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해석/구약

유다 가정의 교훈(창세기 38장 1-30절, 제 94강)

728x90
 

 38: 1-30(92): 유다 가정의 영적·육적 교훈【조덕영 목사의 창세기 해설

. 시작하면서:

1. 유다는 야곱의 장남이 아니었습니다.

2. 야곱의 장남은 르우벤이요 유다는 야곱의 넷째 아들이었습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다 가정은 왜 중요할까요? 어떤 근본적 문제나 동기가 있었을까요? 본문을 통해 주시는 말씀의 진리를 살펴봅시다.

 

. 본문(1-30)

1. 첫째, 거짓과 속임의 문제

1) 인간의 모든 문제는 거짓과 속임에서부터 옵니다.

사단은 바로 속이는 영입니다. 거짓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려야 합니다.

<✍ 노트(거짓말에 대한 속담!)>

(1) 거짓은 하나님을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들의 무기이다(모로코 속담).

(2) 하나의 거짓말은 그것을 숨기기 위한 더 많은 거짓말이 동원된다(영국).

(3) 거짓말은 남에게 던지는 뼈다귀이지만 결국은 자기 목에 와 걸린다(루마니아).

 

2) 야곱 가정의 문제의 출발은 거짓과 속임이었습니다.

야곱은 아버지 이삭을 속였고 야곱 자녀들은 야곱을 속였고 유다는 며느리 다말을 속이고 다말은 시아버지 유다를 속였습니다.

 

2. 둘째, 하나님의 계명을 경솔히 여김

1) 유다는 하나님의 계명을 너무 가볍게 여겼습니다.

이방인과 함께 하지 말라는 계명을 어기고 이방 사람들과 자유롭게 어울리고 아둘람<✍ 노트= 은신처, 도피처란 뜻으로 베들레헴 남서쪽에 위치한 평지> 사람 히라의 친구가 됩니다.

2) 경솔한 결혼

유다는 하나님의 계명을 가볍게 여겨 가나안 사람 수아의 딸을 아내로 취합니다.

 

3. 셋째, 부모에게 불순종

1) 야곱은 신실한 믿음의 사람입니다.

유다의 결혼은 분명 아버지 야곱과 상의하지 않은 일방적 결혼이었습니다.

2) 살면서 실패를 줄이는 가장 좋은 성경적 방법은 부모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노트=> 특별히 결혼은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일이므로 부모님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실수하지 않는 지름길입니다!>

아버지 야곱과 상의하지 않은 결혼은 결국 야곱 집안을 아주 혼탁하게 만들어버렸습니다.

 

4. 결과

1) 유다 큰 아들 엘의 비참한 죽음

장자 엘이 하나님 앞에 악하므로 저주를 받아 죽게 됩니다.

2) 둘째 아들 오난의 악함과 죽음

() 형이 죽었음에도 여전한 형에 대한 이기심과 경쟁심 발동

() 형수를 단순히 성적 대상으로만 취급함

() 결국 이 모든 행동은 오난이 행위 뿐 아니라 마음도 하나님을 떠난 자임을 증거함

<✍ 노트: 오난은 아우의 본분(8절, 고인이 된 형을 대신하여 형수와 결혼하여 형의 후사를 잇는 계대 결혼의 의무/ 신 25:5-10)을 저버리고 가정과 자기와 형수에 대해 하나님 앞에 삼중죄를 범한 것입니다.>

3) 유다에게 두려움과 염려가 찾아오다

() 유다는 며느리 다말을 친정집으로 보냅니다. 이것은 순전히 또 다른 아들 셀라가 형들처럼 죽을 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습니다.

() 유다에게 찾아온 두려움은 결국 유다의 이기심과 불신앙의 결과임을 말해 줍니다.

() 유다는 자신의 죄를 깨닫기는 커녕 다분히 세상적이고 이기적이고 운명적이었던 사람이었습니다.

4) 인생 최대 망신을 당하다.

유다는 며느리의 지략에 넘어가 며느리를 창녀로 여기고 동침하여 쌍동이를 출산하게 됩니다. 그러고도 며느리의 불륜을 의심하여 며느리를 불사르려 하다가 인생 최대 망신을 당하게 됩니다.

 

. 본문의 도전과 교훈

1) 첫째, 가정적 교훈=>

(1) 유다는 요셉에 비해 너무 부끄러운 사람이었다.

(2) 37, 39장에 나오는 요셉과 비교할 때 유다의 족보는 너무 부끄러운 족보였습니다.

2) 둘째, 영적 교훈=>

(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왜 째 유다에게 영적 장자의 복을 내리셨을까요?

(2) 하나님은 야곱 아들 중에서도 정말 형편없는 유다를 통해 절대 절망도 절대 소망으로 바꾸어주실 수 있는 사랑의 하나님이심을 보여주십니다! (*종교 개혁자 마르틴 루터=> 죄에 대해 절망해야 예수가 보인다!)

(3) 찬송을 좋아하시는 하나님?(유다는 "찬송"이라는 의미)

(4) 이 백성은 내가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 황소를 드림보다 찬송을 기뻐하시는 하나님!

<✍ 노트(예수 그리스도의 육적 조상 유다!)>

(1) 비열함: 그는 동생 요셉을 팔아먹은 비열한 자였다.

(2) 회개하여 변화된 자: 그는 커다란 죄악과 망신과 절망 중에 철저히 회개한 자였다.

(3) 그는 절망과 죄악 중 철저히 변화된 자였다.

(4) 하나님의 전적 은혜: 고상한 혈통이 아니라 부끄러운 유다와 그 아들 베레스의 자손으로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셨다는 사실은 이 놀라운 사건이 인간의 능력이나 노력과 무관한 하나님의 전적 은혜임을 보여준다. 즉 구원은 인간의 뜻이나 의지로 오는 게 아니라 전적 은혜인 것이다.

(5) 유다가 예수 그리스도의 육적 조상이라는 점에서 우리 같은 보편적 죄인들도 전적 소망을 가지게 된다.

=========

 함께 나눌 문제

1) 유다의 아내는 누구의 딸이었습니까?(2절)

답) 가나안 사람 수아

2) 유다의 세 아들 이름은 무엇입니까?(3-5절)

답) 엘, 오난, 셀라

3) 유다의 며느리 이름은 무엇입니까?

답) 다말

 

====

♱ 기도

1) 나라와 지도자들, 코로나 상황과 우크라이나를 위해!

조덕영 목사(창조신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