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의 이슈들/건강과 식품과 치유

된장에서 강력 발암물질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33개 제품

728x90

된장에서 강력 발암물질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33개 제품

 

 

과거 1970년대 이화여대 교수였던 이모 교수께서 우리 토속음식 된장 속의 아플라톡신을 걱정하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동대 식품생명공학과 신현길 교수께서도 생전에 필자에게 개인적으로 된장 속 아플라톡신의 함량을 심각하게 걱정하던 기억이 난다.

 

아플라톡신은 진균(眞菌, fungi)의 일종인 곰팡이의 유독 대사산물이다. 1960년대 영국 남부 및 동부 지방에서 10만 마리 이상의 칠면조가 폐사하면서 알려진 이 아플라톡신은 오리, 꿩, 등에서도 높은 치사율을 기록했고 인간에게는 강력 발암(특별히 간암) 물질이다.

 

곰팡이 독소이기에 일반 식품과 같은 가공 처리로도 파괴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쌀, 보리, 옥수수 그리고 특별히 땅콩, 콩 등의 보관에 주의해야 한다.

 

결국 걱정이 현실이 되었다.

 

된장에서 강력 발암물질(특별히 간암) 아플라톡신(aflatoxin)이 기준치 이상 검출 되어 비상이 걸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한식된장과 메주를 수거·검사한 결과, 517개 제품 가운데 한식된장 33개 제품에서 아플라톡신이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한식 된장·메주의 아플라톡신 오염 여부를 조사하던 중에 기준을 초과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해당 업체에서 생산된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했다.

 

검사결과, 한식된장 33개 제품이 총 아플라톡신 기준(B1, B2, G1, G2의 합으로서 15 . 0 μg/kg 이하)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한식메주 제품은 모두 적합하였다.

 

33개 부적합 제품 중 유통판매량이 없는 32개 제품은 식약처 누리집(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보관중인 제품은 모두 폐기하였으며, 유통판매 중인 1개 제품은 즉시 회수·폐기 조치하였다.

 

식약처는 부적합 제품을 제조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과 지속적인 수거·검사 등을 통해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며, 식약처와 전문가가 합동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한식된장의 아플라톡신 생성 원인을 분석하고,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안전한 한식된장 제조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적발된 부적합 제품 목록

구본희된장 / 예동뜰된장 / 우리된장 / 좋은날 된장 / 황토샘 전통된장 / 엠디찬된장 / 남매 발아현미된장 / 남매시골된장 / 감조우리콩전통된장 / 고추씨 재래된장 / 띄우미 된장 / 소담미소 전통메주된장 / 신비담 노루궁뎅이 버섯 된장 / 자연담은된장 / 좋은된장 / 토굴된장 / 메주꽃 전통된장 / 메주꽃 황토방된장 / 살래다된장 / 약선된장 / 용천골 된장 / 임양금된장 / 항아리된장 / 가야금 된장 / 덕수장 한식된장 / 만석한식된장 / 문경새재된장 / 문경()능이된장 / 윤정선전통된장 / 진남오미자된장 / 한식된장 / 황토방손된장

-회수 제봉골된장

식약처 제공

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덕영 박사(식품제조가공기사 1급, QC 1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