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조직신학

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와 성령론

728x90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Ⅰ. 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1483-1546)

칼빈(왼쪽)과 루터(중앙) 그리고 멜랑흐톤(오른쪽)/독일 작센-안할트주, 비텐베르크 멜랑흐톤하우스 전시물©조덕영

"십자가만이

우리 신학의 규범이다."

"십자가는

모든 것을 시험하는

시금석이다."

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에서©조덕영

1. 1483년 11. 10 독일 동부 아이슬레벤에서 출생

​2. 1502. 9.29 에르푸르트 대학 학사 학위

3. 1505. 1. 7 문학 석사

4. 1505. 7. 2 뇌우 속 수도사 서원(어거스틴 교단 수도원, 1505. 7. 17)

5. 1510. 11 로마 여행

왼편에 비텐베르크 성채교회, 오른편에 루터 하우스(옛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가 보인다.

비텐베르크는 지금도 우리의 소읍 정도(4-5만)의 작은 도시이다. 현재도 기차역(그림 오른편)에서 종교개혁의 현장(성채교회)까지 도보로 10여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 도시 중앙에는 시청 광장이 있으며 1821년 세워진 루터 동상이 있고 광장 옆에는 루터의 친구였던 필립 멜랑흐톤의 동상도 있다. 멜랑흐톤 하우스는 사진에서 루터 하우스 바로 왼편에 자리하고 있다. 광장 인근의 성 마리아 시립교회는 루터가 독일어로 처음 설교했던 장소다.

6. 1511. 4 비텐베르크 대학

 

비텐베르크 교회

7. 1512. 10. 19 신학 박사

좁은문/비텐베르크 성채교회©조덕영

8. 1517. 10. 31 비텐베르그 성채 교회 문에 “95 개조 논박”

9. 1518. 8. 25 멜랑흐톤 비텐베르그 대학 부임

게오르게스 기사(Knight George) 로 행세한 마르틴 루터(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 전시물)

1502년 비텐베르크 대학를 세우고 마르틴 루터를 교수로 초청한 사람은 작센의 선제후(재위 1486년-1525년) 프리드리히 3세(Friedrich III, 1463-1525)였다. 그는 현명한 제후였으므로 '현공'이라는 칭호가 붙었다.

그는 마르틴 루터를 보호하고 자신의 성(바르트부르크)을 루터에게 도피처 성으로 제공하였다. 그곳에서 루터는 게오르게스 기사로 행세하면서 지낼 수 있었다.

바르트부르크성 사진/바르트부르크 성 전시물©조덕영

10. 1518. 12. 18 프리드리히 선제후 루터 추방하지 않음

​11. 1519. 7. 4-14 에크와 라이프치히 논쟁

​12. 1520. 8 독일 귀족에게 고함

​13. 1520. 10. 6 바벨론 유수

​14. 1520. 11. 12 쾰른에서 루터 저서 불사름/그리스도인의 자유

​15. 1521. 12. 25 칼슈타트 미사에서 평신도 포도주 나눔

​16. 1524. 9. 에라스무스의 자유 의지

​17. 1525. 6. 13 노예 의지에 관하여

​18. 1527. 여름. 심각한 우울증으로 앓아눕다, “내 주는 강한 성이요” 지음

​19. 1543. 7. 창세기 주석 출판(1535-1545년 강의)

​20. 1545. 3. 25 마귀가 세운 로마의 교황 제도에 대한 반박

​21. 1546. 2. 18 아이슬레벤에서 사망

 

루터의 고향 아이슬레벤(Eisleben)의 루터 죽음박물관 전시물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Ⅱ. 종교 개혁(1517)자들의 성령론

1) 성령의 인격뿐 아니라 사역에도 시선을 돌린 종교개혁자들

2) 특별히 성령의 중생의 역사에 대해 자주 언급한 종교개혁자들

3) filioque 교리 인정

4) 성령의 내적 증언으로서의 조명(照明)을 강조한 칼빈

서울 송파 잠실역 인근 루터회관 앞 루터 기념 동상 ©조덕영

Ⅲ. 마르틴 루터의 성령론

"복음은

교회가 그것을 승인하기 때문에 믿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느껴지기 때문에

믿어지는 것"

이것이 마음에 일어나는 것은

바로

"성령의 증거"

1) 사랑과 율법의 완성으로서의 성령의 임재

(1) 루터는 <로마서 강의>(1516)에서 어거스틴의 <성령과 문자(De Spiritu et Littera)>를 인용하여 “생명을 주시는 성령이 계시지 않는 한 문자는 죽이는 것”이라 했다.

(2) 즉 사람을 바르게 살게 하는 십계명의 가르침은 오히려 살인하는 문자이다.

(3) 성령의 임재만이 사랑과 율법을 완성한다.

(4) 열광주의와 신령주의 비판

(5) 하나님과의 진정한 접촉이 없는 신령주의자들과 영광주의자들의 인간적 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령의 임재

2) 성령과 인간

(1) 기독론에서의 <속성의 교류communicatio idiomatum>를 인간에게도 적용(참조 롬 7: 23)

(2) 인간의 신앙은 성령을 통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다.

3) 종교 개혁 이전(1516)과 이후(1517-1518)의 인간 성화론 속 루터의 성령

(1) 성령에 의한 인간의 5 가지 변화 단계(무, 생겨남, 존재, 행함, 다른 사람들에 의해 본받음)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의 5가지 성장 단계(결핍, 물질, 형태, 작용, 열정)를 차용하여 설명(1516).

“Simul peccator simul penitens simul justus",

"죄인인 동시에, 회개하는 자요, 동시에 의인"

(2) 이후 1517년 <스콜라신학논박>(“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은총의 최대의 적”, 41-53항)과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쟁>(“영혼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인용하여 철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리스도 안에서 전적으로 어리석게 되어야 한다”, 29-40항)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부정적으로 다룸.

4) <노예의지론>(1525년) 속 성령의 역사

(1) 성령은 말씀을 통해 역사한다(말씀에 의하지 않고도 성령이 활동한다고 주장하는 에라스무스의 견해에 맞선 루터)

(2) 성령만이 우리가 없이 우리를 재창조하며 우리의 도움 없이 우리를 재창조된 상태로 보존한다.

5) 칭의 교리 속 성령의 사역

(1)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거저 주시는 선물로 말미암아 하나님 앞에서 최종적 구원에 이르는 희망이나 칭의를 위한 근거를 가진다.

(2) 성령은 사람이 선물로 받은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선포된 칭의 속에서, 성령의 새롭게 하시는 역사를 통하여 하나님의 면전에서 우리를 새롭게 만드는 과정을 시작하신다.

(3)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인 칭의로 말미암아 복음에 인격적으로 응답하고 깨우치고 믿음을 강화시키는 데, 이 일을 하시는 분이 바로 성령.

(4) 의롭다 함을 받은 자는 누구든지 성령에 의해 새롭게 되며 선행을 행하도록 자극받고 또한 가능케 되어진다.

6) 성령의 사역은 성화(<소교리 문답>과 <대교리 문답>, 1529)

(1) 성령은 개인적 차원의 부르심, 깨닫게 하심, 거룩하게 하심, 지키심

(2) 교회적 차원의 소명, 깨닫게 하심, 성화시키고 그리스도와 더불어 거하게 하고, 죄 사하고 영생으로 인도하는 일

(3) 성령의 9가지 열매

7) 루터의 (1) <성령 강림 주일>(행 2:1-13), (2) <성령 강림절(오순절) 설교(요 14:23-31) 속 성령

(1) 설교와 선포와 믿게 하는 사역은 (가톨릭 교회가 아닌) 오직 성령이 한다(가톨릭 회의나 교황의 결정이 성령의 역사가 아닌 이유 설명)

(2) 성부와 성자로부터 보내심을 받고 들은 것을 전하도록 명령 받은 ‘보혜사’, ‘진리의 영’으로서 성도를 마귀(중상자, 보호자)로부터 변호하고, 위로하고 돕는 사역을 하는 성령.

조덕영 교수(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