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현대 신학

슐라이엘마허의 생애와 신학과 교회론

728x90

슐라이엘마허의 생애와 신학과 교회론

 
 

 

베를린 '젠다르멘마르크트(Gendarmenmarkt)' 광장의 프랑스 위그노 기념 예배당

프리드리히 슐라이엘마허의 교회론

-종교적 감정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

"교회",

-종교 감정에 도달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공동체-

 

베를린 위그노 예배당(루터교 예배당보다 좀 더 밝고 심플하다)

 

* 현대신학의 아버지

 

* 19세기 대이단자(?)

 

1) 생애

 

* 1768, 독일 브레슬라우에서 개혁교회 목사 아들(친가 외가 모두 목사 집안)

 

* 아버지는 프러시아 군대 군목(모라비안 공동체와 만남 사건)

 

* 1783, 모라비안 교단 학교 입학 철저한 경건 훈련(문학과 철학 서적 탐독 시기)

 

* 회의 시작- ‘인자’가 어떻게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인가?

 

* 1787, 신학교 중퇴, 할레대학 입학(철학 서적에 몰두 시기)

 

* 1789, 대학 졸업 후 침체, 건강 문제

 

* 1790-1793, 귀족 가정 가정교사(신앙 회복 시기)

 

* 1794, 목사 고시 합격 목사 안수

 

* 1796, 병원 원목

 

* 1799, 종교론 출간(종교를 멸시하는 지성인들에게 종교 변증)

 

* 1804, 할레대학 교수, 설교자

 

2) 종교적 배경

 

* 개혁주의와 경건주의 전통

 

* 개혁교회 목사 안수

 

* 15세 때 종교 감정을 강조하는 종교개혁의 선구자 후스의 영향을 받은 모라비안과 교류

 

(1)종교 감정 (2) 종교와 철학 구분 (3) 그리스도 중심 신학 (4) 경건주의 (5) 할레대 (6) 루터교 유산

 

3) 철학적 배경

 

* 칸트에 심취

 

* 플라톤에 심취

 

* 계몽주의 영향

 

4) 신학 방법

 

* 계몽주의의 도전

 

* 인간 정신에 주목(knowing, doing, feeling)

 

* 신학의 과제는 “기독교의 생활에서 발견되는 종교적 감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 위로부터의 신학이 아닌 아래로부터의 신학:

 

인간의 경험을 신학의 주된 자료로 삼음, 특별히 절대의존감정.

 

5) 기독론

 

(1) 역사 보다 경험, 의식에 의존

 

(2) 교회 전통 용어와 성서적 용어에 소극적 태도

 

->신성보다 신의식

 

(3) 그리스도 양성 교리 부정

 

(4) 양성 교류 교리 부정

 

(5) 동정녀 탄생 비판적

 

(6) 부활, 승천, 재임에 대해 회의적

 

6) 속죄론

 

(1) 징벌 속죄론을 거부하고 십자가보다 그리스도의 인격 즉 하나님 의식

 

(2) 그리스도 구속 사역이란 그리스도와 신자의 공동생활

 

(3) 그리스도의 죽음이 속죄 사역 본질이 아니다

 

(4) 주관적 인간중심적 속죄론

 

(5) 성경보다 인간 중심 해석

 

7) 죄론

 

(1) 죄는 하나님께 대한 반역보다 인간 영육 간에 나타나는 갈등과 대립 속에서 일어난다

 

(2) 죄 의식은 구속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이다.

 

(3) 즉 죄는 구속이 필요성을 위해 하나님이 만드셨다. 그러므로 죄의 창시자는 하나님

 

8) 슐라이엘 마허의 오류

 

(1) 범신론자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 모호한 진술

 

범신론: 초월성 부정 내재성만 강조, 하나님과 자연 동일시

 

이신론: 내재성 부정 초월성만 강조, 18세기 자연신학자들, 섭리주의 부정

 

스피노자에 대한 동경(종교론에서 스피노자 찬양)

 

하나님의 인격성에 대해 회의적

 

(2) 주관주의

 

하나님은 오직 신자의 감정 속에서 알 수 있다

 

(3) 불가지론자

 

하나님의 본성은 알 수 없다

베를린 위그노 예배당 외부 풍경

 

 

9) 슐라이엘 마허의 교회론(종교론 제 4장)

(1) 국가 교회에 대한 비판:

❶ 교회를 조각처럼 나누면 다른 곳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植物)로 비유(국가 종교 및 교회 폐지 역설!)

❷ 국민들이 국가교회의 독재 권력에 의해 정치, 종교적 자유를 박탈당하고 노예처럼 취급당함

(2) 교회는 근본적으로 학문과 예술을 존중하고 국가 교회로부터 자유로운 소수의 사람들로 구성된 기독교인의 공동체

(3) 교회는 믿는 자들의 몸

(4)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 구분

(5) 종교 감정에 도달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공동체

(6) 온전한 종교 감정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들은 교회를 통해 우월한 종교 감정을 가진 사람들을 매개체로 자신도 그러한 경지에 도달하려 노력을 한다.

(7) 그리스도도 자기의 하나님 의식의 종교 감정을 열심히 전달한 분.

(8) 이렇게 교회도 그리스도가 자기의 하나님 의식을 전달하는 장소가 됨.

(9) 신자들도 그렇게 그리스도의 공동체에 참여하게 됨

(10) 교회는 지상에서는 완성을 기대할 수 없기에 늘 세상과 죄와 투쟁한다.

(11) 보다 나은 교회와 세계를 향해 진보해 나가는 종교의 사회적 관계 중시.

(12) 가정은

가장 "교양 있는 요소"(das gebildeteste Element)요

우주의 가장 진실한 그림(Bild)이다.

여기서 가정생활(Häuslichkeit)은

공적 생활이 아닌

사적인 내적 생활을 의미하며,

“가정교회”는 국가 교회에 반대되는 사적인 공동체로,

가정 교회를 위한 사역은 곧

그것의 수호신을 위한 “성직 사역”이다.

(13) 결론: 신학자가 아닌 마치 사상가가 서술한 듯한 교회론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Th.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