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한결같음의 아름다움
-웨슬리 선교사님의 한국 국적 취득을 축하드리며...
지난 2월 16일 필자는 웨슬리 (Wesley J. Wentworth, Jr.) 선교사님으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다. 선교사님은 가끔 이메일을 보내주시지만 대부분 여러 사람들에게 보내는 공지형 이메일이기 때문에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번에는 개인 이메일을 보내주셨다. 읽어보니 지난 번에 선교사님이 필자를 위해 1년치의 회비를 지불하고 미국기독과학자협회(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 회원권을 선물했는데 받았느냐는 것이었다. 아차 싶어서 이전 이메일을 뒤져보니 1월 5일에 개인적으로 보낸 선교사님의 이메일이 있었다. 연초의 많은 이메일 속에 묻혀있어서 미처 못 본 것이었다.
1980년, 필자가 대학원 학생 시절에 처음 만난 이후 웨슬리 선교사님은 늘 이렇게 “멘토링”하셨다. 멘토링을 하신다고 해도 자주 만나는 것도 아니었다. 가만히 계시다가 이 사람에게 필요하겠다 싶은 소식이나 책, 논문, 기사 등이 있으면 불쑥 링크나 파일을 보내신다. 이런 방식으로 선교사님은 생짜배기 필자를 기독학자로 다듬어 가셨다. 필자가 학생 시절부터 참여했던 창조과학 운동의 문제점을 깨닫고 돌이키게 된 것도 상당 부분 선교사님의 영향 때문이었다. 1981년에 기독교대학설립동역자회(지금의 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를 시작한 것도, 1988년에 [통합연구]를 창간한 것도, 1997년에 밴쿠버에서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VIEW)을 설립한 것도 선교사님의 직간접적인 영향 때문이었다. 아직도 “공사 중”이기는 하지만 필자는 선교사님을 통해 “크리스천”이란 말을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로 붙일 수 있는 학생으로, 학자로, 지금은 대학행정가로 다듬어져 가고 있다.
그 동안 필자는 국내에서 공부를 마치고 경북대에 근무하다가 잠시 시카고 대학에서 객원학자로, 위스콘신 대학에서 대학원 학생으로 공부하였다. 귀국해서 다시 경북대에 근무하다가 결국 1997년에는 대학을 사직하고 캐나다에서 VIEW를 설립하고 그곳에서 24년을 근무했다. 그리고 작년 8월, VIEW를 은퇴하고 10월부터는 남부 아프리카의 작은 육지 섬 나라 에스와티니(전 스와질랜드)의 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Eswatini Medical Christian University)에서 근무하고 있다. 처음 선교사님을 만난 후 42년의 긴 세월 동안 필자는 한국에서, 유럽으로, 미국으로, 캐나다로, 지금은 아프리카 오지에 머물고 있지만 선교사님은 한결같이 그곳에 계셨다. 어디를 가든 필자의 요청과는 무관하게 선교사님은 늘 “옆에” 계셨다.
오래 전 필자가 시카고에 머물 때 선교사님은 한국에 계시면서 필자가 피츠버그 집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주선하신 적도 있다. 필자가 밴쿠버에 있을 때는 한국에 계시면서 필자의 이웃에 있는 캐나다인 기독학자를 소개하시기도 했다. 선교사님을 생각할 때마다 시편 기자의 고백이 생각난다. ‘내가 선교사님을 떠나 어디로 가며 선교사님 앞에서 어디로 피하리이까’(?) 처음에는 편지와 전화로, 그리고 근래에는 이메일로... 일상에 묻혀 기독학자로서의 정체성이 희미해질 때마다 선교사님은 한결같이 필자의 옆구리를 찌르셨다.
처음 만났을 때 선교사님은 마흔 45세의 청년이었고, 필자는 25세의 더 젊은 청년이었다. 둘 다 결혼도 하지 않은 총각이었다. 그 후 필자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며, 세상을 돌아다녔다. 하지만 선교사님은 결혼도 하지 않으시고 한결같이 그곳에 계셨다. 그 사이 필자의 영어가 좀 늘었지만 선교사님의 한국말은 별로 늘지 않으신 것 같았다. 그리고 그 불편한 한국말로 선교사님은 대부분 먼저 필자에게 연락하셨다.
필자가 한국에 들를 때는 필자의 한국어 동역서신을 통해 필자의 동선을 상세히 파악하신 후에 만나기를 먼저 요청하셨다. 한국어가 능치 않으신 분이 어떻게 동역서신을 그렇게 자세히 아실까? 선교사님의 신학으로 미루어 오순절 방언이 터진 것 같지는 않고 구글 번역기의 덕이 아닐까 짐작해 본다. 그렇게 해서 선교사님은 필자가 먼저 연락드린 것보다 몇 배를 더 많이 연락하셨다. 마치 80대 부모님이 60대 자녀를 챙기고 염려하시는 것처럼... 선교사님을 생각할 때마다 그 분의 한결같음이 먼저 떠오르는 것은 혼자만의 생각일까?
그 한결같은 선교사님이 이번 2월 24일 특별귀화자로 인정되어 한국 국적을 취득하신다. 당일 외교부 청사에서 외교부 장관이 직접 시민권을 수여한다고 한다. 한국에 오신지 57년이 지난 후에 선교사님은 드디어 법적으로 한국인이 되시는 것이다. 어쩌면 한국 국적 취득도 선교사님의 한결같음의 열매라고 할 수 있다. 필자가 한국에 42년을 살았으니 선교사님은 필자보다 훨씬 더 오래 한국에 사셨다. 한국을 위해 한결같이 헌신하신 것을 생각한다면 선교사님의 한국 국적 취득은 마땅하다. 귀한 분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아울러 선교사님의 국적 취득을 위해 수고하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선교사님의 연세로 봐서 이 땅에서 한국 국적을 오래 유지하실 것 같지는 않다. 바라는 게 있다면 이 귀한 분이 천국으로 이사 가시기 전에 필자도 속히 한국 국적을 회복해서 오래 전 추억을 같은 한국 국민으로 나누게 되는 날이 오길 소망한다. 그 한결같음의 뒷 얘기들을...
글: 양승훈 박사(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 총장)
'세계관(신앙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기 전, 인생 전체 정말 파노라마처럼 떠오르나? (0) | 2022.02.27 |
---|---|
중국 기독교인 60명 제주 망명 허용하라<샬롬나비> (0) | 2022.02.24 |
“목사가 꿈” 윤(尹) 후보 추억, 김장환-김건희 만나게 했나 (0) | 2022.02.21 |
“‘北 인권 침묵’ 대통령, 차별금지법은 적극 추진? 선택적 인권관” (0) | 2022.02.17 |
“차별금지법 근본 문제, ‘반대할 자유’ 박탈하는 것”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