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미니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교 개혁 시대의 성령론(성령론 제 3강, 조덕영) 종교 개혁 시대의 성령론(성령론 제 3강)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1. 종교 개혁(1517) 1) 종교개혁자들은 성령의 인격뿐 아니라 사역에도 주의를 환기시킨다. 2) 종교개혁은 특별히 성령의 중생의 역사를 많이 언급한다. 3) 칼빈은 성령의 내적 증언으로서의 조명(照明)을 강조한다. 그리고 filioque도 인정하고 있다. 2. 마르틴 루터(1484-1546)의 성령론 1) 사랑과 율법의 완성으로서의 성령의 임재 루터는 (1516)에서 어거스틴의 를 인용하여 “생명을 주시는 성령이 계시지 않는 한 문자는 죽이는 것”이라 했다. 즉 사람을 바르게 살게 하는 십계명의 가르침은 오히려 살인하는 문자이다. 즉 성령의 임재가 사랑과 율법을 완성한다. 2) 성령과 인간 기독론에서의 를 인간에게도 적용(참조 롬 7..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