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삼위일체론(교리)의 역사(초대 교회와 교부들) 삼위일체론(교리)의 역사 1. 이레네우스(130-200): 1) 폴리캅 제자, 최초 조직신학자 칭호, 영지주의 반대, 삼위일체 교리의 기초 2) 영지주의와의 투쟁 가운데 창조주 하나님과 관련하여 삼위일체론 전개 3) 이레니우스의 삼위일체론적 중재론(참조: 박찬호 교수) (1) 이레니우스는 기독교적 구원 개념을 적절한 창조 신학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 이레니우스는 영지주의라고 하는 이름 아래 묶어질 수 있는 그러한 이단들의 형태를 통해 그 자신 직면하게 된 위기 가운데 창조론에 관한 그의 위대한 공헌. 영주의에 대항하여 이레니우스는 구원을 성육신의 결과로 보았다. (2) 건톤이 본 이레니우스의 관심사 두 가지 첫째, 물질을 포함하여 하나님에 의하여 창조된 모든 것이 선하다. 두 번째, 이레니우.. 더보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삼위일체, 고후 13:13) 창조신학기초교리공부 10- 성부하나님성자하나님성령하나님(고후 13:13) 【성경기초교리공부】 하나님 안에는 세 인격(人格;three persons in one God)이 계십니다. 오늘은 삼위일체(the Trinity)의 신비에 대해서 배웁니다. 1.삼위일체는 무엇을 말할까요? 1) 하나님은 그 신격에 있어 삼위로 계시는데 바로 성부성자성령입니다. 2) 삼위는 한 하나님이요 본체는 하나이고 영원하시며 권능과 영광이 하나입니다.(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제 2장 3항). 3) 성부는 스스로 계신분이며 어디로부터도 나오거나 유출된 분이 아닙니다. 성자는 영원토록 성부에서 탄생하시고 성령은 영원토록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십니다. 4) 삼위일체란 말은 트리아(헬), 트리니타스(라)에서 온 말로 하나인 셋, 셋인 하나.. 더보기 신학자 터툴리안은 어떻게 몬타니즘 사상에 빠져 개종을 하게 되었나요? 신학자 터툴리안은 어떻게 몬타니즘 사상에 빠져 개종을 하게 되었나요? 1. 라틴 신학자(라틴어로 신학을 한 사람) 터툴리안(주후 160년경-215?220?)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오늘날 튀니지)에서 비기독교 로마인 양친에게서 태어났습니다. 그곳에서 수사학과 법률을 공부합니다. 그의 저서들은 둘로 나뉩니다. 초기의 정통 서술과 후기 몬타니즘적 경향의 저술들입니다. 2. 몬타니즘은 2세기 후반 소아시아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한 프리기아(Phrygia)에서 열광주의와 계시문학적 종말론을 중심으로 일어났습니다. 기독교로 개종한 후 황홀경을 체험한 신비주의 밀교 사제 출신의 몬타누스로부터 시작된 몬타니즘은 3세기 초 터툴리안이 사는 북아프리카에도 상륙하였으며 터툴리안은 이 운동에 즉시 가담하였습니다. 3. .. 더보기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이 놀라운 선포!(헬라 교부 아타나시우스) 헬라 교부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295? 297?-373) 기독교사상가 탐색 6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동일본질, 동일실체-김석환 교수, Homoousios)” (요 1:14)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 같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람이 되셨다" “니케아 신조를 지킨 가장 존경할만한 정통 교부(Vader der Orthodoxie)" "니케아 신조를 지키기 위해 그는 전세계를 대항하여 홀로 싸웠다(Unus Athanasius contra orbem) 1. 상황 1) 1 세기 기독교 폭발적 전파(행 13:4) 2) 십자가 환상을 본 콘스탄틴 대제! 3) 로마가 기독교를 인정하다(밀라노 칙령/ 313) 4) 기독교의 남북 전파(애굽땅 알렉산드리아와 로마) 5) 플라톤 사상과의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