭 교리와 아리스토텔레스(2층집)의 조화 추구.
6) 알베르투스는 수집의 대가, 토마스는 체계화의 대가
7) 성자 반열(1323)
8) 교회 박사(Doctor Ecclesiae) 칭호(1567)
9) 가톨릭 교회 대부(Patron) 칭호(1880)
2. 저서(성경 주석, 철학 논문, 신학 논문, 아리스토텔레스 주석 등 방대한 분량)
1) 『이교도에 대한 지침서』(Manual against the Heathen):
1260년대 초반, 유대인과 이슬람 교도 같은 이교도들을 위해 쓰여 진 4권으로 된 책. 1-3권은 주로 이성과 철학으로 하나님의 존재, 사랑, 지혜, 전능 등의 속성, 세계 창조, 섭리, 예정 등 설명. 마지막 권에서는 계시적 성격을 가지는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성례전, 부활 등 설명.
2) 『신학 대전』(Summa Theologiae):
총 512개 문답(생의 마지막 10년 동안)으로 이루어진 주(主) 저서임
첫째, 하나님께 대한 교리와 만물이 하나님께로부터 나온 경위(신의 존재, 본성, 신의 생명과 작용, 삼위일체, 창조<creatio exnihilo>, 사물<악은 선의 결핍,privatio boni>, 천사<forma subsistens, 자립적 형상>, 6일 창조<빛lux은 물체가 아니다> 등)
둘째, 사람이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과정(도덕, 덕, 악덕, 영혼의 본성적 능력, 인간 기원, 세상 통치, 행복, 법, 정의, 절제, 은사)
셋째, 성육신과 성례들 (그리스도의 생애, 고해성사, 보충 등)
3) 『사도신경 해설』<Expositio super symbolo apostololum>
사도신경 해설을 통해 교회론 전개.
신비의 성의를 보관 중인 이탈리아 토리노 성당
3.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론
1) 교황권 : 최고 권위자로서의 로마 교황
(1) 빌립 황제 앞에서의 베드로의 신앙 고백과 베드로에게 한 예수의 명령을 교황권과 관련된 해석으로 수용(요 21:15 이하, 교회 머리는 그리스도 자신인데, 교회는 교황이 그의 자리vicis를 수행)
(2) 베드로는 로마의 최고 교황(※감독들의 시대로서의 제 1대 로마 감독은 사도 바울의 뒤를 이은 Linus<67-79>, 실질적 교황 시대는 그레고리 1세<590-604>가 염)
(3) 천국 열쇠가 교황에게 주어졌다는 표현보다는 표현보다 “베드로를 교황으로 세웠다”는 표현을 사용.
(4) 토마스 아퀴나스는 로마교황의 수위권(the Primacy of the Roman Pontiff)을 교리화하지는 않음.
(5) 즉 교황이 그리스도의 대리자(vicarius Christi)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교황은 그리스도의 자리를 수행한다(Summus pontifex gerit vicem Christi) 표현.
(6) 정신적 면에서 교황의 전체적 지배권을 인정하되 지배권은 마음대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세속법과 관해서는 교회의 통제권을 배제.
(7) 그러나 자연법, 믿음에 관한 것, 성례전에 관한 것은 세속법을 따르지 않는다.
(8) 교황만이 전체 공의회 소집 권한!(개신교는 대체적으로 칼케돈공의회<451> 이후 공의회는 정식 공의회로 인정치 않는 경향)
2) 교회관
(1)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 : 그리스도가 모든 인류의 머리이나 모든 사람들의 머리는 아님.
(2) 기독론에 근거한 교회론: 그리스도의 피와 물 위에 성립된 교회
(3) 교회는 성도들의 모임(교직제도를 중시하는 중세 교회관과 다름)
(4) 교회의 단일성(아 6:9, 완전한 사랑은 단 하나, but my dove, my perfect one is unique), 거룩성(고전 3:16, 여러분은 하나님의 성전, You yourselves are God's temple), 보편성(공간, 인간, 시간에 있어서의 보편성), 사도성(교회의 기반은 그리스도와 사도들과 그들의 가르침)
3) 교회의 사제들
(1) 교회 기초는 신앙고백(마 16:16)이나 하나님의 예정이 아닌 베드로의 후계자로서의 사제들에게 주어진 “천국열쇠”(15회, 9회는 부록에서 법적 개념으로 사용, 신학대전)
(2) 천국열쇠는 교회도 교황도 아닌 사제들(priests) 혹은 사역자들(ministers)에게 주어진 것.
(3) 제자들이 신학대전 부록에서 천국열소 권한 강조.
(4) 심지어 악한 사제라도 하나님의 은총이 주어질 수 있다.
4) 7 성사
(1) 신약의 성례 수는 구약의 성례 수보다 적어야 한다는 어거스틴 입장 거부
(2) 7 성사 주장: 세례, 입교(견진성사, Conformation, 영적 성장), 성찬(성체성사, 영혼의 죄성), 고백(고해성사, Penance, 세례 이후 치명적 죄), 병자성사(Extreme Unction, 남아 있는 죄), 신품성사(Order, 교회 분열 방지), 혼인성사(Matrimony).
※ 중세 교회 정리
1) 중세 로마교회는 교황 제도를 발전시킴.
2) 또한 성직 제도의 지상교회는 하나님 나라와 동일시됨.
3) 트렌트 요리 문답
“교회는 오늘날 이 땅 위에서 유형적 머리인 그리스도와, 로마 교구를 관할하는 베드로의 후계자인 한 분 유형적 머리(지도자 :교황)를 모시고 살아가는 모든 신실한 자들의 단체이다.” 4) 교회의 유형적 성격, 가르치는 교회와 듣는 교회, 몸과 혼의 교회, 은혜 수여자로서의 교회, 구원의 기관인 교회론은 로마교회의 중요한 특징이 됨.
5) 특히 유형 교회가 무형 교회보다 앞서며 교회는 “coetus fidelium”, 즉 “신앙의 집단” 이전에 mater fidelium(신자의 어머니)이다. 가르치는 교회가 듣는 교회보다 앞서며, 구원의 기능은 ecclesia docens(가르치는 교회)에만 있다.
6) 추기경 Bellarmine(1542-1621)의 정의
Bellarmine의 정의는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관을 가장 잘 나타나내 주고 있다. (the Church is)“ the company of all who are bound together by the profession of the same Christian faith(excludes all unbelievers) and by the use of the same sacraments(excludes catechumens and those that are excommunicated) and are under the rule of legitimate pastors and principally Christ‘s vicar on earth, the Roman Pontiff.“(excludes all schismatics, such as the Greek Christians).
(교회는)“ 동일한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고(모든 불신자를 제외하고) 동일한 성례전을 사용하여(예비교 신자와 파문된 자는 제외) 합법적인 목사이자 지상에서 주로 그리스도의 대리인인 로마 교황."(그리스 기독교인과 같은 모든 분파주의자는 제외)
동방정교회의 예배당 내부 모습
동방 정교회(東方敎會 , Eastern Orthodox Churches , Ecclesiae orientales)의 교회론
그리스 정교회 메테오라 수도원 지역의 겨울과 여름 풍경
동방정교회란
통상 고대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이후에 동로마 제국의 관할지역 안에 자리한 교회를 지칭합니다.
지리적으로 서방 교회란 이탈리아의 로마를 포함한 서쪽 교회를 말하고, 동방교회란 이탈리아 동쪽에 있는 교회들을 말합니다.
일명 전자는 라틴교회, 후자는 헬라(희랍, 그리스)교회로 불립니다.
이들이 스스로 동방 정통교회라 부르는 이유는
고대 7 에큐메니칼 공의회 교리 결정들을 성경 다음으로 중요한 전통 교리로 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통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을 가지며 국내에서는 규모에 있어 제 2교단인 예장 통합과 기장, 기감 등 에큐메니칼 교단과 교류하고 있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지금의 터키, 알렉산드리아, 팔레스틴 지역, 발칸, 동유럽 일부, 러시아 등이 있고 이들도 디아스포라를 겪었습니다.
즉 이 지역교회들은 내적으로는 1054년의 교회 대분열(Great Schism), 외적으로는 이슬람의 발흥과 확산 등으로 역사적 격변을 거칩니다.
현재 동방 교회는
로마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며 가톨릭교회 안에 남아있는
동방 가톨릭 교회(Ecclesia orientaleis catholica)와
가톨릭교회와 일치를 이루고 있지 않은
동방 정교회(Ecclesia Orthodoxa)로 구분됩니다.
아테네 디오누시오 기념교회
1. 신비로서의 교회
1) 천국의 상(eikon)으로서의 교회(Mystagogies<교회와 성사의 신비적 해석들>, Maximus, 580-662)
2) 성 삼위일체 하나님의 상, 우주 그리고 인간의 상으로서의 교회으로서의 교회
3) 세속과 천국 결합의 신비(건물로서의 형상화)
4) 구약과 신약 성경의 상으로서의 본당과 지성소.
5)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지상의 천국(비잔틴 교회의 중앙 지붕은 천국이 지상으로 강림함을 암시, 세상 심판자이신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거대한 Pantokrator,모자이크상)
6) 계속되는 오순절 교회(성령은 자유의 영)
7) 교회는 교회의 본질적 특징들을 상실하지 않고 지상에서 완성한다.
8)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의 두 본성을 가지신 것처럼, 교회 안에는 신성과 인성의 협동과 협력이 존재한다.
2.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1) 그리스도 몸으로서의 그리스도 안에서의 교회의 통일성
2) 동방정교회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과 어거스틴의 입장에서 발전(교회는 율법을 지킴으로 성화되는 거룩한 도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율법은 아무 것도 완전하게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히 7:10, 오히려 교회는 그리스도로 인해 성령의 교통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본질에 참여하며 성화되고 거룩한 도성이 된다/ 키릴)
3) 죽은 자를 위한 기도(하나님과 그의 교회 안에 궁극적으로 산자와 죽은 자의 분리는 없기에)
4) 복 되신 처녀 마리아의 특별한 지위(로마 가톨릭처럼 exalted, honoured, 영광스러운 존재로 숭배): 하나님의 어머니(하나님을 낳은 자, Theotokos, 네스ㄹ토리우스의 Christotokos그리스도를 낳은 자 배척)
데살로니가 12사도 기념교회
3. 성례전 공동체로서의 교회
1) 성례전에 나타난 신비성
2) 정교회 예배는 그리스도 사건과 실존에 집중.
3) 따라서 정교회는 예배로서의 성찬과 세상에서의 선교 활동과 봉사로서의 성찬을 궁극적으로 분리하지 않음
4) 성령으로 하나 된 지상 교회 공동체
5) 교회에 대한 동방정교회의 신학은 무엇보다도 성만찬(a theology of communion, 교제)의 신학이다.
6) 따라서 교회는 성령 안에서 통일성을 가지며 본질적으로 무오하며 오류가 없다(살아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 딤전 3:15).
7) "동방 교회는 교회를 그리스도와 성령 밖에서 이해하지 않는다"(P. Congar)
4. 성직과 사도 계승권
1)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들, 곧 성체 공동체
2) 성령은 사도들, 집사들, 장로들과 주교들을 임명하심
3) 사도직을 성스러운 서열로서의 고립된 것으로 여기지 않음
4) 사도직은 항상 성체 공동체를 경험하며 성체 모임을 주재하는 사람으로 이것의 실행과 신학적인 것을 주관하는 사람은 바로 하나님의 백성들
5) 이 같은 구조 속에서 교회는 계층질서를 가짐(교회 감독들의 사도적 계승)
6) 성직 임명 시 교회 감독의 3중적 권한(통치권, 가르치는 권세, 성례전의 거행 권한)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
'신학 > 조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철학적 관점(인식론, 형이상학 등-조덕영 교수) (0) | 2022.04.02 |
---|---|
악의 본질과 신정론(조덕영) (0) | 2022.04.01 |
루터와 칼빈(종교개혁자)의 교회론(조덕영) (1) | 2022.03.30 |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신론 4) (0) | 2022.03.29 |
하나님의 임재, 초월과 내재, 하나님 앞 인간의 책임과 자유(신론 3) (1)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