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베드로후서 3장 3-7절에 나타난 홍수의 증거 베드로후서 3장 3-7절에 나타난 홍수의 증거 "먼저 이것을 알지니 말세에 기롱하는 자들이 와서 자기의 정욕을 좇아 행하며 기롱하여 가로되 주의 강림하신다는 약속이 어디 있느뇨 조상들이 잔 후로부터 만물이 처음 창조할 때와 같이 그냥 있다하니 이는 하늘이 옛적부터 있는 것과 땅이 물에서 나와 물로 성립한 것도 하나님의 말씀으로 된 것을 저희가 부러 잊으려 함이로다 이로 말미암아 그 때 세상은 물의 넘침으로 멸망하였으되 이제 하늘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불사르기 위하여 간수하신바 되어 경건치 아니하신 사람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까지 보존하여 두신 것이라"(벧후 3:3-7) 이 성경 구절에서 베드로는 언젠가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다시 오신다는 것에 대해 더 이상 심각하게 생각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말하고 .. 더보기 창세기 대홍수 시 노아 방주에 ‘정결한 짐승을 암수 일곱씩’ 넣은 이유는? 노아 방주, 대홍수, 정결한 짐승 암수 일곱의 의미는?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창세기 7:2~3 1) 안타깝게도 그 부분에 관해 성경은 구체적 설명이 없습니다. 2) “정결한”(히브리어 "타호르")는 “순수한”, “깨끗한”, “먹을 수 있는”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홍수 이후 모세가 받은 계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정결한 짐승에 관한 규례와 일부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보여 집니다. 하지만 홍수 이전에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관한 규례가 없었기에 무엇으로 짐승을 구분하였는지 성경에서는 전혀 설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3) 또한 암수 일곱이 일곱 쌍을 말하는 지 아니면 세 쌍과 한 마리를 말하는 지도 정확하지가 않습니다. 이 구절에 대해 칼빈과 랑게(Lange)는 ‘일곱씩’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