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와 삼위일체론
조덕영 교수(조직신학)
Ⅰ. 마르틴 루터의 간략 연보(1483-1546)
칼빈(왼쪽)과 루터(중앙) 그리고 멜랑흐톤(오른쪽)/독일 작센-안할트주, 비텐베르크 멜랑흐톤하우스 전시물©조덕영
"십자가만이
우리 신학의 규범이다."
"십자가는
모든 것을 시험하는
시금석이다."
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에서©조덕영
루터의 고향 아이슬레벤©조덕영
아이슬레벤 들판 풍경
1. 1483년 11. 10 독일 동부 아이슬레벤에서 출생
2. 1502. 9.29 에르푸르트 대학 학사 학위
3. 1505. 1. 7 문학 석사
에르푸르트의 어거스틴 수도원
4. 1505. 7. 2 뇌우 속 수도사 서원(어거스틴 교단 수도원, 1505. 7. 17)
5. 1510. 11 로마 여행
왼편에 비텐베르크 성채교회, 오른편에 루터 하우스(옛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가 보인다.
비텐베르크는 지금도 우리의 소읍 정도(4-5만)의 작은 도시이다. 현재도 기차역(그림 오른편)에서 종교개혁의 현장(성채교회)까지 도보로 10여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 도시 중앙에는 시청 광장이 있으며 1821년 세워진 루터 동상이 있고 광장 옆에는 루터의 친구였던 필립 멜랑흐톤의 동상도 있다. 멜랑흐톤 하우스는 사진에서 루터 하우스 바로 왼편에 자리하고 있다. 광장 인근의 성 마리아 시립교회는 루터가 독일어로 처음 설교했던 장소다.
6. 1511. 4 비텐베르크 대학
비텐베르크 교회
7. 1512. 10. 19 신학 박사
좁은문/비텐베르크 성채교회©조덕영
8. 1517. 10. 31 비텐베르그 성채 교회 문에 “95 개조 논박”
9. 1518. 8. 25 멜랑흐톤 비텐베르그 대학 부임
게오르게스 기사(Knight George) 로 행세한 마르틴 루터(비텐베르크 루터 하우스 전시물)
1502년 비텐베르크 대학를 세우고 마르틴 루터를 교수로 초청한 사람은 작센의 선제후(재위 1486년-1525년) 프리드리히 3세(Friedrich III, 1463-1525)였다. 그는 현명한 제후였으므로 '현공'이라는 칭호가 붙었다.
그는 마르틴 루터를 보호하고 자신의 성(바르트부르크)을 루터에게 도피처 성으로 제공하였다. 그곳에서 루터는 게오르게스 기사로 행세하면서 지낼 수 있었다.
바르트부르크성 사진/바르트부르크 성 전시물©조덕영
10. 1518. 12. 18 프리드리히 선제후 루터 추방하지 않음
11. 1519. 7. 4-14 에크와 라이프치히 논쟁
12. 1520. 8 독일 귀족에게 고함
13. 1520. 10. 6 바벨론 유수
14. 1520. 11. 12 쾰른에서 루터 저서 불사름/그리스도인의 자유
15. 1521. 12. 25 칼슈타트 미사에서 평신도 포도주 나눔
16. 1524. 9. 에라스무스의 자유 의지
17. 1525. 6. 13 노예 의지에 관하여
18. 1527. 여름. 심각한 우울증으로 앓아눕다, “내 주는 강한 성이요” 지음
19. 1543. 7. 창세기 주석 출판(1535-1545년 강의)
20. 1545. 3. 25 마귀가 세운 로마의 교황 제도에 대한 반박
21. 1546. 2. 18 고향 아이슬레벤에서 사망
루터의 고향 아이슬레벤(Eisleben)의 루터 죽음박물관 전시물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Ⅱ. 마르틴 루터의 삼위일체론
1. 체계적 신학 저술을 남기지 않은 루터
1) 멜랑흐톤의 <신학통론>(Loci Communes)이나 칼빈의 <기독교강요> (Institutes)같은 체계적 신학저술을 남기지않은 루터
2) 삼위일체에 대해서도 체계적 정리를 하지 않은 루터
3)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리가 아님을 분명히 한 루터
4) 교회 전통 속 전해진 삼위일체 교리와 용어들을 적극적 수용(로마 가톨릭 신부 출신의 신학자로 중세신학의 아들) 루터
2. 전통적 삼중성(Threefoldness, Dreifaltigkeit) 교리에 대한 유보적 입장
1) 지고의 단일체(Summa concordia)이신 하나님의 '삼중성' 묘사는 위험
2) '삼신론'(threeness, Dreiheit)은 신성모독적인 용어
3) 삼위일체의 '삼위'를 세 천사, 세 사람들과 비교하면 오류에 빠져버린다.
4) 삼위일체 교리는 세 신들을 묘사하는 것이아니라 한분 하나님을 설명하는 것
5) 그러나 이 하나됨은 동시에 구분된 "위격들"의 셋됨( "trinus", 하나님은 한 본질 안에 있는 셋 존재<Gedritts>)
6) 인간의 이성은 하나님 안에서의 하나됨과 셋됨에 관해 언급하는 데 걸림돌일 뿐이다(이성은 이단과 오류를 범하며, 신앙은 진리를 가르치고 보존한다).
7) 따라서 이성은 여기서 입을 가만히 봉하여야 하며, 이 말은 믿어져야 한다.
8) 피조물인 사람에게 하나님의 실재를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용어는 없다.
3. 루터가 본 삼위일체 교리의 중요성
1)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적이다.
2) 성경은 삼위일체 교리를 명백하게 가르친다.
3)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에 관한 성경적 진술들의 요약
4) 구약과 신약은 모두 삼위일체 증거.
5) 니케아 신조 등 공의회 결의 존중
6) 삼위일체 교리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철학적 용어들은 부적절
7) 하지만 신부 출신의 '중세의 아들'로서 루터는 삼위일체에 관한한 가톨릭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음
8) 교부 어거스틴의 입장을 존중
9) 삼위일체에 반대하는 아리우스주의자들, 사벨리우스주의자들 반대
10) 성만찬과 삼위일체
"자신의 외부에 있는 모든 것들과 관련하여 행하신 사역들은 분리되지 않는 채로 남아 있다"(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 <그리스도의 만찬에 대한 고백>(1528)
4. 루터가 본 Vestigium Trinitatis
1) 어거스틴을 따름
2) “모든 피조물 가운데에는 거룩한 삼위일체의 지시가 있고 또 볼 수 있다. 피조물들의 자연은 아버지 하나님의 전능성을 의미하고, 그것들의 형태는 아들의 지혜를 보여주고, 그것들의 유용성과 능력은 성령의 표식이다."
3) 따라서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 속에, 비록 가장 작은 풀잎이나 양귀비의 씨 속에도 현재(顯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덕영 교수(조직신학)