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에 대해 교회 공동체는 늘 미숙한 대응으로 일관해 온 감이 없지 않다. 모두 해석의 문제였다.
천동설과 지동설 문제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 그리고 케플러와 같은 성경을 믿는 과학자들이 생각했던 우주관은 당대 제도권 교회의 우주관과 충돌한다. 그리고 결국 구도자 브루노(1548-1600)의 순교로 이어졌다. 코페르니쿠스가 교황청에 자신이 발견한 지동설을 직설적으로 보고하지 않고 모호한 서신으로 “우회(迂廻)”한 것이나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교회와 정치적으로 긴장한 요인 가운데는 분명 지동설의 문제도 주 된 이슈 가운데 하나였다. 그리고 이 논쟁의 과학적 판정승은 당연히 과학의 편에선 사람들이었다.
과학 기술에 대한 오해
1839년 스코틀랜드의 커크패트릭 맥밀런(Kirkpatrick Macmillan, 1812~1878)이 페달을 장착한 자전거를 발명하였을 때 교회는 이 기묘한 기구를 타는 것을 금지하였다. 당시 성직자들이 오늘날 목회자들이 온갖 자가용을 타는 것이나 자동차 사고로 해마다 세계적으로 수십만 명이 다치고 사망하는 것을 안다면 무어라 했을까.
물과 "생수" 유비에 대한 문자적 성서 해석
물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지구촌 생명체들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 물질이다. 이 광활한 우주에서 창조주 하나님의 관심은 생명의 고향이요 유일하신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육신하신 관심의 천체인 지구에만 오직 “생수”를 주셨다는 것이 성서주의자들의 입장이었다. 하지만 지구와 동일한 형태의 물은 아닐지라도 최소한 물(H₂O)이 지구 외에도 위성인 달, 행성인 수성, 화성 등과 목성과 토성의 위성들에서 존재한다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일부 근본주의자들은 여전히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집착하여 물의 지구 밖 존재를 부정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금성의 구름에서도 놀랍게도 액체 상태의 물이 발견되고 있다. 지구 밖 물의 존재가 밝혀지자 이번에는 발견된 것들은 액체가 아니라 고체 상태의 물(얼음)이지 않느냐며 변명하는 것이 우리 사람이다. 지구형 행성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이제는 지구보다 물이 풍부한 행성의 존재까지 알려지고 있다.
물리적 지구 중심의 사고
행성 시스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물을 지구에만 존재하는 유일한 생명 관련 물질로 보는 신학처럼 우주에 수많은(1천억 개 내외) 갤럭시 가운데 태양계 시스템은 오직 은하계(milky way) 갤럭시(1천억 개 내외의 항성) 가운데서도 오직 태양계에만 행성 시스템이 있지 않을까하는 집착이 있었다.
이 근본주의적 주장도 우주 물리학이 등장하고 지구 밖에도 행성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소멸되어 버린 해석법이라 할 수 있다. 노벨상 위원회는 2019년, 1990년 대 중반 태양계 밖에도 행성 시스템이 있음을 발견한 천체물리학자들에게 노벨상을 수여하여 지구 밖 행성 시스템에 대하여 공인하였다. 바로 스위스 제네바대학교의 천문학자인 미셸 마요르(Michel Mayor,77)와 그 제자 디디에 쿠엘로(Didier Queloz,53)교수였다. 이 둘은 우주 초기 상태(빅뱅 이후 초기)를 연구한 미 프린스턴 대의 이론물리학자 제임스 피블즈(James Peebles, 84)교수와 함께 201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태양계만이 유일한 행성 시스템을 가진 시스템이라는 소박한 생각은 그 수명이 100년도 지속하지 못한 해석법이 되었다. 하지만 과학적 결과를 무시해버리면서 여전히 태양계 시스템만을 신성(?)하게 여기는 문자성서주의자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지구형 행성들의 지속적 발견
지구 밖 지구형 행성(일명 “슈퍼 지구”)의 대발견도 놀랍다. 지구형 행성의 존재 가능성은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관측을 통해 조심스럽게 그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미 항공우주국(NASA)은 드디어 지난 2011년 공식적으로 생명체가 존재하기에 적합한 물이 있고 적절한 온도를 지닌 행성을 발견했다고 처음으로 밝혔다. 외계에서도 지구와 유사한 형태의 생명체가 살려면 가장 먼저 물과 적절한 온도와 암석과 그에 따른 풍화된 흙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지구형 행성을 발견했다. 케플러-22b(Kepler-22b)라고 명명한 지구형 행성은 태양계의 태양과 같은 기준별로부터 너무 가깝지도 않고, 멀지도 않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 거주가능영역(havitable Zone)', 일명 '골디락스(goldilocks)' 영역에 존재하고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골디락스 영역'이란 영국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마리의 곰'에서 유래된 단어로 주인공 소녀 골디락스가 곰들이 끓여놓은 죽들 중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죽을 맛나게 먹은 데서 비롯된 말이다.
이제 지구가 창조주 하나님의 유일무이한 물리적 중심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과학적 정설로 수용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 부분은 과학이 다룰 수 있는 부분은 제한적(창조주 하나님의 관심이라는 부분을 물리적 언어로 치환할 수는 없음)인 반면, 신학의 기독론과 구원론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고전 신학과 과학 사이에 고뇌의 이슈로 남아 있다. \
바른 성경 해석의 중요성
필자는 이 모든 딜레마에 있어 계시인 성경이 과학적 사실 앞에 밀렸다고 보지 않는다.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지 못한 일부 교회주의자들과 과학의 본질과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일부 신학자들과 근본주의과학자들이 밀렸을 뿐이다. 즉 바른 해석의 문제였다.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과학의 이슈들 > 기타(일반 과학 질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AI) 시대가 신앙과 신학, 목회에 주는 의미는? (0) | 2024.08.25 |
---|---|
챗GPT 시대, 설교와 목회 2-과학기술시대의 역사와 교회(컴퓨터와 AI가 만들어내고 있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로의 진입까지) (2) | 2023.03.12 |
챗GPT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설교문’ 쓰게 하고 ‘기도하는 법’ 물었더니… (0) | 2023.02.14 |
칼 세이건의 <은하 백과 사전>이란 무슨 의미인가요? (1) | 2022.10.15 |
진화론의 원조? 진화론은 다윈의 독창적 주장이었나요? (0) | 2021.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