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은 칼보다 강하다", 이 유명한 경구의 가장 오래된 원전
(이집트 나일강 남부 엘레판티네 섬 아히카르의 파피루스)
아히카르의 아람어 이야기와 가르침
지혜, 신중함, 그리고 순종에 관한 가르침
베를린 제임스 시몬스 박물관 전시물©E. S. Cho
《아히카르 이야기》는 기원전 5세기 엘레판티네(이집트)에서 발견된 제국 아람어 파피루스에 처음 등장한 이야기로, 중동과 근동 전역에서 널리 유포되었다. 이 이야기는 "세계 문학에서 가장 초기의 '국제적인 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 이야기에서 아히카르는 아시리아 왕들인 센나케립과 에사르하돈(에살핫돈)의 전설적인 참모이다. 자식이 없었던 아히카르는 자신의 조카인 나답(나딘)을 입양하여 후계자로 키운다. 그러나 나답은 감사하지 않고, 아히카르를 살해하려는 음모를 꾸미며, 아히카르가 반역을 저질렀다고 에사르하돈에게 거짓말을 한다. 에사르하돈은 아히카르의 처형을 명령하고, 아히카르는 체포되어 처벌을 기다리며 감옥에 갇힌다. 그러나 아히카르는 처형자에게, 그가 센나케립 왕 하에 비슷한 운명에서 아히카르에게 구해졌음을 상기시키며, 결국 처형자는 다른 죄수의 시체를 처형하고, 아히카르의 시체인 척하며 에사르하돈에게 보고한다.
초기 텍스트의 나머지는 이 지점에서 더 이상 전해지지 않지만, 원래 결말은 나답이 처형당하고 아히카르가 복권되는 내용일 것으로 추정된다. 후속 텍스트들에서는 아히카르가 은신에서 나와 에사르하돈을 대신해 이집트 왕에게 조언을 하고, 이후 승리의 모습으로 에사르하돈에게 돌아오는 장면을 묘사한다. 후속 텍스트들에서 아히카르가 돌아온 후, 그는 나답을 만나 매우 분노하고, 결국 나답은 죽음을 맞이한다.
아히카르의 문학적 텍스트는 아마도 기원전 7세기 후반 또는 기원전 6세기 초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람어로 작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 증거는 기원전 5세기의 몇몇 파피루스 파편들로, 이들은 이집트 엘레판티네 섬에 있는 유대 군사 식민지의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야기의 초기 부분은 아히카르가 조카에게 전하는 지혜의 말과 속담이 대거 추가되어 크게 확장되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말과 속담들이 원래 별도의 문서였다고 추측하는데, 이는 아히카르를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속담은 성경의 '잠언서'의 일부와 유사하며, 또 다른 속담은 '시락서'(벤 시라)와 유사하고, 그 외에는 바빌로니아와 페르시아의 속담과도 비슷하다. 이 속담 모음은 본질적으로 당시 중동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속담들을 모은 것이다.
코이네 헬라어로 된 '토빗기'(기원전 2~3세기)에 등장하는 토빗의 조카 이름은 아키아카로스(Αχιαχαρος, 토빗 1:21)로, 니네베에서 왕의 일을 맡고 있다. 1880년, 학자 조지 호프만은 아히카르와 토빗기의 아키아카로스가 동일 인물임을 지적했다.
신약 성경의 신약 표준 번역(NRSV)을 따르는 시나이 사본(Codex Sinaiticus) 그리스어 본문은 "나답"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바티칸 사본과 알렉산드리아 사본의 그리스어 본문은 이 인물을 "아만"이라고 부른다.
이 전설이 신약 성경에도 흔적을 남겼다는 주장이 있으며, 마키무스 플라누데스의 아이소포스의 생애 (제23장-32장)와 전설 간에 놀라운 유사점이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스트라보는 동방의 지혜자 아키아카로스를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이 전설은 확실히 동방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버전들의 관계는 거의 복원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히카르 이야기에 등장하는 요소들은 또한 데모틱 이집트어에서 발견되었다. 영국의 고전학자 스테파니 웨스트는 헤로도토스의 크로이수스 이야기에서, 그리스 왕 키루스를 조언한 인물의 이야기가 아히카르 이야기의 또 다른 형태라고 주장했다. 아히카르 이야기의 완전한 헬라어 번역이 한때 이루어졌지만, 이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번역은 고대 슬라브어와 루마니아어 번역의 기초가 되었다.
아히카르 이야기에는 다섯 가지의 고전 시리아어 판본이 전해지며, 더 오래된 시리아어 버전에 대한 증거도 있다. 후자는 아르메니아어와 아랍어로 번역되었으며, 일부 아히카르의 요소들은 아랍어 각색에서 루크만으로 옮겨졌다. 조지아어와 고대 튀르크어 번역은 아르메니아어를 바탕으로 하며, 에티오피아어 번역은 아랍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수레트 판본에서도 아랍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조은선
페르시아 시대, 약 기원전 525 - 404
파피루스 | 엘레판티네, 발굴 1906/07
(베를린 제임스 시몬스 박물관 전시물- 2024. 10월 마지막 주 전시 마감))
'신앙과 역사 & 세상 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렌체의 미켈란젤로와 갈릴레이 무덤 (0) | 2025.01.10 |
---|---|
고대 유물의 보고 이집트 엘레판티네 섬의 최근 전경과 연구 상황 (0) | 2024.11.23 |
시인 소강석 목사, 제13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0) | 2024.08.25 |
배드민턴 안세영 선수 힘내세요 (0) | 2024.08.10 |
파리 올림픽의 난맥상, 남성 복서가 여성 복서와 대결한다고? 남성 알제리 이마네 칼리프, 여자복싱 결승 진출 (0)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