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는 어떤 권세가 있는가(마 16:18-19)
신학기초교리공부 39강- 교회의 권세는 무엇인가(마 16:18-19)
1) 창조주 하나님께서 친히 세우신 기관인 교회에는 하나님께서 친히 필요한 권세(power) 혹은 권위(authority)를 부여하십니다.
2) 그렇게 함으로써 하나님은 성경의 하나님만이 참 창조주이심을 알려주십니다.
3) 그 교회의 권세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교회의 권세
1) 영적 권세
(1) 이 권세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영으로 영적 왕국의 왕이 되어 주시는 권세입니다(행 20:28)
(2) 따라서 이 권세는 오직 그리스도의 이름과 성령의 권능에 의해서 행사됩니다(요 20: 22-23; 고전 5:4)
(3) 이 권세는 신자들에게 관계 되며(고전 5:12), 도덕적, 영적 권세 이므로 (고후 10:4) 폭력이 절대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반면에 국가의 권세는 시민의 소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향유하도록 강압적 힘이 행사되기도 합니다.
(4) 근본적으로 이 권세는 사도 바울이 말한 것처럼 “우리가 육체에 있어 행하나 육체대로 싸우지 아니하고 우리의 싸우는 병기는 육체 속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 앞에서 견고한 진을 파하는 강력”(고후 10:3-4)입니다.
(5) 이 권세는 마귀의 세력에 대항하는 것으로 기도, 예배, 마귀의 세력을 향해 꾸짖는 권세, 성경 말씀, 믿음, 성도들의 바른 행동 등이 무기가 됩니다(엡 6:10-18).
2) 목회적 권세
(1) 그리스도로부터 온 권세로 사역적 권세입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주권에 종속된 권세입니다.
(2) 이 권세는 함부로 사용하는 권세가 아니라 반드시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되게 행사되어야 합니다.
(3) 또한 교회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롬 10: 14-15; 고전 5:4; 엡 5:23)
나. 교회의 세 가지 권세
1. 가르치는 권세(교리권, 교훈권)
1)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 직분을 반영하여 진리의 수호와 전달을 목표로 합니다(딤전 1:3, 4; 딤후 1:13; 딛 1:9-11)
교회는 불신앙과 오류와 이단으로부터 교회를 수호할 막중한 책임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2) 교회는 죄인의 회심과 신자의 건덕을 위해 하나님 말씀을 전파하며 그것을 해석할 의무를 가집니다.
3) 교회는 깊은 신학 연구를 통하여 진리를 한층 더 발전 시켜 나가야 하며 교회가 믿는 바를 정확하게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야 합니다(참조 딤후 2:2)
4) 세상(컨텍스트)은 더욱 다변화 되어 갑니다. 교회는 다변주의는 아니나 빠르게 상황이 변하는 세상에 진리(텍스트)를 어떻게 바르게 전할 것인지 바르게 판단하려면 깊은 신학적 연구와 통찰이 필요한 것이지요. 따라서 성경만 읽으면 된다는 사상은 대단히 위험합니다. 대개 사이비나 이단들이 그런 사고에 젖어있지요. 성경에 듣도 보도 못한 생명복제, DNA. 코로나 같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아바타 영화, 컴퓨터, 트위터, 화성 우주선, 핵무기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텍스트(성경, 진리)와 컨텍스트(상황, 세상)의 관계를 어떻게 바르게 적용해야 할지 잘 이해해야 하는 것입니다.
2. 다스리는 권세(치리권)
1) 치리권
예수 그리스도의 왕권을 반영합니다.
2) 질서 유지권
하나님은 교회 일의 적절한 질서를 위해 규율(규례, 규칙, 신조, 헌장, 교인과 직원의 자격, 예배)을 정하셨습니다. 이것을 질서유지권이라 합니다. 피조물인 우리 인간의 몸이 질서로 유지되는 것과 유사합니다. 창조주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십니다.
3) 교리적 도덕적 순결 유지권
교회는 교회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이단자와 범죄자를 거절 또는 배제하는 권세를 바르게 행사해야 합니다.
3. 봉사하는 권세(사역권, 긍휼권)
1) 이 권세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사직을 반영합니다.
2) 이 권세는 병자를 방문하여 말씀과 기도로 위로하고 특별한 영적 은사로 병을 고쳐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초대교회의 은사적 치유와 이적은 많이 쇠퇴하였으나 아직도 하나님의 영은 제한 받지 않습니다(특별히 아직 성경이 번역되지 않은 지역이나 종족들의 선교에서 놀라운 사도행전적 역사가 나타나기도 함).
3) 교회는 가난한 자를 구제하고 궁핍한 자를 교훈 격려하고 위로해야 합니다(마 26: 11; 막 14:7).
4) 교회의 봉사는 국가 자선사업처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교회의 봉사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영적 봉사정신으로 해야 합니다.
----------------------------------
다. 정리와 묵상
1) 교회가 권세를 사용함에 있어 때로 폭력도 가능한가?
2) 부득이한 경우 목회적 권세가 하나님 말씀과 다르게 행사될 수도 있는가?
3) 교회가 가지는 세 가지 권세는 무엇인가?
창조신학연구소
조덕영 (조직신학, Th.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