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레도회의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서방교회의 필리오케 논쟁이란?(The Filioque Controversy) 동·서방교회의 필리오케 논쟁(The Filioque Controversy) 1. 필리오케 의미 “~~그리고 아들”로부터라는 의미. 성령의 이중발출(발원)을 가리키는 신조(라틴어). 2. 필리오케 규정 1) 본래 니케아신조에서 “아버지로부터 발원한 성령”으로 아리우스파를 견제하기 위한 일에서 서방 교회의 규범이 되다. 2) 즉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년)에서 채택된 것으로 알려진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이하 '니케아 신경'이라 함)의 헬라어 원문에 없는 단어이나 589년 제3차 톨레도 회의에서 스페인 내 잔존해 있었던 아리우스주의를 경계할 의도로 서방교회가 라틴어로 번역한 니케아 신경에 처음으로 첨가(당시 교회의 신학 표준 언어는 코이네(Κοινη) 헬라어). 3. (헬라파) 동방교회의 .. 더보기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Pneumatology)의 초기역사(성령론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제 2강) 성령은 어떤 분이신가-성령론 (Pneumatology) 조덕영 1. 제 1강 서론(신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신학은 왜 필요한가?) 종교개혁의 3인물(좌로부터 칼빈, 루터, 멜랑흐톤, 멜랑흐톤 하우스에서) Theologia est infinita sapientia quia nunquam potest edisci. 신학은 무한한 지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교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 2. 제 2강 성령론의 초기 역사 바른 성경적 성령론을 위하여 1) 성경적 성령론 만큼 난해하고 학자들마다 일치되지 않는 분야도 드물다. 2)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역사하시며(루터) 우리 인간은 삼위일체가 아니기에 하나님의 본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불가하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