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 구원론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리겐의 보편구원론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오리겐의 구원보편론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Q.) 누가복음 16장 26절을 보면 큰 구렁텅이로 서로 오갈 수 없음이 나오는데 오리겐의 구원보편론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오리겐이 정경이 아닌 외경을 읽었던 이유인가요?(H.) 1. 그렇습니다. 오리겐(주후 185-254년 경)의 시대는 아직 정경 66권이 확립되지 않은 시절이라 외경의 내용도 작용했겠지요. 2. 철학이 융성한 알렉산드리아 출신 오리겐의 신학은 구원의 길에 대해 (1) 믿음과 (2)지식 두 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3. 이신칭의 교리에까지 이루지 못한 초대 교회 신학의 율법주의적인 편린을 보여줍니다. 4. 또한 그는 교회 밖 구원은 없다고 보았으며 세례는 중생의 시초이며 죄 사함을 준다고 보았습니다. 성례도 중요시했고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