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로나19, 팬데믹과 인류 문명 대전환(코로나19의 창조신학 8. 끝) 코로나19, 팬데믹과 인류 문명 대전환(코로나19의 창조신학 8. 나가면서) 코로나19, 팬데믹과 인류 문명 대전환의 특이점 (코로나19의 창조신학 8) Ⅷ. 나가면서 분명해진 사실, 낯선 동물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 인류에게 아주 낯선 "코로나19"가 성경이 금한 동물이나 음식의 접촉이나 섭생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은 이제 분명해졌다. 성경을 신뢰하지 않는다하더라도 인류는 분명 어떤 보이지 않는 질서를 파괴하면 안 된다는 커다란 교훈을 얻었다. 그런데 성경 계시의 비밀은 다중적 계시에도 있다. 유대인들은 늘 율법이 문자적 요구라 여겨왔다. 성경 섭생 규례의 다중적 의미 그런 점에서 레위기 11장과 관련하여 사도행전 10장의 말씀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나님이 부정하다고 한 것들은 .. 더보기 <전염병과 마주한 기독교>(안명준 외 17명)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한국 신학계의 ‘집단지성적’ 응답 성경과 기독교 역사 속 질병 이해 성경적 지혜와 위로, 기독교적 세계관 정립 전염병 등 재난, 경계 받고 회개 기회 삼길 안명준 외 전염병과 마주한 기독교 안명준 외 17명 | 다함 | 264쪽 | 13,000원 이 책은 코로나19 사태에 한국 신학자들의 ‘집단지성’의 응답으로 곧 나올 제 2탄의 첫번 째 저술이다. 는 신학자 17인과 의학자 1인이 코로나19 사태로 야기된 여러 문제들에 서술함으로써 성도들에게 성경적 교훈과 위로를 전하려는 책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과 한국에서 먼저 퍼졌는데도, 이제까지는 미국 베들레헴침례교회를 이끌었던 ‘디자리어링갓()’ 존 파이퍼(John Piper) 목사의 , 수학자이자 변증가인 영국 .. 더보기 “코로나19?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코로나19"의 창조신학) “코로나19?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코로나19"의 창조신학) -"코로나19"(COVID-19)의 창조신학- Ⅰ. 들어가며 어릴 적(1960년대) 필자가 살던 소(小) 도읍 고향 민가에는 박쥐가 참 많았다. 아마도 한반도 대부분 지역의 익숙한 풍경이었을 것이다. 박쥐는 주로 목조 건물의 나무와 벽 사이의 공간 속에 살면서 사람들과 공존하고 있었다. 우리 옆집 세무서장 관사의 낡은 벽 속을 하루가 멀다 하고 드나들던 박쥐들 풍경이 눈에 선하다. 우리 민족은 박쥐의 그 요상한 생김새(?) 때문일까 박쥐를 생포하여 시식하는 것을 필자는 본 적이 없다. 다만 당시 유사한 풍경이 있었다면 동네 개구쟁이 형들이 참새를 잡아, 구워 시식하던 장면이 잔상으로 남아있다. 그리고 포장마차에서 팔던 참새나 토끼고..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